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12.08 18:29

M1(카세그레인)

(*.79.196.199) 조회 수 1116 추천 수 115 댓글 7


Object: M1
.
Exposure: L3, R2, GB1 ALL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12inch casse+astrophysics reducer, f=4030x0.67=27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2/7/2004 KST
.
카세그레인 광축을 맞추고 난 뒤 첫 작품입니다. 어제 이것 찍는다고 생쇼를 했습니다.
1)초점의 위치를 잘 알 수 없었다. 첫 번째 촬영을 감안하더라도 초점범위가 커서 어디가 정확한 초점 위치인지를 알 수 없었습니다. 대략 여기가 초점이라고 보고 찍었습니다. 앞으로 초점을 맞추려면 머리가 아픕니다.
2)별상이 물어 부은 건빵같았습니다. 굴절에 비해 이건 별상도 아니더군요. 팅팅 불었습니다.
3)웃기는 가이드성의 노출시간. 지금도 이해를 못 할 것이 가이드 별을 잡았는데 L이미지에서는 3초간 노출을 주어도 별상이 보여서 가이드가 되었습니다. RG에서는 6초간 노출을 주어도 가이드별이 보였습니다. 그러나 B이미지에서는 무려 40초간 노출을 주었습니다. 동양최대 가이드 노출시간! ! 아직도 이해가 안됩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요?
4)대상의 어두움. 이 사진은 10분간 노출을 주었습니다. 10분이면 6인치 굴절(F:8)로도 긴 시간입니다. 카세그레인의 F수는 리듀스를 끼웠으므로 F:8.7쯤됩니다. F수에서는 6인치 굴절과 별반 차이가 없어야 됨에도 불구하고 많이 어두웠습니다. 이 이유를 모르겠군요.  
5)전반적으로 삐리리한 화질. 아무리 이미지처리를 못함을 감안하더라도 원판이 삐리리한 것은 어쩔 수가 없더군요. 저로서는 화질의 개선이 힘들듯합니다.
.
단지 어제는 바람이 없었습니다. 덕분에 40kg에 가까운 망원경 세트를 NJP가대가 무리없이 돌아주었지만 한번씩 바람에 픽사리 나는 것은 대책이 없고 마음을 졸여야했습니다. 결국 카세그레인은 한두번 촬영으로 끝내고 6인치 굴절로 가야될 듯합니다. 굴절망원경이 비싼 이유가 있더군요. 괜히 좋은 망원경 두고 대구경이라고 좋답시고 해봤더니 실력에서 딸리더군요. 장초점 웃으면서 포기해야 될 듯합니다.
.
이것 찍고 나서 혜성을 맞추어 찍으려는데 날이 흐려버리더군요. 혜성을 찍었다면 더 못나왔을겁니다. 나중에 굴절로 혜성을 찍어 보아야겠습니다.

  • 정민경 2004.12.08 19:06 (*.152.195.212)
    냉각은 충분히 되었나요? 냉각이 우선 촛점에 가장 큰 원인중에 하나인것 같더군요. ....어렵지만 활용 잘하셔서 좋은사진 보여주셨으면 합는 바램입니다.^^
  • 박병우 2004.12.08 19:09 (*.79.196.199)
    냉각은 작은 냉각팬을 달아서 돌리긴 했는데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촬영 시간은 자정전이었습니다. 초점은 현재로서는 아직 방법이 없군요.
    .
    추선생님 이 망원경은 이동을 못합니다. 이동하다가 허리라도 삐긋하면 절단입니다. 특히나 사모님으로 부터 쿠사리 먹을 생각하면 이동은 아예 생각도 말아야 됩니다. hihihi~~~
  • 정민경 2004.12.08 20:44 (*.152.195.136)
    잘만 활용하시면 엄청난 이미지가 나올것 같습니다. 이미지 색감도 좋고 매수 늘리고 촛점과 노출시간만 조절하면 될것 같은데요.
  • 김승남 2004.12.08 20:50 (*.230.157.145)
    저도 며칠전 M1을 찍을 때 B 이미지에서만 가이드 성이 사라져버려 찍지 못했던 적이 있습니다(MT-160으로). 전에는 괜찮았던 것 같은데, LPS P2 필터와 조합한 첫번째 촬영이었는데 그것과 관련이 있는 것 같기도 하구요...
    별상이 부은 이유는... 시잉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요... 7.4미크론의 ST-2000XM 의 경우 2700mm 초점에서 1픽셀당 대략 0.6초각 정도가 나올텐데... 실제로 시상이 1초각 보다 좋은 날은 거의 없겠지요... AO-7 을 사용한다면 좀 나아지려나요...^^
    그래도... 정말 멋진 M1 입니다 @.@
  • 최승용 2004.12.09 11:37 (*.255.216.142)
    제가 보기에는 멋진 이미지 입니다.
    장초점, 그리고 대구경.....
    쉽지는 않겠지만 조금 더 사용을 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초점 조절에 더 신경을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관측 당시의 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 사진을 찍으실 당시 저도 안산에서 별을 보고 있었는데 별상이 말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구름의 영향이 엄청났었습니다.
    안시에서도 토성이 초점이 잡히질 않았거든요.
    제 주관적인 시상은 2/10정도라고 생각 했습니다.
    물론 강원도는 좀 더 좋았을지 모르겠지만 거기서 거기 일 것 같습니다.
    좀 더 시상이 좋은 날 다시 한번 시도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그 망원경으로 안시 한번 하고 싶군요.^^
  • 이준화 2004.12.09 14:13 (*.249.97.69)
    최승용님 의견과 비슷합니다. 시상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천문인 마을에서 사진을 찍어보면, 어떤날은 쨍하고, 어떤날은 삐리리 했습니다. 반사가 굴절보다 성상이 커지는 것은 차폐등의 요소에 의해서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노출시간이 길수록 시상의 영향이 커질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3분 ~ 5분 노출로 여러장 찍어보시는 것도 좀더 날카로운 이미지를 얻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진은 주변부까지 성상이 동그랗고, 좋아 보입니다.
  • 박병우 2004.12.09 21:00 (*.79.196.199)
    조언 감사합니다. 강원도는 그리 시잉은 좋지 못한 것같습니다. 행성상을 똘똘하게 본 날이 많지 않거든요. 그래서 이 날도 토성을 보지도 않고 방안에 들어가서 잠 잤습니다. 구름도 몰려오고 날도 춥고해서 보나마나 토성상이 좋지 않을 것같았습니다.
    .
    천체촬영 난이도는 초점길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같더군요. 장초점은 오랜만에 강원도에 가서는 생산성이 확 떨어져버리더군요.

  1. ic805....LRGB합성

    위사진:: 지난 20일 토요일 밤에 찍은 L이미지(R645필터사용)를 10월15일 찍은 RGB이미지에 더했습니다. 달이 지기 전이고구름이 계속 왔다갔다 해서 좋지 않은 조건인데 찍히긴 찍히더군요. 6분노출 4장,30분노출 1장 ----총 54분노출, 10D + 200mm F1.8개방...
    Date2004.11.27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946
    Read More
  2. NGC2264 Cone(12" Re...)

    예전에 R200SS로 찍은 사진을 12"로 다시 찍어 봅니다. 구경이 커서 인지... 예전 사진 보다는 자연 스럽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 처리도 수월 햇던 것 같은데.. 역시 Detail은 불가능 한 것 같습니다.. 광축이 많이 나가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2인...
    Date2004.11.29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298
    Read More
  3. M76

    12월 2일 월출이 9시 41분임에도 불구하고 이윤님이 새로이 개척하신 관측지로 머얼리 나가 오랜만에 test shot을 날렸습니다. 에스키모를 찍어보고싶은데.. 달 옆에 있으니 일단 비슷한 Blue snowball(NGC7662)로 test : 꽤 밝더군요.. ISO 800에 15초주니까...
    Date2004.12.0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418
    Read More
  4. 오리온

    휴... 결국 밤 샜네요...ㅠㅗ ㅠ em-200은 괜찮았는데... em-10 녀석이 자꾸 가이드 에러가 나네요...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터를 아무리 조절해도... 밸런스 문제인가? 맞췄는데...ㅡㅗ ㅜ FS-78 (D=78mm, fl=630mm) ST-2000XM (-20도) L = 300s x 10 RGB = 각...
    Date2004.12.06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311
    Read More
  5. NGC 7635 Bubble Nevula

    아산관측소의 첫 가동을 김상욱님과 최원균님이 같이 했습니다. 돕을 가져오신 김상욱님은 좁고 높은 벽 덕분에 관측을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골 마을에 있는 관측소로서는 나름대로 기능을 할 것 같습니다. 사진을 걸어 놓고는 국밥 먹고 오고...
    Date2004.12.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19
    Read More
  6. M1(카세그레인)

    Object: M1 . Exposure: L3, R2, GB1 ALL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12inch casse+astrophysics reducer, f=4030x0.67=27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
    Date2004.12.08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116
    Read More
  7. COCOON 성운-1

    Object: COCOON Exposure: L5, R2, GB1,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6inch Tak. Refractor,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7/24/2004 KST 지난 ...
    Date2004.12.09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072
    Read More
  8. COCOON 성운-2

    Object: COCOON Exposure: L3, R2, GB1, 12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6inch Tak. Refractor,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0/15/2004 KST 10...
    Date2004.12.09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906
    Read More
  9. 말머리성운

    주중에 덕초현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오리온 제타성의 밝기가 엄청나서 피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필터 간섭무늬가 많이 보입니다. 2일에 걸쳐 찍었는데 아직 장수가 부족해 보여서 더 찍어볼 생각입니다. AP130EDF, EQ1200GTO, ST10XME RRGB (50m, 15m, 15m)
    Date2004.12.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55
    Read More
  10. M1(CRAB)

    Object: M1(CRAB) Exposure: L4, RGB2, 12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6inch Tak. Refractor,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2/10/2004 KST 어제...
    Date2004.12.11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951
    Read More
  11. NGC2359 (Thor's Helmet)

    수요일 저녁이 아쉬워서 금요일저녁에 천문인 마을에 한번더 갔습니다. 장비를 그대로 두고 오니 시간이 많이 절약되더군요. 이날 모두 3개의 대상을 찍었는데, 초점을 초저녁에 맞추고 찍었더니, 새벽에는 경통이 수축하면서 초점이 조금 맞지 않는 현상이 ...
    Date2004.12.12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331
    Read More
  12. M78

    어제는 겨울철의 은하수가 시리우스 옆을 지나 지평선까지 흘러가더군요.. 겨울철은하수를 이처럼 뚜렸히 보았던적은 처음이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사진은 ............. 기대에 부응을 안해주는군요., 9.25 SCT F6.3 / 300D : ISO 3200 180 ~ 250 se...
    Date2004.12.1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88
    Read More
  13. M78

    아산 개인 관측소에서 찍은 두번째
    Date2004.12.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26
    Read More
  14. NGC7023_IRIS

    이전 고수님들의 CCD 사진들이 너무 잘나와서 비교 됩니다... 지난주 금요일 관측 가서 산너머로 넘어가는 대상을 간신히 찍은 사진 입니다. 가이드가 원인을 모르게 흘렀습니다.... 다른 사진들은 이렇게 심하지 않은데.. 12" F4, 20D, ISO800, N/R OFF, 16...
    Date2004.12.1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89
    Read More
  15. 카시오페이아자리 성운 IC63, IC59

    2등급 정도의 카시오페이아 감마별 위에 있는 아주 희미한 성운들입니다. 아래의 푸른색 반원은 밝은 감마성 별빛이 필터에 반사되어 생기는 간섭무늬입니다. AP130EDF, EQ1200GTO, ST10XME L 5min x 5 RGB 5min x 3 2004년 12월 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Date2004.12.1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25
    Read More
  16. Horsehead Nebula

    양평에서 찍었습니다. pentax100sduf2, EM200t2jr, sxv-h9 +cfw-8a 2분50초 노터치 가이드 L*7장 RGB*각3장 맥심에서 평균합성한후 ps7에서 레벨조절. 아~~~오토가이드 때문에 머리에 쥐납니다.
    Date2004.12.17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064
    Read More
  17. NGC 2392 . Eskimo(revision)

    에스키모를 .. 드뎌 찍어보았습니다. 사진자체는 좀 삐리리합니다만 ... 조금씩 흐르기도 하구요. 과다한 이미지처리.... 기타 등등 그래도 너무나 예쁜 대상을 찍어서 기분이 매우 좋습니다. ㅎㅎㅎ 9.25SCT FL 2350 / 300D / ISO 3200 30sec 30매. * 아무래...
    Date2004.12.1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09
    Read More
  18. 물에 뿔은 흑장미.

    어제 ccd FirstLight 겸 사용법도 익힐 요령으로 양평에 갔습니다. 원래는 H-alpha로 칼라 버전 장미를 꺽을 요령이었으나, 익숙치 않은 관계로 시간만 허비하고, 막상 찍으려니 하니, 안개가 깔려 허탕친 하루가 되었습니다. 여러시간 이미지 처리하다가 결...
    Date2004.12.17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098
    Read More
  19. IC443

    쌍둥이 자리에 있는 대상입니다. 밝은 별 때문에 불루밍이 생기는 관계로 꺼려지는 대상이지만 도전해 보았습니다. 입실론을 써 본 바로는 이 촛점거리 근처에서는 최고의 사진용 망원경이 아닐까 합니다. 다시한번 최 형주님께 감사드립니다. . Takahashi e-...
    Date2004.12.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51
    Read More
  20. NGC281_20041210

    지지난주 금요일 찍은 팩맨 입니다. 한주 동안 망년회다, 내년 경영계획이다.. 정신이 없어서 정말 이미지 처리 할 시간이 나질 않는 것 같습니다. ISO800으로 어떻게 나올지 궁금 하여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노이즈는 정말 없더군요... 대신 측면에 열화 노...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09
    Read More
  21. IC5146 코쿤성운

    L(R) 5min x 5 RGB5min x 2 AP130EDF, EQ1200GTO, ST10xme 2004년 12월 10일 덕초현 요즘은 서쪽으로 많이 기울어 늦은 감이 있었지만, 혜성촬영을위해 굴절을 달아 놓고 기다리다 찍어 보았습니다.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04
    Read More
  22. B33 (재처리)

    이번 토요일 덕초현에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처음으로 다크도 찍고, 가이드도 해본 첫경험(??)의 사진입니다. 오랜만에 보그5인치로 찍었습니다. ED라 그런지 B채널 별상이 더 큽니다. B채널만 초점 따로 잡아주면, 현재로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장비가 ...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084
    Read More
  23. NGC 2174

    서리가 엄청나게 내리고 가이드 ST-4의 내부 제습제가 습기를 먹었는지 CCD표면에 얼음이 얼고....결국분해해서 전자랜지에 구어서 신속히 재조립...사진찍다 별짓다합니다. 2004.12.19. BRC250,20D,ASA800,5min 13매합성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907
    Read More
  24. M42 부근...

    충북음성에서... 2004. Dec. 18~19. Canon 10D, iso800, 180s, 100s Pentax SDUF(400mm), AP1200QMD . 180초짜리와 100초짜리 찍어서 달랑 두장 합성... 처음으로 DSLR로 오라이언 성운을 찍어봤습니다... 재밌네요... 3분노출에 요놈들이 나온다는 것이... ^...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22
    Read More
  25. NGC2282

    12월20일 저녁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외뿔소 자리에 있는 크기 3' 의 작은 성운입니다. R200SS용 콤마코렉터를 구입하여 콤마수차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고, 처음찍은 대상입니다. R200SS 콤마코렉터는 오리온250과 궁합이 잘맞더군요. 주변부까...
    Date2004.12.22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944
    Read More
  26. NGC2359 thor의 헬멧

    겨울철 큰개자리에 있는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성운입니다. Thor는 신화에 나오는 인물 http://astrophoto.co.kr/zeroboard/data/temp/thor.jpg 로 머리에 쓴 헬멧을 닮았다는 이름 입니다. 12인치급에서 OIII 필터를 사용해 보면 성운의 모습을 뚜렷하게 볼 ...
    Date2004.12.2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63
    Read More
  27. NGC2264 Christmas Tree Nebula

    작년에도 크리스마스 전후해서 팬탁스 EDHF II와 2000XM로 촬영하여 올린적이 있습니다. 밝은 별이 많아 처리하는데 애로가 있어서 밝은 별 주위의 별들이 이상하네요... 다음에는 Ha도 찍어 보아야 겠습니다. Takahashi e-160 F 3.3 ST-10XE w/ CFW-8a(-38) ...
    Date2004.12.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38
    Read More
  28. [필름] NGC2237 장미성운

      12월 4~5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 필름 1/2 정도를 크롭하여 8x10 인화,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관측지에 너무 ...
    Date2004.12.25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178
    Read More
  29. NGC 2359 Thor's Helmet_20041211

    지난 12월 11일 새벽에 찍은 헬멧 입니다. 다른 CCD 사진 과는 많은 차이가 나는것 같지만 용기내서 올려 봅니다.... 12inch F4 reflector,With Vixen R200SS Coma Corrertor NJP Temma PC, ST-5C Guide With Sky-90, EOS 20D, 300" , ISO800 X 20 N/R OFF 덕...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78
    Read More
  30. NGC2174_20041212

    원숭이 성운인데... 정식 명칭이 원숭이 인지가 궁금 합니다... 지난 12월 12일 찍은 24장 사진중 간신히 16장을 건질수 있었던 사진 입니다. 앞서 찍었던 M45는 무려 30장 정도를 통채로 날려 버려서... 나중에 또 찍으면 되지 하지만 자꾸 미련이 남습니다....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103
    Read More
  31. M42_43 Orion

    지난 12월 18일 찍은 사진 입니다.. 원래 다른 대상을 찍으려 하였는데, 날씨가 옅은 구름이 껴 있어 포기 하고 밝은 대상인 오리온을 찍어 보았습니다. 찍을 대상이 없어 좀 많이 찍어 보았는데, 역시 날씨 때문에 결과물은 신통치 못한 것 같습니다... 초점...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306
    Read More
  32. IC405 / Flaming Star Nebula

    덕초현에서 천문대 공사 감독 한다고 몇번 가서 많이도 찍었군요. 마차부좌에 있는 IC405성운입니다. 밝은 별 주변의 푸른기운이 특색있는 대상입니다. 이번에는 처리를 달리 했는데 RGB를 1X1으로 찍고 모든 프레임을 가산합성으로 스텔라이미지에서 합쳐 L...
    Date2004.12.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