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8.31 10:58

M57

(*.255.244.57) 조회 수 1393 추천 수 172 댓글 16




(원본 사이즈 이미지와 확대 크롭한 이미지를 올립니다.)

2004년 8월 30일 오후부터는 하늘이 좋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4시가 넘어서야 관측을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박병우, 최승용, 박정용, 배철균님등이 참석 하셨습니다.^^
저녁은 배철균님이 사가지고 오신 김밥으로 대신하고요...

태풍의 언저리라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바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잠깐씩 불어 오는 바람은 기분이 좋을 정도였습니다.

처음으로 사용해보는 냉각 CCD라서 낮설고 어설프기가 그지 없었습니다.

이건호씨가 가이드 케이블을 만들어 주면서 사용법을 알려 주었고 지난 토요일 아산으로 달려가 인준씨에게서도 약간 사사를 받았으나
도저히 저 혼자 힘으로는 사용법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일단 가이드를 하는 법을 모르겠고....(잘 되지 않더군요.)
다행이도 박병우님이 옆에 계서서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 하는 법 입니다.

열심히 찍고 있는데 지나가던 아이들이 전원선을 발로 차면서 꽝이 되어 버렸습니다.

다시 시작한것이 이 이미지 입니다.

하늘의 조건은....
투명도는 약간 좋은 듯 하지만 역시 하늘에 옅은 구름이 살짝 깔려 있는 것 같았습니다.
싱도 좋지 않았구요.

250mm (F:6) 직초
10장 x 180초
-5C
ST-7
Auto guide
seeing 4/10
trans 6/10

맥심에서 합성하고 포토샾에서 이미지 처리를 조금 했습니다.
아직 잘 모르는 것이 많아서 허접 합니다.
그리고 흑백 이미지라서 더욱 그럴 것 같습니다.

넓은 아량으로 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 김상욱 2004.08.31 11:10 (*.112.72.15)
    짝짝짝~
    축하드립니다.
    사진 좋습니다.
    저도 곧 조만간 마침내 드디어 비로소... ^^
  • 문병화 2004.08.31 11:19 (*.98.30.190)
    도우넛이 먹음직 스럽군요...
    고리가 입체로 보면 도우넛인거 처음 알았읍니다...
  • 추현석 2004.08.31 12:12 (*.93.0.129)
    축하드립니다.
    좋은 촬영장비를 구하셨군요.
    이것 저것 찍으시느라고 바빠지겠습니다.
    건강도 유념하시구요~~~ ^ ^
    좋은 작품 많이 올려 주세요~~~

  • 이건호 2004.08.31 12:13 (*.101.108.100)
    역시나... 아주 잘 나왔습니다.
  • 황인준 2004.08.31 12:19 (*.150.204.202)
    축하합니다. 성님...
    멋진 사진입니다.
  • 최승용 2004.08.31 12:22 (*.255.244.57)
    쑥스럽군요.
    박병우씨, 건호씨, 인준씨의 도움으로 이런 이미지를 찍을 수 있었습니다.
    도움 주신분들 모두 감사 합니다.
    이렇게 딥스카이 사진을 찍을 기회가 저에게 없을 줄 알았는데.....^^
  • 박병우 2004.08.31 12:41 (*.79.196.169)
    승용씨~ 첫 사진 축하합니다. 고리 중심부 별들이 잘 보이는군요. 어제는 컨디션이 영 안좋아서 차안에서 잠만 자다가 왔습니다. 오늘 잠을 푹자고 나니까 좀 낫습니다. 지가 도와드린 것도 없는데유~ 오히려 제가 맥심 작동요령을 배워야 될 것같더군요.
    .
    그리고 너무 무리하지 말고 사진 찍기 바랍니다. 그저께 천문인마을에 갔을 때는 그냥 맨몸으로 갔더니 세상에 좋습디다. 영화도 보고 테리비도 보고...천천히 무리하지 말고 노세요.
  • 김영렬 2004.08.31 13:27 (*.232.128.122)
    이제 냉각 CCD로 사업 확장이군요. 사진 너무 좋습니다.
  • 이준화 2004.08.31 13:38 (*.249.97.69)
    사진이 정말 좋습니다.~ 첫 CCD 사진 축하드립니다.
  • 선숙래 2004.08.31 13:46 (*.120.131.33)
    멋있습니다.사진에 깊은 맛이 있어 보입니다.
  • 김영재 2004.08.31 13:46 (*.251.197.105)
    첫작품에 이런 멋진 이미지가 나올 수 있군요..
    앞으로 더욱더 멋진 이미지 부탁 드립니다..
  • 박정용 2004.08.31 14:14 (*.181.18.130)
    어제는 뽐뿌에 무척 시달렸습니다.
    괴로운 밤이었습니다.
    멋진 사진을 보니 더욱 뽐뿌질을 당하는것 같습니다.^^
  • 최승용 2004.08.31 14:17 (*.255.244.57)
    초짜에게 칭찬 일변도는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제는 천천히 즐기면서 취미 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즐거운 취미 생활 하세요^^.
  • 이경화 2004.08.31 15:31 (*.88.36.144)
    어머나! 예고 멘트들에 뭘까 궁금했는데.. 역시CCD군.
    축하해! 찍을게 엄청나게 많아졌는데, 과연 천천히 즐길수 있을까나?
    모르겠고.. 안 된다고 하더니만, 바로 작품이네. 앞으로 눈이 즐겁겠네. 화이팅!
  • 김형석 2004.08.31 17:40 (*.243.56.170)
    헉 결국은 ! 시작부터 작품을 만드셨네요.
    대단하세요. ST-7 동지가 생겨서 더 즐겁구요 ^-^
  • 이윤 2004.09.01 11:39 (*.249.49.91)
    첫사진이 너무 근사합니다.
    좋은 사진 많이 많이 올려주시길... ^ ^

  1. 오리온대성운

    대작에 이어 올리려니...ㅠㅠ 제사진은 대성운도 아닌듯 합니다. 박대영선배님과 어제 양평에서 간단한 관측번개에서 몇 장 찍은 사진 중 올려봅니다. 디카로 필름스런 느낌을 내보려는데 이도저도 아닌 색이 되버렸습니다. 촬영일: 2005년 10월 11일(새벽) ...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41
    Read More
  2.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2nd edition.

    다른 모니터로 보니 외각부에 녹색기운이 강한것 같아서 조금 손을 보았습니다...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885
    Read More
  3. NGC2237 장미 한송이

    빠알간 ... 2탄. 장미.. 촛점이 나가서.. ㅠㅠ AF 300mm 2.8 ( F 4) ISO 800 5min x 8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83
    Read More
  4. [st-2000xm] 말머리 성운

    바람이 많이 불었던 날이네요... 노출 시간에 비해 이미지가 거친것 같네요... LCD와 CRT를 동시에 봐가며 작업을 해야겠네요...;;; 음... 예전에 같은 장비로 찍은 90분짜리 말머리보다 더 거칠군요... 모니터를 바꿔야하나...ㅡㅗ ㅡ;;;;; ^^ Canon FD 400/...
    Date2005.10.12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82
    Read More
  5. IC 405 410

    빠알간 시리즈 3탄... Flaming star nebua with... AF 300mm 2.8 ( F 4) ISO 1600 4min x 8 일부 crop후 1/2 resize..
    Date2005.10.1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52
    Read More
  6. IC1396 2118

    망한사진입니다. DSLR로는 역부족.. ㅠㅠ
    Date2005.10.1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883
    Read More
  7. m42

    덕초현 스타파티 참가기념 오리온 입니다. 구름때문에 영 시원찮은 오리온이 되고 말았습니다 가이드도 안되고.. 촛점도 맟추지 못했습니다. 중심부는 DDR로도 살리지 못했지요. 그래도 사진을 찍는 목적보다 많은 회원들고 즐거운 시간을 나눈 목적은 ...
    Date2005.10.13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060
    Read More
  8. 하트성운

    생각보다 꽤 어둡던 대상이었던거 같습니다. 구름사이사이로 촬영을 하다보니 노출도 부족하고 다소 과도한 처리를 해서 보기가 좀 그렇습니다. 촬영일: 2005년 10월 10일 촬영지: 양평전원주택지부근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Fringe killer f...
    Date2005.10.1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75
    Read More
  9. ngc281

    한장이라 패크맨의 디테일함은 전혀 없네요. 형태가 나왔다는 의미로만 올려봅니다. 촬영일: 2005년 10월 10일 촬영지: 양평전원주택지부근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Fringe killer filter 적도의: 다카하시Temma 2 카메라:canon350D 노출정보:...
    Date2005.10.13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938
    Read More
  10. NGC 7000 North America Nebula

    좋은 조합이기는 한데 아쉬웠던 점은 붉은색 수차가 있다는 것입니다. 좀 아쉬운 점이 많은 사진입니다. FS-60c w/ Sky90용 프래트너 & 리듀서 (FL 300mm) AP EQ1200 ST-10XE w/ CFW-10(-20) Ha : 1000sec(1X1) X 2 GB : 600sec(1X1) X 2 2005/10/4 20:33 나...
    Date2005.10.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75
    Read More
  11. 051008_ngc281

    역시 2005년 10월 8일 천문인마을 스타파티에서 찍은 팩맨 입니다. RGB채널이 이상하게 얼라인이 되지 않아서 크롭을 해야만 했습니다. 구름이 왔다갔다 해서 다시 찍고를 여러번 했더니 그런 결과가 생겼나 봅니다. 첫시도이고 아직 이미지 프로세싱도 힘드...
    Date2005.10.1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103
    Read More
  12. 허전한 장미

    변변치않은 사진으로 도배가 되는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붉은색 성운이 350D로 얼마나 발현되는지 실험차 떠났던 관측이라 정성껏 한장이라도 찍은게 없어서.. 성운외곽에 부드러운 맛은 전혀 없습니다. 아르미죠레일을 빼먹고 가지고가지 못해 배런스도 못...
    Date2005.10.14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115
    Read More
  13. 오리온자리의 버나드루프

    필름스캔하는 중에 나온 사진입니다. 아마 제가 사용한 마지막 E100S인 것 같은데 이로 미루어보아 촬영시기는 2003년 말에서 2004년 초가 될 것 같습니다. 올겨울에는 멋진 버나드루프를 다시 한번 촬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습니다. 촬영장소: 천문인마...
    Date2005.10.1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30
    Read More
  14. IC1805 and IC1795

    이 사진을 찍을때가 하늘에 그래도 구름이 없었나 봅니다. GB의 경우 성운기의 색보다는 별의 크기가 를 같이해서 HaGB합성을 했습니다. 별색이 좀 밍밍하지만 디테일은 만족스럽습니다. 성운기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채널을 믹스 약간하고 커브 조정했습...
    Date2005.10.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76
    Read More
  15. M8 & M20 (2005년 5월)

    지난 5월에 장수에서 촬영한 이미지인데, 다시 처리해 보았습니다. 관측을 자주 나가지 못하다 보니, 이런 낙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ㅠㅠ 100sduf2+GPD+300d+LPS-P2, 반자동가이드 240초 4매 합성 (감도1600) 전북 장수 논개생가터
    Date2005.10.17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777
    Read More
  16. NGC2237 Rosette Nebula

    구름피해 찍느라고 GB를 연속으로 찍지 못해 HaHaGB합성 할때 결국 약간 잘려나가고 말았네요. 60미리 당상처럼 써 먹고 있습니다. 그만큼 넓은 시야에 굶주려 있었나 봅니다. 정말 장미빛처럼 내고 싶어 애를 썼는데 와인색이 잘 안나오네요..^^ FS-60c w/ S...
    Date2005.10.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03
    Read More
  17. M38 / IC417 / NGC1907 Region

    마차부 중심부에 있는 M38부근입니다. 우하단의 IC417은 13분 정도의 크기의 산광성운이고 그 왼쪽 옆은 NGC1907산개성단입니다. 구름이 오락가락한 덕분에 모든 사진의 배경이 매우 거칩니다. 이 화각에는 재미있는 지역인데 구름이 사진을 망쳤습니다. 아쉬...
    Date2005.10.1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02
    Read More
  18. PLN205+14.1 Medusa Nebula

    오랜만에 올리는 12인치 사진입니다. 쌍둥이 좌에있는 행성상 성운입니다. 일명 메듀사 성운이라고도 불리우기는 하나 제가 볼때는 아무래도 저수지 물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낚시에 걸린 붕어 같습니다. 하지만 대구경에 잘 나온 사진을 보면 반대편에도 성운...
    Date2005.10.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63
    Read More
  19. [필름] 베일 성운

    베일 성운입니다. 촬영당시 고도가 낮아서 노출이 과한데다 초점도 별로 좋지 않군요.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현상 폴라로...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919
    Read More
  20. [필름] NGC7822 + Ced 214

    케페우스 자리의 큰 발광성운 두 개입니다. 위의 가로로 길쭉한 것이 NGC7822 이고 아래의 것이 Ced 214 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003
    Read More
  21. NGC 1579

    마차부자리 아래쪽에 위치한 대상으로 12분정도의 크기입니다. 성운치고는 작은 것이지만 Ha,OIII필터를 이용 촬영을 한다면 꽤 넓은 영역까지 성운이 퍼져 있을 듯 싶습니다. 역시 마지막 날에 찍은 대상입니다. FWHM이 4이하로 잘 안 떨어지길래 뭔가 문제...
    Date2005.10.2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27
    Read More
  22. NGC281

    카시오페이아 자리에 있는 팩맨 성운입니다. 지난 천문인마을 스타파티때 촬영한 사진인데 요즘 일때문에 이제서야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이것도 왕창 찍어 볼 생각이었는데 구름때문에 중도 하차하였고 , 조금씩 흐르고 시상도 나빴고 구름에 흐려진 프레임...
    Date2005.10.2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57
    Read More
  23. Ced 214

    오락가락 구름때문에 단 한장 밖에 찍지 못한 사진입니다. 한장도 구름때문에 바탕이 거치고 깨끗하질 못합니다. 올리지 않을까 하다가 참고차원에서 올립니다. . FS-60c w/ Sky90용 프래트너 & 리듀서 AP EQ1200 ST-10XE w/ CFW-10(-20) Ha : 1000sec(1X1) X...
    Date2005.10.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40
    Read More
  24. M42 오리온

    AP130EDF, EM200, STL11000M LRGB (90m, 20m, 20m, 20m) 2005년 10월 11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고쳐진 장비로 스타파티에서 잘 썻는데, 다음날 RO 중 고장이 또 발견되어 이날 밤 다시 천문인마을을 찾았습니다. 결국은 콘트롤러의 스위치 접점에 난 녹...
    Date2005.10.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96
    Read More
  25. IC 405 / IC 410

    역시 오락가락하는 구름이 사진을 망친 격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해 이미지처리의 한계가 들어난 사진입니다. 그 이유로 405의 푸른기운을 잡아내지 못했습니다. 앵글도 잘못잡아 405의 꼬리가 잘렸군요. 맑은 하늘아래 마음놓고 노출 주면서찍...
    Date2005.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09
    Read More
  26. Christmas tree Nebula(REsize ) and etc.

    간만에 장수에 다녀왔습니다. MaxDSLR을 이용하여 촬영을 해보았습니다. Bais , Dark빼주는것까지 는 좋은데.. 그다음부터가 CCD image처리보다 힘든것 같습니다. 300mm F 2.8 (-> F 4.0 ) 20D, ISO 800 400sec 7장합성. half size. 많이 추워졌습니다... 촛...
    Date2005.11.0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01
    Read More
  27. [st-2000xm] Merope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20도) L = 10m x 10 (1x1) RGB = 각 10m (2x2) 망원경 광축도 나가있고... 또... 추측이지만... ccd칩도 약간 틀어진 것 같기도 합니다... 빨리 원인을 찾아 해결을 해야하는데...ㅠㅗ ㅠ 20051103 충북 보은
    Date2005.11.04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187
    Read More
  28. NGC2264 Cone nebula_Christmas Tree Cluster

    지난 금요일 새벽 2시30분에 나다 관측소에 가다 별이 보이길래 중앙천문대에 잠시 들려 찍은 대상 입니다. 김시태 소장님 니콘 200mm 망원렌즈를 사용 했습니다. 구름이 계속 얕게 끼어 있는 상태여서 노이즈가 정말 많습니다.....날씨 때문인지 아님 망원 ...
    Date2005.11.07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284
    Read More
  29. [ST-2000XM] IC 434 RRGB

    FD 400mm 1:2.8L (F5.6) ST-2000XM (-35도, -20도) RRGB RGB = 270m 70m 70m (all 1x1) 올초에 찍었던 것과 저번달에 찍었떤 것, 어제 찍은 것까지 다 합쳐보았습니다....만 역시나 들인 공에 비해 맘에 들지 않네요.
    Date2005.11.10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18
    Read More
  30. M42...

    몰아치는 거센 바람에... 십여장 찍은 사진중에... 달랑 두장만 안흔들렸네요... 그냥 버리기 아까워 올립니다... 2005년 11월 10일 02:26 Celestron C-8 + 0.63x reducer : @~f/6.3 Vixen old Atlux Canon 20D, ISO1600, 82s, 132s 두장 합성 소백산 천문대
    Date2005.11.10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88
    Read More
  31. 장미성운_051108

    오랜만에 촬영을 할 수 있었습니다. 황인준님의 조언으로 RGB분해한 후 각각의 채널을 합성한 이미지입니다. . 칼라이미지를 처리한 후 합성했을때보다 노이즈의 양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다만 아직 확실한 색감을 잡을 만큼의 내공은 싸이지 않아 ...
    Date2005.11.10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491
    Read More
  32. M78

    2005년 11월 9일 덕초현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40m, 15m, 15m, 5m 몇일 되었지만 이제 시간이 나서 처리해보았습니다. 이날은 평일이지만 날이 좋을 것 같아 11K로 안드로메다 촬영하러 덕초현에 다녀온 날입니다. 갑자기 구름이 와...
    Date2005.11.1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