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6.01.08 17:07

M42_오리온대성운_060107 가락재

(*.39.132.56) 조회 수 1411 추천 수 107 댓글 12




이번달에도 월령 좋은 1월초에는 날이 안 좋아서 그냥 보내다가 1월6일예보가 좋아서 월몰시간이 자정무렵이긴 했지만 촬영을 나갔습니다.
춘천과 홍천의 경계에 있는 해발 650m쯤되는 가락재 터널 위를 어렵게 올랐는데 이날 새벽기온이 CCD냉각온도인 -30도와 별 차이 안나는 -20도 훨씬 아래였습니다.
군대에서 경계근무이후 가장 추운밤을 보낸 것 같습니다.
날은 추웠지만 자정넘어 날이 지자 오랜만에 제대로 된 별가득한 멋진 밤하늘을 볼 수 있어서 추위를 잊을 수 있었습니다.


M42를 약3시간 찍었는데 아쉽게도 중간의 실수 때문에 1시간반 정도 찍은 사진만 사용하게 되어 노출이 좀 부족한 사진이 되었습니다.

가대 : EM200 Temma2 jr, 망원경 : AP155, 카메라 : SBIG STL_11000M
노출정보 - L : 10분X4,  R,G,B : 각 5분X3
일시 및 장소 : 2006.01.07.01시-04시, 강원도 홍천 가락재
  • 전영준 2006.01.08 21:13 (*.238.80.167)
    주변의 은은한 성운기가 참 부드럽습니다.
    멋진 사진보고 갑니다..
  • 최훈옥 2006.01.08 23:04 (*.49.71.155)
    색이 참 곱다는 표현이 어울릴까요? 오리온 대성운 같은 밝은 천체의 색깔이 참 곱네요..
  • 이건호 2006.01.09 08:23 (*.101.107.100)
    와,....화려하네요. AP155와 11k의 만남이 있었군요.
    횡성 별마실 천문대에 있었는데... 무려 60도까지 부담없이 냉각이 되더군요.
    검진 결과는 잘 나오신거죠? 건강 조심하세요.
  • 김일순 2006.01.09 11:11 (*.160.109.75)
    구석구석까지가 아주 땡글땡글합니다. 셀프가이딩도 잘 되었네요. 문제점 해결되어 저도 기분이 짱합니다.
  • 이경화 2006.01.09 12:56 (*.120.171.240)
    그윽한 오리온이네요.
    제대로 된 별가득한 멋진 밤하늘.. 후.. 몹시 그립습니다.
  • 강문기 2006.01.09 15:47 (*.132.58.21)
    멋집니다. 색감이 아주 곱게 나왔읍니다.
    추운날씨였는데 하늘은 좋았었죠...
  • 신범영 2006.01.09 16:56 (*.241.50.130)
    노출이 부족하여 콘트라스트를 줄였더니 좀 부드럽게 되었습니다.
    CCD들고 나가면 바로 사진이 될 줄 알았는데, 가이드문제, 이미지처리 문제 등 여러 시행착오를 해결하는데 1년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이건호님등 앞서 고생하신 분들의 노하우와 나다워크샾
    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건호님, MRI결과에서 우려했던 부분은 잘 해결되고 있습니다. 걱정해줘서 고맙습니다.
    김일순샘, 탱글탱글한 별보고 싶다고 했는데 괜찮아 보여요?
    그나저나 빨리 노숙자에서 벗어나야하는데...ㅎㅎㅎ
  • 황인준 2006.01.09 17:48 (*.204.206.245)
    ㅎㅎ.. 노숙자 탈출이라..
    사진 너무 멋집니다.
    그리고 155를 경험해 본다는 것 부럽습니다.
  • 신병석 2006.01.09 18:27 (*.208.80.4)
    AP155에 11K군요.. 멋진 조합입니다. temma 2 Jr가 힘들어 하겠군요..
    사진 멋집니다...
  • 신범영 2006.01.10 00:40 (*.39.129.91)
    별만세의 윤재룡샘의 배려로 AP155를 잠시 사용하고 있습니다.
    명불허전이란 말 그대로 참 대단한 상을 보여주는데 플래트너 장착시 F8로 어두어서 딮스카이에서는 생각보다 많은 노출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EM200의 한계 체중때문에 AP155+STL11K의 중량에서 가이드가 되는지 궁금하였는데 별 무리없이 잘 되더군요.

  • 박대영 2006.01.10 10:44 (*.98.199.231)
    멋진 오리온입니다..그런데..가락재는 어디쯤에 있는 곳인가요?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 신범영 2006.01.10 14:15 (*.241.50.130)
    가락재는 춘천에서 속초(구성포)방향으로 56번 국도를 따라 20km쯤 가면 나타나는 고개로 지금은 터널이 뚫려있습니다. 터널의 고도는 500m쯤되고 국도에서 벗어나 산림도로를 이용하여 4km쯤 오르면 터널위의 해발 650m쯤인 평탄한 관측지에 도달합니다.
    나무가 동쪽과 서쪽으로 나무가 있어서 시야가 약간 가리지만 전반적으로 시계가 양호합니다.
    광해가 거의 없는 하늘을 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678 Nebula M1 16 file 2004.11.15 1421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677 Nebula M8 M20 부근 14 file 2007.06.23 1421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676 Nebula m8 1 file 2011.03.10 1420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675 Nebula M76 4 file 2004.12.03 141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74 Nebula M17 Swan 10 file 2005.03.27 141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673 Nebula IC1805 & IC1848 - Heart & Soul(Embryo) Nebula 9 file 2008.12.31 1418 김일순 arame 김일순
1672 Nebula 버블성운 주변 (NGC7635/7538, M52, Sh2-157/161/162) 2 file 2010.10.10 1418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671 Nebula Bubble주변부 3 file 2010.11.02 141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70 Nebula cocoon & IC 1396 test 5 file 2004.10.15 141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69 Nebula NGC-2174(손오공) 14 file 2007.12.07 1416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668 Nebula IC405 7 file 2007.12.11 1416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667 Nebula IC2118 9 file 2008.12.31 1416 강문기 mkang 강문기
1666 Nebula NGC2237 Rosetta Nebula - Canon 20D 6 file 2004.10.27 141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665 Nebula 오리온 흑백 9 file 2010.01.28 1414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664 Nebula IC1396 7 file 2011.09.06 1414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663 Nebula m8 & 백조좌 감마성부근 by mk69 6 file 2007.05.26 1413 도영재 samdo3 도영재
1662 Nebula [필름] NGC7000 북아메리카 성운 9 file 2005.05.16 1412 이준희 ljunhee98 이준희
1661 Nebula 061117_M45 11 file 2006.11.20 1412 김영렬 pjhkyr 김영렬
» Nebula M42_오리온대성운_060107 가락재 12 file 2006.01.08 1411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659 Nebula Eta Carina 22 file 2006.11.26 141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658 Nebula 희미한 말머리... 7 file 2007.11.05 1411 도영재 samdo3 도영재
1657 Nebula Ced214 in Cepheus 14 file 2008.12.22 1410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656 Nebula m78 재처리 3 file 2009.12.18 1410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655 Nebula 안타레스 부근 9 file 2006.05.31 140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54 Nebula IC 443 supernova remnant 16 file 2007.11.20 1408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1653 Nebula PLN 164+31.1 8 file 2006.12.04 140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52 Nebula 버블성운 (ngc 7635) 9 file 2006.10.02 1406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651 Nebula 070210_ngc2244 8 file 2007.02.13 1406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650 Nebula 석호, 삼렬 10 file 2007.06.10 1406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649 Nebula ngc6960... 5 file 2011.06.06 1406 조용현 zztop 조용현
1648 Nebula M66 6 file 2004.03.01 1405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647 Nebula EOS 5D Mark II로 찍은 M27입니다. 5 file 2008.12.19 1405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