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8.31 10:58

M57

(*.255.244.57) 조회 수 1393 추천 수 172 댓글 16




(원본 사이즈 이미지와 확대 크롭한 이미지를 올립니다.)

2004년 8월 30일 오후부터는 하늘이 좋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4시가 넘어서야 관측을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박병우, 최승용, 박정용, 배철균님등이 참석 하셨습니다.^^
저녁은 배철균님이 사가지고 오신 김밥으로 대신하고요...

태풍의 언저리라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바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잠깐씩 불어 오는 바람은 기분이 좋을 정도였습니다.

처음으로 사용해보는 냉각 CCD라서 낮설고 어설프기가 그지 없었습니다.

이건호씨가 가이드 케이블을 만들어 주면서 사용법을 알려 주었고 지난 토요일 아산으로 달려가 인준씨에게서도 약간 사사를 받았으나
도저히 저 혼자 힘으로는 사용법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일단 가이드를 하는 법을 모르겠고....(잘 되지 않더군요.)
다행이도 박병우님이 옆에 계서서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 하는 법 입니다.

열심히 찍고 있는데 지나가던 아이들이 전원선을 발로 차면서 꽝이 되어 버렸습니다.

다시 시작한것이 이 이미지 입니다.

하늘의 조건은....
투명도는 약간 좋은 듯 하지만 역시 하늘에 옅은 구름이 살짝 깔려 있는 것 같았습니다.
싱도 좋지 않았구요.

250mm (F:6) 직초
10장 x 180초
-5C
ST-7
Auto guide
seeing 4/10
trans 6/10

맥심에서 합성하고 포토샾에서 이미지 처리를 조금 했습니다.
아직 잘 모르는 것이 많아서 허접 합니다.
그리고 흑백 이미지라서 더욱 그럴 것 같습니다.

넓은 아량으로 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 김상욱 2004.08.31 11:10 (*.112.72.15)
    짝짝짝~
    축하드립니다.
    사진 좋습니다.
    저도 곧 조만간 마침내 드디어 비로소... ^^
  • 문병화 2004.08.31 11:19 (*.98.30.190)
    도우넛이 먹음직 스럽군요...
    고리가 입체로 보면 도우넛인거 처음 알았읍니다...
  • 추현석 2004.08.31 12:12 (*.93.0.129)
    축하드립니다.
    좋은 촬영장비를 구하셨군요.
    이것 저것 찍으시느라고 바빠지겠습니다.
    건강도 유념하시구요~~~ ^ ^
    좋은 작품 많이 올려 주세요~~~

  • 이건호 2004.08.31 12:13 (*.101.108.100)
    역시나... 아주 잘 나왔습니다.
  • 황인준 2004.08.31 12:19 (*.150.204.202)
    축하합니다. 성님...
    멋진 사진입니다.
  • 최승용 2004.08.31 12:22 (*.255.244.57)
    쑥스럽군요.
    박병우씨, 건호씨, 인준씨의 도움으로 이런 이미지를 찍을 수 있었습니다.
    도움 주신분들 모두 감사 합니다.
    이렇게 딥스카이 사진을 찍을 기회가 저에게 없을 줄 알았는데.....^^
  • 박병우 2004.08.31 12:41 (*.79.196.169)
    승용씨~ 첫 사진 축하합니다. 고리 중심부 별들이 잘 보이는군요. 어제는 컨디션이 영 안좋아서 차안에서 잠만 자다가 왔습니다. 오늘 잠을 푹자고 나니까 좀 낫습니다. 지가 도와드린 것도 없는데유~ 오히려 제가 맥심 작동요령을 배워야 될 것같더군요.
    .
    그리고 너무 무리하지 말고 사진 찍기 바랍니다. 그저께 천문인마을에 갔을 때는 그냥 맨몸으로 갔더니 세상에 좋습디다. 영화도 보고 테리비도 보고...천천히 무리하지 말고 노세요.
  • 김영렬 2004.08.31 13:27 (*.232.128.122)
    이제 냉각 CCD로 사업 확장이군요. 사진 너무 좋습니다.
  • 이준화 2004.08.31 13:38 (*.249.97.69)
    사진이 정말 좋습니다.~ 첫 CCD 사진 축하드립니다.
  • 선숙래 2004.08.31 13:46 (*.120.131.33)
    멋있습니다.사진에 깊은 맛이 있어 보입니다.
  • 김영재 2004.08.31 13:46 (*.251.197.105)
    첫작품에 이런 멋진 이미지가 나올 수 있군요..
    앞으로 더욱더 멋진 이미지 부탁 드립니다..
  • 박정용 2004.08.31 14:14 (*.181.18.130)
    어제는 뽐뿌에 무척 시달렸습니다.
    괴로운 밤이었습니다.
    멋진 사진을 보니 더욱 뽐뿌질을 당하는것 같습니다.^^
  • 최승용 2004.08.31 14:17 (*.255.244.57)
    초짜에게 칭찬 일변도는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제는 천천히 즐기면서 취미 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도 즐거운 취미 생활 하세요^^.
  • 이경화 2004.08.31 15:31 (*.88.36.144)
    어머나! 예고 멘트들에 뭘까 궁금했는데.. 역시CCD군.
    축하해! 찍을게 엄청나게 많아졌는데, 과연 천천히 즐길수 있을까나?
    모르겠고.. 안 된다고 하더니만, 바로 작품이네. 앞으로 눈이 즐겁겠네. 화이팅!
  • 김형석 2004.08.31 17:40 (*.243.56.170)
    헉 결국은 ! 시작부터 작품을 만드셨네요.
    대단하세요. ST-7 동지가 생겨서 더 즐겁구요 ^-^
  • 이윤 2004.09.01 11:39 (*.249.49.91)
    첫사진이 너무 근사합니다.
    좋은 사진 많이 많이 올려주시길... ^ ^

  1. BRC로 처음 찍은 사진 M8

    오랜만에 찍어보는 사진입니다. 장비를 받고 준비기간이 너무 길었습니다. 아직도 손봐야할 부분이 많습니다. 화각도 잘 못맞추겠고.... E100s필름,40분노출 2스텝증감.
    Date2004.06.16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1215
    Read More
  2. [필름] M8 + M20

      6월 12~13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100s 40분 노출, 3스톱 증감 8x10 인화를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1년전부터 세팅하고 있던 125ED 굴절과 ...
    Date2004.06.18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304
    Read More
  3. [필름] 백조자리 감마별 부근

      6월 12~13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100s 50분 노출, 3스톱 증감 8x10 인화를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사진상에선 성운기가 매우 빈약하게 나...
    Date2004.06.18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277
    Read More
  4. 북아메리카와 펠리칸

    역시 같은 날 찍었습니다만 망한사진이 되어버렸습니다. 올릴까 말까 고민하다가 망한 사진의 전형 이라는 의미에서...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낮은 투명도 광해를 감안한다 하더라도 촛점조절에 완전히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Canon EF200L 1.8 F3.5 Takahashi...
    Date2004.06.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72
    Read More
  5. M17

    Object: M17 Exposure: L: 600sec x 4, RGB: 600sec x 1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6/14/2004 KST 이날은 ...
    Date2004.06.19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292
    Read More
  6. 궁수자리 IC4685 부근

    Pentax 75SDHF, EQ1200GTO, ST10XME L 5min x 3 RGB 5min x 3 2004. 06. 12 천문인마을 성실한 조연이 있어야 주연이 더욱 빛이 날수 있습니다. 석호성운 옆에 이 성운들이 없었더라면 가치가 한풀 꺽였을테죠? 역시 쉽지 않은 대상이었습니다.
    Date2004.06.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99
    Read More
  7. M57

    2004년 6월 27일 02시 16분(Central USA) 2004년 6월 27일 16시 16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1200mm, F:4.7) Celectron CG-5 GoTo EQ mount ST-2000XCM, 90초 x 10 매, 실사이즈에서 중앙부 크롭 굴...
    Date2004.06.30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387
    Read More
  8. M8 석호성운

    달의 2배 크기나 되는 여름철 밤하늘의 대표적인 성운 입니다. 밝은 성단 속에 빛나는 성운과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암흑대, 그리고 중간중간의 암흑성운 얼룩이 인상적입니다. ap130edf, eq1200 st10xme L 2m x 5 RGB 2m x3
    Date2004.07.0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82
    Read More
  9. M17

    마찬가지로 적상산에서 촬영한 녀석입니다. 이 역시 한장이라 디테일면에서 많이 떨어집니다.... 테스트샷이라 생각하시고 살짝 봐주세요. 어제 촬영하면서 절실히 느낀건.. 왜 이렇게 300d를 늦게 구매했나 싶더군요..^^ 앞으로 이뻐해줘야 할 듯합니다. Bor...
    Date2004.07.24 CategoryNebula By최원균 Views1163
    Read More
  10. 베일성운

    베일성운의 반쪽입니다. 10d, 600mm F4.0+fringe killer filter asa1600, 3min x 20 23일 밤에 적상산에서 찍었습니다. 신호철,정혜승,이덕수,신병석,최원균씨와 함께 갔었습니다. 안개가 꽤있었지만 천정쪽으로는 그런대로 사진찍기 좋았습니다. 시원하고, ...
    Date2004.07.25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11
    Read More
  11. M27

    Object: M27 . Exposure: L: 600sec x 8, RGB: 600sec x 2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7/23/2004 KST . 오랜...
    Date2004.07.25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516
    Read More
  12. M27

    TOA130F +EM200Temma2Jr ST2000XM + CFW8A (-5) L 300sec X 8 RGB 300sec X 4 2004.7.23 TOA를 사용해서 처음으로 촬영한 대상입니다.박병우님께서 빨리 처리해서 올리라고 해서 부랴부랴 올리게 되었습니다.결과를 보고 평가하자면 찍사의 능력이 아직 부족...
    Date2004.07.26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477
    Read More
  13. 베일성운-8월3일 또다시 수정 ^ ^

    ........ ........ CMYK모드로 바꿔서.... 또다시 니트이미지+포샵 처리했습니다. 슬라이드바를 좌에서 우로 해서 3,2,1차 이미지입니다.
    Date2004.08.0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471
    Read More
  14. [re] 이건 뭘까요?

    심심해서 칼라채널을 바꿔보았죠. ^ ^ Red <----> Blue
    Date2004.08.03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229
    Read More
  15. IC1805

    펜탁스75sdhf, Eq1200gto, St10xme L: 10min x 4 (R) GB: 5min x 3 RRGB합성 2/3 리사이즈 박명이 지나 B가 찍혀서 색정보가 좀 부족합니다. 모자익을 하던지 라지포맷으로 가던지 해야겠습니다.
    Date2004.08.0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20
    Read More
  16. 안타레스 주변입니다.

    신풍령에서 찍었습니다. NGC사람들과 함께 갔었는데 간만에 좋은 하늘이었습니다. 10D + 200mm F1.8>F2.8 lps-P1필터끼우고 감도800, 5x3min노출 이미지스테커,니트이미지,포토샵 사용하여 이미지처리했습니다. 안타레스를 화면가운데로 놓고 찍었더니 성운이...
    Date2004.08.09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37
    Read More
  17. NGC6888

    2004년 8월 8일 분당 AP130, EM200, ST10xme Ha 20min x 3 구름때문에 중간중간 망원경을 덮어서 실제 노출시간은 반정도 됩니다. 1/2 리사이즈
    Date2004.08.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224
    Read More
  18. 베일성운-O3필터

    적상산에서 어제 찍었습니다. 안개가 꽤있고 비온직후 이슬도 많이 내리더군요. 10D + 200mm F1.8 ASA1600 5min X 1매 포토샵,니트이미지 처리 실험삼아 O3필터를 끼고 찍어보ㅏㅆ는데 너무 어두워서 어려울줄 알았는데 색이 좀 낯설어서 그렇지 찍히기는 찍...
    Date2004.08.1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05
    Read More
  19. M20

    Object: M20 . Exposure: L: 600sec x 4, R:600sec x 2, GB: 600sec x 2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Q106 f:53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8/10/20...
    Date2004.08.11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226
    Read More
  20. 북아메리카 모자잌

    9장모자잌입니다. 1600감도로 3분노출 했습니다. 10D + 200mm F2.5 +루미콘 딮스카이필터 역시 어제밤 적상산에서 찍었습니다. .. 성운을 가운데로 놓는다는게 잠시 착각하는 바람에 귀퉁이로 몰렸네요...
    Date2004.08.1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309
    Read More
  21. [re] NGC6888 -HaRGB

    >2004년 8월 8일 분당 >AP130, EM200, ST10xme >Ha 20min x 3 >구름때문에 중간중간 망원경을 덮어서 실제 노출시간은 반정도 됩니다. >1/2 리사이즈 위 사진에다가 이전에 찍었던 RGB를 더해서 컬러화 했습니다. 초점길이가 다른 망원경이어서 컬러는 중앙의...
    Date2004.08.1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29
    Read More
  22. 베일성운

    날이 너무 좋아 천문인 마을에 가족들을 데리고 갔었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무척 좋은 날씨였는데 딸린 식구가 많아 한동안 안시를 했었습니다. 더우기 박 병우님 쌍안경으로 본 대상들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두장을 찍은 사진 중 하나입니다....
    Date2004.08.12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91
    Read More
  23. NGC 281

    카시오페이아의 NGC281입니다. 팩맨 성운으로도 불리지요. 덕초현에서 찍은 첫 사진입니다. Pentax SDUF II ( 400mm F4 ) Takahashi EM200 Tm2 Jr. Canon 10D ISO400 360sec X 12 Raw mode Seeing : 5/10 Trans : 7/10 노터치 가이드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4...
    Date2004.08.12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23
    Read More
  24. 나도 팩맨(ngc281)

    Object: NGC281 . Exposure: L: 900sec x 4, RB:900sec x 2, G: 900sec x 1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Q106 f:53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8/10...
    Date2004.08.12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320
    Read More
  25. NGC281 (packman)

    2004년 8월 7일 02시 24분(Central USA) 2004년 8월 7일 16시 24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1200mm, F:4.7) Celectron CG-5 GT EQ mount ST-2000XCM, 5분 x 3 매, 1/2 resize 앞의 다른 분들 사진과 ...
    Date2004.08.14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298
    Read More
  26. NGC7635 (bubble)

    2004년 8월 7일 01시 01분(Central USA) 2004년 8월 7일 15시 01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1200mm, F:4.7) Celectron CG-5 GT EQ mount ST-2000XCM, 5분 x 3 매, 2/3 resize and crop 앞의 packman ...
    Date2004.08.14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265
    Read More
  27. M57

    (원본 사이즈 이미지와 확대 크롭한 이미지를 올립니다.) 2004년 8월 30일 오후부터는 하늘이 좋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4시가 넘어서야 관측을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박병우, 최승용, 박정용, 배철균님등이 참석 하셨습니다.^^ 저녁은 배...
    Date2004.08.3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393
    Read More
  28. m57_040830_color

    인준씨의 이미지에서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칼라 합성을 해 보았습니다. 아직은 미숙한 점이 많아서 보기에 흉하지나 않은지 모르겠습니다. 사진도 예술이라서 미적 감각과 센스가 특출나야 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전 원래 미술은 꽝이거든요...
    Date2004.08.31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29
    Read More
  29. 펠리칸 성운의 부분 - HX916테스트

    날이 좋아서 새로 구한 HX916카메라를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USB라 편하고 무엇보다도 ST-7보다 가볍고 해상도가 높아서 좋네요. ST-4를 잘 못다뤄서 노터치로 100초씩 찍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100초도 흐르네요. ㅋ Orion 8" Em200 tmjr HX916 Ha 100초 1...
    Date2004.09.10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45
    Read More
  30. NGC7635 buble

    ST4가 엄청난 에러를 일으켜(분명 조작 실수) 3시간을 찍었지만 60분짜리 이미지 밖에는 쓸 수 없었습니다. 이것도 무지막지하게 흘렀는데 이미지 처리를 좀 했습니다. 이미지 왜곡이 심하네요 ( _ _ ; ) 아무튼 찍은 시간이 아까워서 올립니다. 언제쯤 1:1 ...
    Date2004.09.10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32
    Read More
  31. 나도 버블성운

    나도 버블성운 . 이것은 L이미지는 어제 찍었고 RGB는 지난번 언젠가 찍었던 것을 합쳤습니다. 카메라 돌려놓고 방안에 들어가서 잠자다가 자명종 소리에 깨어 나가보니까 RGB 이미지는 전부 흘러있었습니다.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습니다. . 색상이 많이 붉습...
    Date2004.09.10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120
    Read More
  32. NGC281

    NGC 281 카시오페이아 자리 Magnitude: 7.0 RA: 00h 52m 48.0s Dec: +56°37'00" (Epoch 2000) Size:35.0' 2004년 9월 10일 분당 전원주택단지 Ha 20m x 5, G 5m x 3, B 5m x 3 AP130EDF, EM200, ST10xme 태풍뒤의 날씨라 기대를 많이 하고 나갔는데 중간에 1...
    Date2004.09.1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3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