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9.14 09:53

m27

(*.255.216.142) 조회 수 1286 추천 수 150 댓글 8


2004년 9월 13일 밤 안산에서 촬영한 아령성운 입니다.
어제의 안산 일대학의 하늘 조건은 여러분들도 아시겠지만 정말 그냥 그랬습니다.^^
하늘에 간간히 밝은 별만 보이는 그런 상황이고 안개가 끼고 약간씩 구름도 왔다갔다 합니다.
이슬은 빗물이 되어 흥건할 정도로 고이더군요.
무엇하러 이런 날에 나왔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공부 하는 학생으로써 날씨 탓만을 하고 있을 수는 없었습니다.
이제는 장비를 다루는데 어느정도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초점 조절하는 방법이나 가이드 하는 방법 등등....
조금 미숙하기는 하지만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지는 영 아니네요.
사과의 한쪽은 보이지도 않고 그나마 광해로 인하여 왼쪽 아래쪽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그라데이션이 생겼습니다.
아직도 해결을 못하고 있는데 다음에는 완전히 해결 하고 싶습니다.^^

250mm(F:6)
ST7
-10C
3 x 600s
Auto guide

  • 김형석 2004.09.14 11:55 (*.248.213.129)
    멋집니다..
    플랫 이미지를 찍으면 어떨까요?
    저도 아직 해보지는 않았는데 이제부터라도 찍어볼려구요 ^^ 필터를 쓰지 않을때요
  • 박대영 2004.09.14 11:55 (*.204.21.252)
    저도 어제 분당으로 관측갔었습니다. 밤 10시를 넘기면서부터 하늘은 좋아졌지만 워낙 대기중에 습도가 높아 금새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더군요..한동안 별을 못봐서 그런지 요즘은 날만 맑으면 물불을 가리지 않게되네요..^^
  • 최승용 2004.09.14 12:23 (*.255.216.142)
    저도 플랫을 찍을까 하다가 그냥 포기 했습니다.
    지금은 이미지의 질을 따지는 것이 아니고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까요. 물론 플랫을 찍어서 좀 더 좋게 만드는 것도 공부겠지만 나중에 하지요 머...^^
    정말 어제는 이슬이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장비 가방에 이슬이 아닌 비가 내린 것 같아서 걸레로 닦아야만 했습니다.^^
    좋은 이미지들 올려 주세요^^.
  • 김상욱 2004.09.14 12:37 (*.112.78.16)
    없어진 사과의 한쪽은 그라데이션을 처리하여 제거하면 혹시 살아나지 않을까요?
    음 정말 어제 이슬은 장난이 아니더군요.
    올해는 왜 이리 별 보기가 힘든지...쩝
  • 박병우 2004.09.14 18:50 (*.79.196.169)
    사과의 한쪽은 잘 보이지는 않지만 사과내부의 성운은 풍부하군요. 이번달(10월호) 천문가이드 최우수작품이 m27인데 필터((H알파, H베타, O3)를 사용해서 찍었군요. 광해가 있는 도심지에서는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방책이 아닐까합니다. 바탕색의 명암이 변하는 현상을 없애려면요.
  • 박현권 2004.09.14 20:57 (*.72.183.173)
    어제 박대영씨랑 같이 분당에 갔었습니다.
    저희도 어제 이슬맛 톡톡히 보았습니다.

    장비들 괜찮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진을 찍어보기 위해서라기 보다,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볼겸 해서요.
    1번째는 CN212 뉴토니언 테스트이고,
    2번째는 DSLR Focuser로 초점 잡아보는 것이었습니다.
    1번은 이상하게도 주경이동을 끝에서 끝으로 해보아도 초점이 잡히지 않아, 실패했습니다.
    다카하시 카타로그를 봐도 문제 없어보이는데요.
    그리고 2번째는 잼있었습니다.
    저같은 막눈도 칼초점을 잡을수 있는 길이 열릴꺼 같습니다.
    보그 76으로 NGC31(하도 어둡게 찍혀서...)을 찍어보았는데, 별 신통치는 못했습니다.
  • 이건호 2004.09.15 09:26 (*.101.108.100)
    저도 나갈까 고민하다 참았습니다 ^^
    통상적인 플랫을 찍어서는 이 현상은 보상이 안됩니다. (사과 옆의 검은 동그라미등은 제거가 잘 되구요)
    근본제거는 후드를 보강해 보는 방법이 있겠구요, Ha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후처리로는 맥심 필터의 그레디언트 제거를 쓰거나 스텔라이미지의 주변감광/커브리보정에서 조정 가능합니다.
  • 최승용 2004.09.15 09:41 (*.255.216.142)
    저도 건호씨와 같은 견해 입니다.
    그리고 또한 한가지는...
    제 망원경의 접안부는 JMI사의 접안부 입니다. 그런데 이 접안부의 하부 그러니까 경통과 연결되는 부분의 곡률이 현재의 경통보다는 큽니다.
    접안부를 경통에 연결 하고 직각도를 맞춘다고 볼트로 높낮이를 맞추다 보면 경통에서 약간 떨어 집니다.
    이곳의 틈새(약 2mm정도)에서 주변 광해가 들어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다음에는 여기도 막아 보고 촬영해 봐야겠습니다.
    굴절이나 슈미트카세, 그리고 뮤론 같은 방식은 그럴 영향이 없겠지만 저와 같은 접안부를 쓰는 뉴튼식이람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접안부도 교체를 해야할까요?
    이것저것 손볼 것이 많네요^^.

  1. Crescent Nebula

    이미지 처리하기가 너무 힘들었습니다. 제대로 찍어야 쉬운 것을... 초점, 가이드성 찾기에 무척 시간을 허비 했는데 요것밖에는 안되었네요. 다음을 기약해야죠.... 도심에서 찍어서 그런지 전체적으로 어둡게 나와 커브를 많이 올려서 노이즈가 심합니다. ...
    Date2004.09.12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92
    Read More
  2. 나도 초생달성운(NGC6888)

    . Object: NGC6888 . Exposure: L: 600sec x 3, RGB: 600sec x 1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8/10/2004 KST...
    Date2004.09.12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150
    Read More
  3. m27

    2004년 9월 13일 밤 안산에서 촬영한 아령성운 입니다. 어제의 안산 일대학의 하늘 조건은 여러분들도 아시겠지만 정말 그냥 그랬습니다.^^ 하늘에 간간히 밝은 별만 보이는 그런 상황이고 안개가 끼고 약간씩 구름도 왔다갔다 합니다. 이슬은 빗물이 되어 흥...
    Date2004.09.1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286
    Read More
  4. 궁수자리 성운들 -4장모자잌

    10D 200mm F2.5 asa1600 4min x 4 거창 신풍령휴게소에서 찍었는데 구름이 오락가락해서 1컷은 제대로 못찍었습니다. 4장합성후 20%리사이즈 포토샵에서 합성.
    Date2004.09.17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132
    Read More
  5. IC 1396 세페우스자리

    북천의 세페우스자리에 위치하는 대형성운 IC1396의 일부분입니다. 습기가 많고 구름이 오락가락하는 날씨였습니다. 2004년 9월 16일 분당 전원주택단지내 촬영 Vixen FL70 F6, EM200, ST10xme Ha 20min x 3
    Date2004.09.1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71
    Read More
  6. 백조자리..

    모자익 6장인데 한장이 좀 거시기합니다. 200mm로 f2.5 asa1600 4min 25%로 줄였습니다.
    Date2004.09.18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83
    Read More
  7. 네트워크 성운

    스타파티는 잘 다녀 오셨는지요. 이런 저린 일때문에 못가서 너무 아쉽습니다... 16일에 OIII필터를 시험해 보았습니다. 역시나 일때문에 가이드 신경쓸 겨를이 없어서 120초 노터치로 찍었습니다. 노출시간이 적어서인지, 아니면 후드가 없어 직접적으로 잡...
    Date2004.09.19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30
    Read More
  8. NGC7293 쌍가락지성운

    지난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시상은 나쁘고 투명도는 괜찮은 전형적인 초가을 날씨였습니다. 쏟아지는 빗속에서 낮에는 과연 별이나 볼 수 있을까 반신반의 했는데, 10시를 넘어서 부터 기미가 보이기 시작하더니... 11시부터는 드디어 사람...
    Date2004.09.2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646
    Read More
  9. NGC7023

    베란다에서 찍었습니다. 충분한 노출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삐리리한 사진이 되었습니다. 초점, 가이드 등의 여러가지 원인들에 대한 개선방법을 생각중입니다. 오리온250, 5분x40장
    Date2004.09.25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131
    Read More
  10. M42중심부

    예전에 찍었던 적이 있던 사진입니다. 10나노의 Ha필터를 테스트 할 요량으로 찍었습니다. ST-10XE의 첫 사진입니다. 아직은 손에 익지 않은 것도 있고 또 시상까지 아주 좋지 않아 장 촛점 Ha의 위력으로 보기에는 별상이 너무 큽니다. 이날 출사는 대전에서...
    Date2004.09.2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38
    Read More
  11. Network Nebula part mono 재처리^^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시는지요? ^^ 저는 역시나 옥상에서 꿈틀 꿈틀... 가이드에 문제가 많았습니다. 많이 찍었지만 두장 밖에는 못썻네요. 다음에 많이 찍어봐야겠습니다. 광명시 Orion8"(f4.4), Em200TM2jr SX HX916 Ha 600sX2장
    Date2004.09.26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04
    Read More
  12. [분당] 오리온

    올겨울 첫 오리온입니다. 금요일 이건호님과 함께 분당에 갔었습니다. 장비가 마땅치 않아, 보그 76으로 찍었습니다. 디스크 풀났는지 몰라서 1시간 이상 한 컷도 찍히지 않은게 아쉽습니다. Borg76 + IDAS2 filter + 10D 5 * 5min
    Date2004.09.27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593
    Read More
  13. M42

    Object: M42 . Exposure: L3 R2 GB 1: ALL 42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Q106 f:53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9/24/2004 KST . 이것도 열심...
    Date2004.09.29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389
    Read More
  14. 오리온

    2004년 9월 25일 분당 전원주택지 니콘105미리 F2.5, EM200, ST10xme Ha 20min x 5 광시야 사진에 쓰려고 니콘 수동 105미리 렌즈를 중고로 구했습니다. 100미리 전후의 초점길이가 필요했는데 몇군데 일반사진가의 리뷰를 보니 좋다고 하더군요. 써보니 CCD ...
    Date2004.10.0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09
    Read More
  15. Network Nebula maped Color test ^^;;

    어제는 정말 좋은 날씨였지요?^^ 광명시에서도 달만 없었다면 은하수가 꽤나 잘 보였을 것 같았습니다. 아직 S2필터가 없어서 Ha와 O3필터만 가지고 찍어보았습니다. 역시나 가이드에 문제가 있었는데, 이제는 문제가 뭔지 알아냈습니다. ^^!! 다음에는 좀 나...
    Date2004.10.03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58
    Read More
  16. 오리온 성운 HA+OIII

    역시나 부족한 사진이지만 올려봅니다. 계속 배워나가야겠죠... 광명시, 04.10.02 Orion8"(f4.4) Em200 TM2jr ST-5C SX HX916 Ha 300 X 5장 10 X 10장, OIII 300 X 4장 10 X 5장 10D R + HaO3
    Date2004.10.03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375
    Read More
  17. IC1396과 백조자리 감마성 부근

    2004년 10월 2일 분당전원주택지 Ha 20min x 5 (1x1, -20c) Nikkor 105mm F2.5 @F4, EM200, ST10XME 10월의 첫 주말은 청명도가 아주 좋은 날이었습니다. 김영재님이 TEC 8인치 굴절의 첫 관측을 하자고 제의하셔서 겸사겸사 카메라를 들고 나가 촬영을 했습...
    Date2004.10.0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32
    Read More
  18. NGC7023

    NGC7023 칼라버젼입니다. 청학리 베란다,오리온250+MT160리듀서, LPS-P1, R,G : 10분 x 3, B: 10분 x 4 L 10분 x 8, 5분 x 30 노출시간은 엄청난데 사진은 별로 군요....
    Date2004.10.04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279
    Read More
  19. 펠리칸 성운

    오랜만의 출사였습니다. 비록 혼자였지만 그동안 속 썩이던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 수확이었습니다. 이제는 새 기기의 본격 가동입니다. 하지만 Ha RGB합성에서 좀더 공부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점점 더 나아지겠지요.. . . Pentax SDUF II Takahashi EM 200 ...
    Date2004.10.0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7
    Read More
  20. NGC 7635

    광명시내의 엄청난 광해 때문에 자연스러운 LRGB를 찍을 수 없는게 안타깝습니다. 총노출시간은 긴편이지만 각각 5분이라는 짧은 시간때문에 성운기가 많이 죽어있습니다. 커브를 살짝살짝 조정해서 거짓색을 입혀보았습니다. 별색을 살릴 수 없는게 가장 문...
    Date2004.10.05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032
    Read More
  21. ic1396

    케페우스자리에 있는 IC1396입니다. 어제 ngc멤버들하고 거창 신풍재 관측가서 찍었습니다. 처음 찍는 대상인데 정말 어둡더군요. 10D, 3200감도, DeepSky Filter,200mm F2.0으로 2min X 16장 달 뜰때 찍은거라 하늘 배경이 밝아서 좀 삐리리한 사진이 되었습...
    Date2004.10.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39
    Read More
  22. NGC281 close up

    새벽에 안개가 옅게 끼어서 많이 어둡게 찍혔습니다. 노출시간을 늘리고 싶은데 밤새도록 혼자 나두기에는 먼가 불안해서 적은 노출으로 여러장 찍었습니다. 흑백이라 이미지 처리가 많이 쉬워졌습니다.중간합성한 후 평균합성하니 노이즈도 많이 줄었구요. ...
    Date2004.10.06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202
    Read More
  23. ic-1805

    어제 낮에 날이 워낙 좋았던터라 일기예보가 수상쩍음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공주 마티재로 나갔었습니다. 하늘도 많이 밝고 게다가 구름까지... 그래도 안찍어본것들 중에서 테스트샷 1컷! asa800 10d + 200mm F2.0 4min x 4매 DeepSky Filter .. .. 역시 삐...
    Date2004.10.09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06
    Read More
  24. M42 오리온 성운

    2004년 10월 8일, 충청남도 성거산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Reducer F:6)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300 sec x 1, 1/2 resize 날씨가 좋은 편이었는데, 지역적인 구름이 자꾸 지나가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진을 찍을 수가 없었습니다. ...
    Date2004.10.10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403
    Read More
  25. M78

    Object: M78 . Exposure: L3 RGB 1: ALL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0/10/2004 KST
    Date2004.10.11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076
    Read More
  26. NGC7293_20D_20041010

    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사진 올리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뭐했는지.... 20D처음 찍어보는 Deep Sky 입니다. 낮은 고도의 대상이라 많이 타버렸습니다.... 09:00~22:40 R200SS, NJP Temma, EOS-20D, LPS P2, ISO1600*5, ISO 800*7 4분*12장 합성 중앙부 50% ...
    Date2004.10.12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340
    Read More
  27. 장미와 크리스마스트리

    2004년 10월 2일 분당전원주택지 Ha 20min x 5 (1x1, -20c) Nikkor 105mm F2.5 @F4, EM200, ST10XME
    Date2004.10.1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94
    Read More
  28. NGC 281

    일요일에 찍은 사진입니다. 여러가지 문제로 많이 찍지를 못했습니다. 걸어 놓고 잤는데 구름 한덩어리 그곳으로 지났갔던 모양이던군요. S/N이 떠어져 노이즈가 많이 보이지만 다음의 가능성을 보게 하는 사진입니다. Celestron C8 (F 6.3, Fl 1260) EM200 T...
    Date2004.10.12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01
    Read More
  29. Object: NGC7293

    Object: NGC7293 . (윗 사진) Exposure: L6 RGB2: ALL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0/10/2004 KST . ...
    Date2004.10.13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149
    Read More
  30. 장미성운 / 말머리 성운

    동트기 전 마지막 컷.. 어둡게 찍힌걸 뽀샵에서 손을 많이 봐서 색감 등이 좀 이상하지만....... 처음 찍어보는 대상이라 올려봅니다. SKY 90 with flattner LPS P2 filter. EM 200 No touch guide 300D ISO 1600 5분. 5장 / 10장 가중합성.. 각 사진의 별의 ...
    Date2004.10.1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583
    Read More
  31. 말머리성운

    말머리성운 . Object: Horse Head . Exposure: L2 RGB 1: ALL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Q106 f:53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9/24/2004 ...
    Date2004.10.13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231
    Read More
  32. B33 Horse head

    저도 한번 올려 봅니다... NADA갤러리가 신입 회원분들의 멋진 사진으로 불이 붙은 것 같습니다.^^ Raw 촬영된 이미지라 이미지 편집 시 색상 표현이 약간은 수월 했던 것 같습니다. 역시 일요일 새벽에 촬영 하였고, 그 후휴증으로 감기 몸살 까지 걸려 이젠...
    Date2004.10.14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