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4.04.29 16:05

M27

(*.58.19.198) 조회 수 1151 추천 수 141 댓글 8


2004년 4월 27일, 천문인 마을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F:8)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300sec x 3, self guide
1/2 resize 후 crop


비온후 개인날 밤이라, 습기가 많아서 인지 사진은 별로입니다. 다른 날 90초 노터치로 찍은 것보다 별이 덜 나왔습니다. 망원경 렌즈의 습기를 드라이기로 말리고 찍었는데, 렌즈의 습기나 대기중의 습기가 영향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어쨌거나 구경과 구경비를 고려할 때, 노출을 더 주어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갈 길이 멀군요.
  • 최승용 2004.04.29 16:45 (*.255.244.57)
    멋진 사과 모습이군요.
    새로 장만 하신 장비로 멋진 이미지를 얻으셔서 좋으시겠습니다.
    장비 뽐뿌!!!
  • 황인준 2004.04.29 18:44 (*.158.120.7)
    정식적인 첫 사진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사진은 멋집니다.. 아침에 가시는 것도 못보고,.
  • 박병우 2004.04.29 19:37 (*.79.196.166)
    김교수님 첫사진 축하드립니다. 더구나 올인컬러판 사진 축하드립니다. 지금 황모씨는 ST-2000보다 ST-10이 월등이 낫다고 저에게 계속 세뇌교육을 시키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뽐뿌하고 있다는 이야기이지요. 누가 모리나요? 감도가 좋은 것이 월등이 낫다는 것 잘 압니다. 단지 돈이 없다는 것뿐....

    앞으로 기본 촬영이 끝나면 저는 이 밤이 다 하도록 한장만 찍을 겁니다. 김교수님도 ST-2000으로 깜짝 놀랄 사진을 찍어 상처받은 내 가슴에 위로를 주세요.
  • 이준화 2004.04.29 19:41 (*.249.97.68)
    멋진 사진을 찍어오셨군요.~
  • 김영렬 2004.04.29 21:02 (*.58.19.198)
    별의 한계등급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사진입니다. 비록 흐르기는 했지만, 전에 90초 노터치에서도 더 어두운 별이 나왔었습니다. 다음에 맑은날 다시 비교해 보려 합니다. 장비야 어차피 가진 장비로 최선을 다한다는 생각입니다. 고가의 고급 장비가 좋은 것이야 당연한 것이니까, 여유 있는 분들이 좋은 장비를 구입하면 간접 경험이라도 할 수 있으니 좋은 일이지요.
  • 지승용 2004.04.29 23:43 (*.204.55.133)
    예전의 필카 실력이 CCD 에도 고스란히 녹아 있는 것 같습니다. 멋진 "먹다가 남은 사과" 입니다.
  • 김형석 2004.04.30 08:18 (*.248.213.129)
    김영렬 교수님 관측하시는 모습 보고 많은 교훈 얻었답니다.
    멋진 사진 감상 잘했습니다~
  • 문병화 2004.04.30 09:33 (*.221.59.105)
    정말로 멋진 아령입니다. 김교수님의 예술적(?) 감각이 살아숨쉬는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135 Nebula 060902_M27 21 file 2006.09.04 116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1134 Nebula 오리온 칼 부분 4 file 2013.02.12 1163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133 Nebula 안타레스 주변부 17 file 2005.05.12 1162 이윤 liyun 이윤
1132 Nebula IC 1396 8 file 2007.08.12 1161 변성식 astron01 변성식
1131 Nebula Bubble Nebula & M52 부근 영역 1 file 2011.09.25 1160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1130 Nebula NGC1499 (캘리포니아성운) 4 file 2011.09.29 1160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129 Nebula IC434 말머리성운 3 file 2011.11.21 1160 조진원 titan7 조진원
1128 Nebula 장미의 부분 12 file 2004.11.22 1159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127 Nebula Network Nebula maped Color test ^^;; 2 file 2004.10.03 1158 김형석 halpon 김형석
1126 Nebula NGC 2174 Monkey Nebula 10 file 2006.01.12 115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125 Nebula 베일성운입니다. 3 file 2006.07.31 1158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24 Nebula 날씨는 좋았는데.... 9 file 2007.06.17 1158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23 Nebula NGC 7000 12 file 2005.05.13 1157 김승남 byulter 김승남
1122 Nebula 때늦은 Heart IC1805 11 file 2006.03.11 115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21 Nebula IC1318 14 file 2006.09.27 1157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120 Nebula ngc1977(050115) 8 file 2005.01.17 1154 김시태 star7197 김시태
1119 Nebula 날이 개었었어요. 8 file 2006.08.22 1153 최훈옥 oioigs 최훈옥
1118 Nebula M17 5 file 2005.03.31 1152 이건호 skymate 이건호
» Nebula M27 8 file 2004.04.29 1151 김영렬 pjhkyr 김영렬
1116 Nebula IC443 12 file 2004.12.19 115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115 Nebula 오리온대성운-안산버젼 2 file 2005.01.05 1151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114 Nebula 나도 초생달성운(NGC6888) 3 file 2004.09.12 1150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113 Nebula 말머리 성운 3 file 2004.10.14 1150 김영렬 pjhkyr 김영렬
1112 Nebula Object: NGC7293 8 file 2004.10.13 1149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111 Nebula NGC6992 11 file 2006.11.03 114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110 Nebula 다시 처리해 본 해파리성운(IC443) 5 file 2007.02.18 1148 김상욱 quark 김상욱
1109 Nebula 캘리포니아와 플레이아데스 4 file 2011.11.26 1147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108 Nebula M78 9 file 2005.11.13 114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107 Nebula M17, 고니성운(Swan nebula) 16 file 2007.06.10 1146 김상욱 quark 김상욱
1106 Nebula M52 & NGC 7635 3 file 2011.11.12 1146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105 Nebula 펠리칸 성운의 부분 - HX916테스트 5 file 2004.09.10 1145 김형석 halpon 김형석
1104 Nebula 베일성운 (아직도 어색한 경통) 5 file 2007.06.16 1145 최훈옥 oioigs 최훈옥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