Skip to content

Nebula
2006.09.25 22:33

ngc 7293

(*.7.236.149) 조회 수 1302 추천 수 129 댓글 12




지난 9월 23일,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찍은 이미지입니다.
KASTRON 12.5인치의 두번째(?) 출사입니다.

제가 주로 가는  철원은 북동서는 매우 양호한데 비해 남쪽은 광해가 있지요.
그래서 평상시 잘 접하지 못했던 남쪽 대상들을 찍어보았습니다.
이도 그 중에 하나인데, 아직 반사시스템에 덜 익숙해있고, 이미지 후처리과정에서 생기는 사선노이즈에 대한 원인과 대처방법을 잘 파악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선을 없애기 위해 레벨조정과 니트를 과하게 적용했더니 별색을 자연스럽게 살릴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성운 자체의 디테일도 많이 감소되는 것 같습니다.
nada 홈페이지를 검색을 해보니 ngc7293은 8작품 정도 되네요. DSLR과 CCD로 구분해 살펴보니 정말 차이가 확연합니다.
DSLR의 한계를 느끼면서 CCD뽐뿌를 받습니다.

* 참, 아래의 이미지는 KASTRON 12.5인치와 5D 조합의 풀사이즈 이미지입니다.  주변부의 별상은 더 이상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촬영정보]
KASTRON 12.5" DS (F4.5)
NJP Temma pc + STV autoguide
Canon EOS 5D (w/o LPF, w/ LPS-P2 + STL용 파라코어)
2006-09-23  
강원도 횡성군 덕초현 천문인마을
ISO 800,4min * 16장 (darkflat 5장, 총 21장)
darkflat처리, 맥심에서 average합성, 니트, 포토샵 보정
  • 전영준 2006.09.25 23:31 (*.238.80.164)
    5D풀사이즈에 주변 성상이 기가막힙니다.
    경통에 가대에 카메라에 한꺼번에 지름신을 제게 불러주시네요...
    사선방향 노이즈가 좀 애먹인듯하네요. 그것만 해결되면 대단한 사진이 되겠습니다.
  • 최훈옥 2006.09.25 23:36 (*.107.58.168)
    요번 처리엔, 다크플랫 합성순서를 123654순으로 합성해봤는데 이번엔 안나타난거 같습니다..다음번에 어떨지 모르겠네요
    사진끝내줍니다.이쁜 헬릭스..ㅋ
  • 박정용 2006.09.25 23:59 (*.44.25.45)
    5d가 노이즈도 별로없고 역시 좋네요.
    사진 정말 아름답습니다.
  • 김삼진 2006.09.26 07:29 (*.33.87.81)
    주변까지 똘망똘망하고 아주 보기 좋습니다.즐감입니다.
  • 강문기 2006.09.26 07:39 (*.132.58.21)
    넓은 영역의 별상이 고르게 뛰어납니다. 또한 색상도 매우 선명하군요. 광학계와 카메라가 아주 잘 어울리는것
    같군요. 멋진 영상입니다.
  • 황인준 2006.09.26 08:20 (*.239.99.89)
    역시 선수는 선수군요.
    새 장비에 적응하는 것이 빠른것이 선수의 공통점...^^
    사선노이즈 있는 사진이 궁금합니다.
    전 니트를 별로 좋아하지 않다 보니...^^
  • 신범영 2006.09.26 09:51 (*.241.50.130)
    남쪽을 열심히 찍으시더니 한건 하셨네요.^^
    별상, 색상 모두 좋습니다.
    사선노이즈에 대한 해결책이 나왔으면 참 좋겠습니다.
  • 유종선 2006.09.26 10:12 (*.155.240.238)
    DSLR을 쓰고 있는 저도 간혹 사선노이즈 혹은 사선으로 물결치는 노이즈를 접할때가 있습니다만,
    확실하지 않지만 아주 약간씩 계속해서 흐르면서 노이즈가 많을때 주로 생기는 것 같았습니다.

    얼마전 지인들과 출사에서 사진을 찍었는데
    350D 개조를 의뢰했어서 그냥 일반용으로 쓰던 20디로 몇장 찍어 합성을 했는데 물결무늬의 노이즈가 생기더군요.

    저도 알수없는 이유로 가이드는 완벽하나 실제 사진에서는 한쪽으로 서서히 별이 이동해 갑니다.
    사선 노이즈가 서서히 이동해가는 별을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그와 연관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일단 가이드 시스템과 촬영시스템간의 오차를 어떻게하는 줄여볼라 하는데 잘 되지 않습니다.
  • 고창균 2006.09.26 13:52 (*.246.85.194)
    유종선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저도 15장이 규칙적인 방향으로 아주 미세하게 이동합니다. 사선노이즈도 그와 같은 방향으로 나오구요. 이건 다크나 다크플랫처리를 하지 않은 이미지의 합성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더군요. 촬영시스템의 문제 맞는 거 같습니다.
  • 김일순 2006.09.26 14:39 (*.249.247.36)
    고도가 낮은 대상인데 디카로도 멋지게 잘 나왔네요. 씨씨디랑 별반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 이건호 2006.09.26 22:43 (*.128.211.145)
    정말 좋은 사진을 건지셨네요. 색이 예술입니다.
    사선노이즈는 유선으로 말씀드린대로 맥심에서 합성시에 Sigma Cip으로 하시면 대다수 없어 질 것입니다.
    생기는 이유는 눈으로는 못 느끼지만 여러가지가 복합되어 미세하게 가이드가 흐르는 것이 원인이고,
    이것을 합성시에 별로 얼라인을 하니 열노이즈가 사선으로 이동하면서 합성이 되는 원인입니다.
    노터치 가이드할때 많이 생기곤 합니다.
  • 선숙래 2006.09.27 12:55 (*.120.130.73)
    색감을 보려고 집에서 일부로 새 노트북으로 봤는데 참 예쁩니다.

  1. by 고창균

    [필름]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8 file

  2. by 박정용

    061002-ngc2244 6 file

  3. by 박정용

    061002-NGC2237 10 file

  4. by 김일순

    NGC7000 - North America Nebula 9 file

  5. by 최승용

    060923_ngc7293 10 file

  6. by 최승용

    060924_ic5146 13 file

  7. by 이건호

    IC5146 Cocoon Nebula 18 file

  8. by 김삼진

    M1(O.G.S테스트) 17 file

  9. by 김일순

    NGC1499 - California 11 file

  10. by 황인준

    NGC1333 15 file

  11. by 강문기

    NGC7822 + Ced214 12 file

  12. by 박정용

    061002-M42 12 file

  13. by 고창균

    IC 1805 8 file

  14. by 이건호

    NGC7023 Iris Nebula 11 file

  15. by 전영준

    Horse Neb(Re-image processing) 11 file

  16. by 박대영

    말머리성운_061003 12 file

  17. by 이건호

    IC405 11 file

  18. by 김일순

    IC 5146 - Cocoon Nebula 14 file

  19. by 이건호

    M42 냉각DSLR 9 file

  20. by 황인준

    IC434 Horsehead Nebula 14 file

  21. by 고창균

    ngc 281 6 file

  22. by 고창균

    버블성운 (ngc 7635) 9 file

  23. by 박대영

    NGC2024_060930_양평 용천리 9 file

  24. by 최훈옥

    베일의 한쪽... 2 file

  25. by 박정용

    060923-B33(말머리성운) 9 file

  26. by 최승용

    060923_ngc7635 7 file

  27. by 최승용

    060924_Horsehead 13 file

  28. by 이건호

    IC1318 14 file

  29. by 박정용

    060923-B33 15 file

  30. by 신범영

    캘리포니아(NGC1499)_화악산 9 file

  31. by 강문기

    IC1396 10 file

  32. by 강문기

    IC1805 9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