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7.25 06:42

M27

(*.79.196.166) 조회 수 1516 추천 수 138 댓글 4




Object: M27
.
Exposure: L: 600sec x 8, RGB: 600sec x 2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7/23/2004 KST
.
오랜만에 날이 맑았습니다. 날이 맑은지 한달도 더 넘었지 싶습니다. 그래서 강원도로 또 튀었지요. 날이 아주 덥더군요.  
.
이번에는 약간 찝찝한 것이 있었습니다. 냉각 CCD의 파워스플라이가 지난번에 고장이 났는데 그냥 들고 갔습니다. 지난번에 촬영중에 돌아갔다 안돌았갔다를 반복해서 전원부 고장으로 생각하고 집에 가져왔더랬습니다. 그 때 미국 홈페이지를 보니 요것만 150불 가격이 넘어서 가격이나 구입하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집에서 실험을 해보니 멀쩡하게 잘 돌아가더군요. 그래서 다행을 바래고 그냥 가져 갔는데, 혹시나 싶어서 테스터와 전기인두 고데를 들고 갔습니다. 천문인마을에 도착해서 재빨리 확인 점검을 해보았습니다. 옥상방에다 늘여놓고 돌려보니 이게 웬일입니까? 역시 지난번처럼 돌아갔다 안돌아갔다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파워스플라이를 해체하고 테트터로 전원부의 전압을 체크해보았습니다. 5볼트 영역에서 전원이 들어왔다 안들어왔다 하는 현상이었습니다.
.
냉각 CCD의 전원은 +12V, -12V, +5V의 세전원이 들어가더군요. 지난번에 잘못해서 220볼트(원래 전원은 12볼트)에 잠시 연결한 실수가 있었는데 이것 때문에 내부 회로가 맛이 간 모양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사진촬영은 글렀고 난감한 마음이었는데 궁하면 통하더군요. 12볼트로 바꿔주는, 전단 전원용 파워스플라이를 컴퓨터용 파워스플라이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요놈을 가만히 보니 +12V, -12V, +5V가 나온다고 적혀져 있었습니다. 전압별 각선의 색상을 확인합니다. 혹시 전원이 잘못들어가면 이번에는 냉각 CCD 본체가 고장이 나기 때문입니다. 이러면 완전히 끝입니다. 신중하게 테스터로 각단의 전압을 확인했습니다. 테스터 정말 잘 가져갔더군요.
.
‘상철아~ Vilet가 무신 뜻이냐?’
.
‘보라색인데요.’
.
‘그럼 보라색선이 -12V로구나.’
.
파워스플라이 전원선을 잘라서 컴퓨터파워에다 각선을 대응시켜 연결하고 전기고데로 남땜을 했습니다. 다행히 잘돌아갔습니다. 그 덕에 위 사진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
이 날은 선숙래씨가 TOA130으로 같은 대상인 M27을 찍었습니다. 사진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합니다. 우리 모두 기대해봅시다.
.
윗 사진도 합성을 하여 밝기 조정만했고  다른 이미지처리는 없습니다.

  • 추현석 2004.07.25 09:45 (*.242.81.186)
    내공이 많이 쌓였군요. 전기 코드도 골라 바꿀수 있다니~~~
  • 박병우 2004.07.25 12:45 (*.79.196.166)
    냉각 시시디가 안되는 것을 확인하고 한숨 좀 잤다가 바로 집에 가려고 했지요. 가는 길에 새 사진을 찍는다고 차안에 뙤약볕을 맞다보니 머리도 어지러웠습니다. 그러다가 가만히 보니 방법이 생각나더군요.
    .
    이 날 밤 하늘은 맑았지만 안개가 많았고, 이리저리 헤매다보니 두 대상만 찍었습니다. 냉각시시디를 켜놓고 피곤해서 방안에 들어가 잤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꺼져있었습니다. 나중에 선숙래씨가 확인하여 오프를 했다고 합니다.
    .
    또 망원경이 가대에 걸려 돌아가지 않는 바람에 사진을 실패했습니다. 가대에 무리가 오지 않았나 걱정했는데 돌긴 돌더군요.
    .
    피곤하니까 여러 문제가 일어난 밤이었습니다.
  • 최원균 2004.07.26 00:10 (*.51.163.252)
    성운안에 별들이 저렇게 많군요.
    멋진 사과성운입니다.~~
  • 황인준 2004.07.27 10:27 (*.85.131.218)
    색감이 참 좋습니다.
    레벨 더 올리셔도 좋을 듯 한데 말이죠..
    그날 덕초현에 못간 것이 너무 억울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74 Nebula B72 Snake Nebula 4 file 2016.09.02 7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3 Nebula B72 2 file 2005.05.10 913 김승남 byulter 김승남
172 Nebula B7&LBN777 등.. 6 file 2017.01.25 182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71 Nebula B33(첫 nude샷)-R이미지 6 file 2007.02.21 1490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70 Nebula B33 IC434 말머리 성운 3 file 2024.03.04 32 공양식 rima2000 공양식
169 Nebula B33 Horsehead Nebula 2 file 2013.10.12 713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68 Nebula B33 Horse head 5 file 2004.10.14 1353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67 Nebula B33 (재처리) 15 file 2004.12.20 1084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66 Nebula B33 9 file 2011.12.20 1257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65 Nebula Astro 350d-M42 7 file 2006.12.28 1478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64 Nebula Antares.. 7 file 2005.04.06 117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3 Nebula Antares 부근 5 file 2009.06.28 1729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62 Nebula Antares region 1 file 2020.05.01 207 권한조 khdd97 권한조
161 Nebula Antares and Rho Ophiuchi area 1 file 2012.05.12 120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60 Nebula Antares 6 file 2013.05.26 800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59 Nebula Angelfish Nebula 5 file 2017.02.22 157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58 Nebula 8인치 SCT로 공동묘지에서 M27 크게 찍어봅니다.. 10 file 2016.08.27 266 김도익 kimdoik 김도익
157 Nebula 8월 서천동 정관에서 얻은 Veil Nebular(베일 성운)... 1 file 2014.09.05 974 조용현 zztop 조용현
156 Nebula 2패널 모자이크_베일성운 4 file 2023.07.27 47 김영대 n4584 김영대.
155 Nebula 2차 추가 버전 4 file 2005.05.10 804 김승남 byulter 김승남
154 Nebula 2017년 1월 7일 오리온 대성운 3 file 2017.01.15 178 김상욱 quark 김상욱
153 Nebula 2015-10-17 두 번째 찍어보는 불꽃성운(NGC 2024) 2 file 2015.10.22 219 김상욱 quark 김상욱
152 Nebula 2012년 10월 19일 마차부 자리 IC 410 2 file 2012.10.20 801 김상욱 quark 김상욱
151 Nebula 2011년 첫 출사 NGC2244 & NGC2237 7 file 2011.01.09 1614 조용현 zztop 조용현
150 Nebula 2004.11.13.말머리성운(재처리로 수정) 5 file 2004.11.13 1233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49 Nebula 2004.11.13 오리온대성운 6 file 2004.11.13 1117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48 Nebula 150524_m20 24 file 2015.06.08 341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47 Nebula 150516-Gamma Sgyni 6 file 2015.05.18 6074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46 Nebula 140529_ngc6992 14 file 2014.05.30 938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45 Nebula 120910_ngc7000 2 file 2012.09.13 922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44 Nebula 120805_m27 9 file 2012.08.13 1395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43 Nebula 120219_m1 6 file 2012.02.21 1204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