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6.05.31 23:31

안타레스 주변부

(*.204.218.26) 조회 수 1390 추천 수 103 댓글 13




어제 신병석씨,NGC 이덕수씨와 함께 장수에 다녀왔습니다.
약3달만에 별빛을 맞았습니다.
그새 은하수가 흐르는 철이 되었네요.
냉각DSLR 상용화 프로젝트가 막바지인지라 어수선한 와중에 나간 관측이라서 빼먹고 온것도 있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어서 고생했지만 그래도 감사하게도 테스트샷은 찍을 수 있었습니다.
AAO의 데비드멀린이 찍은 기막힌 사진을 좀 따라해 보려고 노력했는데 쉽지 않습니다.
장수의 하늘은 옅은 박무가 있었지만 그래도 훌륭한 하늘이었습니다.
플랫,다크프레임 찍지 못해서 원본그대로 처리했는데 그래서 인지 비네팅이 좀 거슬리기도 합니다.

냉각350D로
감도200,
30분노출x3컷,
LPS P2 + New UV/IR cut filter
캐논 200mm F1.8 ->2.4?

  • 유종선 2006.06.01 09:26 (*.155.236.92)
    정말 놀라운 사진입니다. 한컷짜리 사진이 더욱 놀랍군요. 30분 노출이라는게 믿겨지지 않습니다.
    냉각 DSLR project가 거의 끝나가신다니 축하드릴 일이구요...
    고질적으로 나타나는 우하귀의 앰프열도 사라진것 같군요. 더눅 놀랍습니다.
    제 경우는 항상 나타나는 앰프열로 인해 4:3 포맷정도로 크롭을 할수 밖에 없어요 ㅜ.ㅠ
  • 전영준 2006.06.01 10:26 (*.1.184.2)
    대포렌즈 너무 갖고시포라...^^
    멋진 사진입니다....
  • 강문기 2006.06.01 10:47 (*.132.58.21)
    냉각DSC의 성능을 잘 보여주는 사진같읍니다. 훌륭한 사진입니다.
  • 신병석 2006.06.01 12:23 (*.208.80.4)
    ISO 200이더라도 노출 30분에 저정도로 노이즈가 없는걸 보면 대단합니다.
    일반 사진도 잘 나오더군요..

    그런데.. autoguide를 하나 마련하셔야 될듯합니다.
    밤새 guide eyepiece를 들여다 보기가 좀 힘들것 같네요..
    그래서 노트북을 이어서 조그만 캠으로 autoguide도 하고...
    MaxDsLR를 써서 Bias Dark. Flat을 다 찍고 타버린부위나 어두운부분도 살리고 하면..
    DSLR로도 멋진 사진을 얻을수 있을것 같네요..

    그냥으로도 멋지게 찍으시는분들도 많지만요..

  • 김영혜 2006.06.01 13:50 (*.64.143.233)
    히야~ 이거 입이 딱 벌어집니다.
    태양을 끝낸후에, 저도 빨리 그쪽으로 모든 힙을 모아봐야겠습니다.^^
  • 이윤 2006.06.01 15:14 (*.235.246.69)
    유종선님이 말씀하신 앰프열?은 냉각전처럼 그리 심하진 않지만 아직 있습니다. 이사진에서는 트리밍해서 볼 수 없지만요...
    렌즈가 밝아서 이런 대상 찍기엔 딱인거 같습니다. 무엇보다 가이드에 대한 부담도 적고.. 중고티 많이 나는걸로 하나 장만하면망원경이 줄 수 없는 또 다른 여러 가능성이 열리리라 생각 됩니다.
    정말 이젠 오토가이더시스템을 갖춰야 할 때가 된것같습니다. 요즘은 체력과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른 느낌입니다.
    루미콘 딮스카이필터를 쓰다가 Yellow쪽 색상이 너무 죽는거같아 LPS-P2로 바꿔보았는데 색균형은 더 좋지만 우려했던대로 콘트라스트가 DSF에비해 떨어지고 백그라운드가 빨리 올라오네요.
    이것도 고민해 봐야할 숙제입니다.
  • 최승용 2006.06.01 17:21 (*.78.47.89)
    노출을 30분씩이나 줄수 있는 겁니까?^^
    대단한 DSLR 입니다.
    나중에 여력 되면 장착 하고 싶어지네요.
  • 신범영 2006.06.01 17:29 (*.241.50.130)
    와! 대단합니다.
    냉각CCD로 고생해서 찍어도 기대만큼 잘 안나오던데...
    조만간 냉각DSLR의 태풍이 불것 같습니다.^^.
  • 박정용 2006.06.01 19:38 (*.44.28.38)
    으아~ 불꽃놀이 합니까?
    정말 우리나라가 월드컵 나가서 우승한듯 합니다.
    축제의 밤.. 그 자체로 군요.^^
  • 김삼진 2006.06.01 22:48 (*.8.174.14)
    냉각 DSLR 관심 대상 일 순위 같습니다. 대단합니다.
  • 김일순 2006.06.02 01:35 (*.160.109.75)
    허거덕~! 감도 200에 30분....
    안타레스 주변이 난리가 났네요. 요놈들 깽판치다가 오늘 이윤님께 딱걸렸네요. ^^
  • 황인준 2006.06.02 15:19 (*.81.91.119)
    대단합니다.
  • 이준화 2006.06.06 13:48 (*.167.81.243)
    냉각 DSLR 드디어 꿈을 이루셨군요. ~ 축하드립니다.

  1. M8 & 20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L : 300sec(1X1) X 9 -RGB : 300sec ea(2X2) X 2 -2006. 5. 31 가이드시 CCD와 적도의의 충돌문제는 해결했는데 별이 질질 흘렀네요. 흠.... T.T CCD 이미지 처리가 DSLR...
    Date2006.06.02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110
    Read More
  2. Crescent Nebula

    정말 오랜만의 출사였읍니다. 하늘은 구름한점 없었는데 밤 기온이 내려가면서 박무가 덮혀 투명도가 너무나도 떨어졌읍니다. 박무에 어두운 대상을 잡으려다 실패한 밤이었지만 오랜만에 망원경, 카메라 만지작거리니 즐거웠읍니다. 2006. 5. 30 양평 지제 F...
    Date2006.06.0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906
    Read More
  3. [re] 안타레스 주변부 ....1컷사진

    앞의 합성한거 3장중 1컷을 포토샵에서 처리해 보았습니다. asa200, 30분 노출 1컷.
    Date2006.06.0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61
    Read More
  4. 안타레스 주변부

    어제 신병석씨,NGC 이덕수씨와 함께 장수에 다녀왔습니다. 약3달만에 별빛을 맞았습니다. 그새 은하수가 흐르는 철이 되었네요. 냉각DSLR 상용화 프로젝트가 막바지인지라 어수선한 와중에 나간 관측이라서 빼먹고 온것도 있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어서 고생했...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90
    Read More
  5. 안타레스 부근

    ||1몇장 흐른것을 잘 해서 .. 합성을 하였습니다. 이부위는 워낙 색감이 다양한 부위라.. 색감을 좀 강조하였습니다. 안타레스바로 위부분입니다. Epsilon with 6303 1x 300sec x 3 LRGB 추가 : 이윤님 사진을 보니 Blue의 합성비율이 적었나 봅니다.. 다시 ...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409
    Read More
  6. NGC 6820 Ha image

    ||1 어제는 간만에 장수에 일찍 가서 셋팅하고 은하수도 마음껏 즐겼던 밤이었습니다. 그런데.. .. 어제 찍은 사진들은 모두 튀거나 흐르거나.. .. ( 광해가 없는 장수에서는 LRGB를 찍으려하였으나..않되더군요..) 새벽 3시쯤 고도가 높아져서 Ha filter로 ...
    Date2006.05.3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54
    Read More
  7. M57

    새 망원경의 테스트 사진입니다. 지난 주말은 날씨 예보가 별로여서 찍을 생각을 안 했는데 밤이 되면서 구름이 없어졌습니다. 박무가 많이 남아 있어서 밝은 M57을 골라 보았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중앙부 100% 크롭이구요 두번째 사진은 전면 50% 리사이즈...
    Date2006.05.2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14
    Read More
  8. 050607-M16

    촬영일: 2006년 06월 08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15도) RGB : 각3min x 5, x4, x5(2x2) L : 3min x 10(1x1) 촛점잡기가 힘든 날이었습니다. 박무와 옅은 구름때문...
    Date2006.05.22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269
    Read More
  9. [350D] NGC6992 Veil Nebula

    ||1--------------------------- 2006 05 20 양평 보그 125ED EOS350D w/o LPF 1600 x 10min x 13매 80% 크롭후 40% 리사이즈 --------------------------- 투명도가 그리 좋지 못하다보니 광해의 영향을 더 받는것 같습니다. 오늘도 맥심에서 가이드는 완벽...
    Date2006.05.21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185
    Read More
  10. 오리온의 재구성

    요즘은 사진찍으러 나가기엔 2%부족한 사연이 있어서, 집에서 시간날때마다 이미지처리 연습을 하곤 합니다. 많이 해볼수록 얻어지는건 있는것 같기는 합니다만. 아직은 미련이 많이 남습니다. 미련이기보단 욕심이 맞는것 같습니다. 위에것이 새로 처리해본...
    Date2006.05.17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228
    Read More
  11. M16

    이날 역시 바람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4장 찍은 것 중 결국 두장 밖에는 쓰지 못했습니다. 별상의 크기와 디테일에서 아쉬움이 남지만 역시 15인치의 디테일은 무시 못할 것 같습니다. Kastron 380DS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200 GTO ST-10XE w/ CFW-10...
    Date2006.05.1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52
    Read More
  12. M16 , NGC6604 & 6625

    Kastron15inch로 M16을 찍으면서 동시에 20D의 셔터를 눌렀습니다. 얼라인이 안된 상태라서 한쪽에 취우친 16이었는데 운 좋게도 NGC6605라는 월척이 걸려들었습니다. FD300 F 2.8 -> 4.1 Masking EQ1200GTO Guider : Kastron 380DS + 10XE Canon EOS 20D 광...
    Date2006.05.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02
    Read More
  13. NGC7000 / IC5067

    아쉬운 일이지만 Ha를 3장을 찍었음에도 쓸 수 있는 것은 단 1장 뿐이었습니다. 1장은 구름이 지나갔고, 한장은 심한 바람에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실패.. 컬러 정보도 부족하고 말이죠.. 덕분에 잔별이 많이 죽었습니다. Canon FD 300 2.8L (전면 75mm Maskin...
    Date2006.05.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2
    Read More
  14. 060508_m27

    2006년 5월 8일 어버이날 밤에 안산에서 촬영한 m27 입니다. 가족 모임이 10시가 넘어서 끝나는 바람에 늦게 도착한 안산 일대학에서 목성을 보니 한숨만 나오더군요. 몇장 찍고 그냥 딥으로 옮겼습니다. 투명도는 그나마 좋았으나 옅은 구름이 있는 것 같았...
    Date2006.05.10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211
    Read More
  15. NGC6888

    2006년 3월 3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L11k/paracorr 6nm Ha filter, 1200s x 4 한 10장쯤 찍을 목표였었는데요 ㅎㅎ 항상 초승달성운찍을때마다 날씨가 나빠지는군요. 그나마 제가 지금까지 찍은 초승달 중에선 가장 잘 나...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60
    Read More
  16. 백조좌 ~ 두번째..

    ||1어제 찍은것 마저.. 올립니다.. 더 넓게 찍어보고 싶은데요.. 60C는 광시야용으로는 주변부가 별루네요.. 다음에는 180mm 렌즈로 한번 도전해봐야 겠습니다.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74
    Read More
  17. Milky way - Lagoon Nebula region (5D)

    안타까운 실수를 했습니다. Raw로 찍지 않고 그냥 JPEG로 찍었습니다. 그것도 풍경모드로 놓구요.. 다음에 다시 찍어 보아야 겠습니다. 주변 감광은 스텔라이미지에서 처리했습니다. 역시 다크 프랫 처리 없습니다. 합성 역시 분해 합성이 아니고 그냥 합성 ...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43
    Read More
  18. Lagoon Nebula region (20D)

    이윤씨로부터 도움받아 개조한 20D의 첫 출사입니다. 첫 사진인 만큼 가이더로 사치스런 장비가 사용되었지만 사진의 질은 그러기에 충분히 가치있는 기대만큼의 사진입니다. 이미지 처리는 RGB를 분해해서 각기 합성 커브 레벨 처리하고 RGB합성.. 그리고 L...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10
    Read More
  19. 백조좌 NGC 6888부근..

    ||1어제 달이 휘엉청 떴지만.. TEst shot을 날렸습니다. 한번 합성해 본 김에 올립니다. guidescope으로 가지고 있는 60c에 SKY90용 field flattner를 물려서.. 6303으로 Ha image만.. 결과는 field는 약 280mm정도의 화각인것 같은데요..결정적으로 주변의 ...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34
    Read More
  20. M8, M20

    많은 사진을 찍었음에도 처리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늘 매력적인 지역의 매력적인 대상입니다. 이 대상을 이번엔 10XE+300FD, Nude 20D + 300FD, 5D+200EF 1.8로 각기 찍었습니다. 이런 종류의 대상은 결국 10XE 같은 CCD아니고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는 ...
    Date2006.05.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089
    Read More
  21. 뱀성운

    뱀성운 B72 SNAKE NEBULA 2006년 4월 27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A-RO L= 5m x 4 GSO12inch, EQ1200GTO, STL11K 뱀주인자리에 있는 암흑성운인 뱀성운입니다. 예전에도 뱀성운이 보여서 그리 이름을 지었나요? 마치 잉크얼룩 처럼 까맣더군요.
    Date2006.05.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36
    Read More
  22. NGC 7000 Ha image

    ||15월 4일은 장수로 함 가보았습니다. 이날은 날이 약간 않좋았습니다. 은하수도 보이지 않는 .. 혜성은 한번만 찍어보고 역시 작군.. 역시 동쪽으로 올라오고 있는 NGC 7000을 걸어놓고 쿨쿨,. 많이 찍으니 이미지가 부드러워지기는 하네요.. Epsilon with ...
    Date2006.05.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39
    Read More
  23. M16 M 17 Ha image

    ||1정말 간만에 망원경을 셋팅하였습니다. 5월 3일 박영식님이 장수가셨을때.. 구름이 몰려올것을 우려해서 그냥 집뒷마당에 setting을 하고 혜성을 찍어보다가 SKY 90으로는 찍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올라오는 M16과 M17을 걸어놓고 잠이 들어버렸습니다...
    Date2006.05.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329
    Read More
  24. NGC2207

    큰개자리에 있는 성운입니다. 2006년 2월 17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30m, 10m,10m,10m
    Date2006.05.0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879
    Read More
  25. 060427_m17

    2006년 4월 28일 새벽에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한 m17 입니다. 동남쪽 아래쪽에 위치한 관계로 지역적 특성과 박무와 이슬 등으로 인하여 좋은 이미지는 아닙니다. 안산에서는 항상 테스트 밖에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이 1주일 가량 불통이 되는 바...
    Date2006.05.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18
    Read More
  26. 060427-M17

    촬영일: 2006년 04월 28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20도) RGB : 각2min x 8, x4, x5(2x2) L : 2min x 15(1x1) 뿌연 밤하늘이었지만 목성의 시상이 너무 좋지를 않아 ...
    Date2006.05.01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897
    Read More
  27. M16 - Eagle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Paracorr -NJP Temma2 -ST-10XME w/ CFW-8A(-25) -R : 80sec(1X1) X 13 -GB : 80sec ea(1X1) X 3 -RRGB합성. 노다크, 노플랫 처리 -2006. 4. 28 02:43~ CCD 테스트 샷입니다. 가이더와 적도의의 충돌로 노출을 짧게 줄수 밖에 없었...
    Date2006.04.3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336
    Read More
  28. M8 & M20_060428 철원 수피령

    작년 봄에 처음 연습사진으로 찍은 다음 여름에 다시 제대로 찍어보려 했는데 날씨가 계속 안좋아서 결국 해를 넘기로 올 봄에 다시 찍게 되었습니다. 좀 이르지만 다시 보아도 역시 화려한 성운입니다. 촬영정보 FSQ106+EM200+STL11000M L : 10분X6, RGB : ...
    Date2006.04.3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309
    Read More
  29. 어제 찍은 몇가지 대상들입니다.

    시간이 너무 촉박한관계로 (요샌 4시20분에 동녁이 터오더라구요) 급하게 했더니 마음에 안드네요.... 이래저래 평일날 번개친게 무리긴 했지만 그간찍고싶었던 대상을 담을수 있어서 저혼자 맘에 들고 말까 합니다.ㅎㅎ 계속 날 좋으면 좋겠어요.. 홍천 탄상...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003
    Read More
  30. [350D] 펠리칸성운

    ||1------------------------------------ 2006 04 28 새벽 2시경 양평 중원계곡 Borg 125ED, EOS350D w/ LPS P2 ISO 1600 x 8min x 5매 ------------------------------------ 광축문제가 아직 시원히 해결이 되지 않았지만 그냥 저냥 찍을랍니다. ^^;;; ISO...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968
    Read More
  31. M16 & M17

    여름 은하수 한가운데 있는 방패자리의 M16(독수리성운_위 사진 왼쪽))과 사수자리에 있는 M17(오메가성운_위사진 오른쪽)입니다. 촬영정보 FSQ106+EM200+STL11000M L:10분X6,RGB각 5분X4 2006.4.25 강원도 홍천 탄상현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135
    Read More
  32. M106

    사냥개 자리에 있는 나선은하입니다. 이번 워크샵에서 배운 몇가지 팁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 2006년 3월 2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GS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 80m, 15m, 15m, 15m
    Date2006.04.1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