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7.11 18:41

sh2-157 & ngc7510

(*.7.236.216) 조회 수 2005 추천 수 183 댓글 7




장마철이지만, 모처럼 좋은 날씨를 보여주었던 지난 9일 촬영했습니다.
벌써 이 대상을 3일째 겨누었지만 워낙 어두워 네로우로 찍기엔 역부족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간간이 지나가는 구름들에 의해 가이드성을 잃어버려, 버리게 된 프레임도 무지 많습니다.
그나마 남아있는 것도 이슬 영향인지, 구름 영향인지 다크도 제대로 빠지지 않네요.
작은 얼룩들을 지워내느라 그나마 남아있는 디테일도 포기해야 했습니다.

카시오페이아와 케페우스 경계 부근에 있는 성운과 성단입니다.
사슴벌레 모양의 성운이 sh2-157이고, 우측 하단의 작은 성단이 ngc7510입니다.
전에 굴절로 이 일대를 찍은 적이 있었는데, 버블과 M52 성단과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만들어 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 녀석과 씨름하느라 3일동안 고생했더니, 가이드 걱정없고 찍기 편한 RGB 굴절시스템이 너무나 그립습니다.

[촬영정보]      
KASTRON 12.5DS (F4.5)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SⅡ, OⅢ Filters) / 2008. 7. 8, 9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R.O / SⅡ:Ha:OⅢ=(20min*3):(20min*6):(20min*2)(all 1*1) -10도
  • 김삼진 2008.07.12 08:54 (*.131.71.38)
    사슴벌레 같기도 하고 전복 같기도 하고 멋진 작품 덕분에 즐감입니다.^^RO부럽습니다.^^
  • 신범영 2008.07.12 16:10 (*.254.231.237)
    며칠 고생하더니 결국 집게발을 잡아왔네요.
    RGB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화려한 색상이 환상적입니다.
    저도 Ha로 시도해봐야 겠습니다.^^
  • 전영준 2008.07.13 20:18 (*.232.25.61)
    우주의 에이리언입니다..^^
    새로운 필터밴드의 영역으로 눈이 아주 호강합니다.
  • 박영식 2008.07.13 21:57 (*.26.42.56)
    사슴벌레 집게가 확 물꺼 같습니다. ^^
    두영역이 색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보니... 먼가 다른 구조들인가봐요...
  • 김호섭 2008.07.14 02:34 (*.53.169.82)
    눈에 익은 대상도 내로밴드앞에서는 늘 신선한 충격입니다. 해부학적인 성운의 해석도
    우리 별쟁이들에겐 공부가 되는군요. 늘 즐감입니다.
  • 박정용 2008.07.14 12:29 (*.134.62.49)
    집게가 정말 근사합니다.
    황홀한 색감도 정말 좋네요.
  • 최승용 2008.07.14 14:03 (*.78.47.6)
    정말 근사한 이미지들을 보여 주시는군요.
    이런 이미지 정말 찍고 시퍼라....^^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809 Nebula Sh2-231~3, 235 5 file 2009.12.23 1490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08 Nebula SH2-202 3 file 2018.10.15 172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807 Nebula Sh2-157 in Cassiopeia 4 file 2008.11.11 1384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 Nebula sh2-157 & ngc7510 7 file 2008.07.11 200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805 Nebula Sh2-155 Cave Nebula 5 file 2016.10.29 197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804 Nebula SH2-155 Cave nebula 2 file 2017.11.24 144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803 Nebula Sh2-142 (NGC 7380) 3 file 2016.11.08 211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802 Nebula SH2-140, 145, 150 file 2017.11.27 17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801 Nebula SH2-132 사자성운 file 2019.11.17 24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800 Nebula Sh2-132 in Cepheus 11 file 2008.07.02 2022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799 Nebula Sh2-132 & Sh2-261 6 file 2008.01.17 1717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798 Nebula Sh2-129 & Ou4 1 file 2018.09.12 205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797 Nebula Sh2-112 7 file 2008.09.08 1700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796 Nebula Sh2-112 8 file 2009.08.19 1903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795 Nebula Sh2-101, NGC6871 6 file 2010.09.04 1647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794 Nebula Sh 2-240과 말머리 14 file 2007.01.23 1365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793 Nebula Sh 2-240 일부분 + LDN 1622 12 file 2006.12.31 130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792 Nebula Seagul Nebula_051228 7 file 2005.12.30 1022 박대영 youngst 박대영
1791 Nebula Sadr, NGC6888 widefield Ha 1 file 2018.07.10 150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790 Nebula Sadr 주변의 성운들 19 file 2008.06.05 1917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789 Nebula SADR 주변 (FD300 별상테스트) 7 file 2009.04.19 165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788 Nebula Sadr region HaLRGB 2패널 모자이크 file 2020.07.27 182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787 Nebula Sadr Region 1 file 2017.05.26 165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786 Nebula Sadr Region 2 file 2017.11.21 180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785 Nebula Sadr & IC1318 13 file 2008.11.16 177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784 Nebula Sadr 2 file 2023.06.02 83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783 Nebula Running Man - NGC1977 7 file 2009.06.12 188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82 Nebula Ruchbah, M103, SH2-188 widefield 2 file 2018.11.22 219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781 Nebula Rosette 성운 12 file 2008.10.21 1654 강문기 mkang 강문기
1780 Nebula Rosette nebula, NGC2237 11 file 2003.11.04 219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79 Nebula Rosette nebula, NGC2237 11 file 2004.01.28 143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778 Nebula Rosette nebula SHO 2 file 2018.12.21 284 정병준 xuranus 정병준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