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10.12.22 17:25

101203_ngc7635

(*.117.76.123) 조회 수 1648 추천 수 175 댓글 8




2010년 12월 3일 촬영한 버블 입니다.
요즘에는 찍을 수 있는 대상이 그리 쉽게 선정 되지 않습니다.
관측소의 제 망원경의 위치와 시간 등을 고려하면 그렇습니다.
결국에는 유명하고 밝고 큰 놈으로 선정해서 테스트 촬영을 하게 됩니다.
저는 요즘 완전히 테스트 촬영에 목을 메고 있씁니다.
결과물은 그리 중요하게 생가하지 않고 무조건 테스트 촬영...
그리고 쓰레기통에 버리기 전에 한번 이미지 처리를 해 봅니다.
역시나 메두사처럼 좌상귀와 우하귀의 주변감광이 눈에 띄네요.
이리저리 만저 보지만 좋아지지 않고 더욱 악의 구렁텅이에 빠지기에 과감히 그대로 두었습니다.
별상도 이미지 리사이즈를 하지 않으면 참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인데.....휴~~~

그동안 고생했던 카메라와 커렉터의 최적점을 향한 테스트가 이제는 어는 정도 고정될 것 같은데...
아직 한번 더 테스트가 남았습니다.

지금까지 한 테스트는...
1. 망원경의 광축 문제
2. 커렉터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한 어뎁터 가공
3. 자작 3인치 접안부의 처짐 확인(처지지 않음 확인)
4. 적도의의 정확한 오토가이드 실행성

등등...

하지만 복병이 하나 있었으니...
바로 적도의가 추적을 가끔씩 놓친다는 것 입니다.
이건 날씨 탓인 것 같은데 바로 처리 가능한 것이라 이미 해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극축정렬은.....
현재로써는 극축망원경을 통한 극축정렬만 행하고 있는데 보다 정밀한 표류이탈로 극축을 정렬하면
조금더 이미지가 좋아질 것 같습니다.

완벽한 이미지를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할 수 있는데까지 한번 테스트를 해 보려고 합니다.

이미지 처리는 그 다음 문제....^^

...........................................................................................................................................................................................................

관측시간 : 2010년 12월 3일 새벽
관측장소 :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호빔천문대
망원경 : ADT 10inch F4 카본경통
가이드 망원경 : 펜탁스 75SDHF + QHY5
적도의 : SKYMAX V + Anygoto
카메라 : QHY9 +바더 2인치 필터 + 파라코어
노   출 : L : 400초 x 4ea(1x1)(-30c)
            R : 400초 x 6ea(1x1)
            GB : 300초 x 4ea(2x2)
  • 도영재 2010.12.22 21:18 (*.178.57.30)
    휴~~ 고수의길은 역시 멀고도 험한것 같습니다.^^
    저처럼 대충대충해서는 언제 작품하나 건질지...
    즐감입니다.
  • 임재식 2010.12.23 00:01 (*.127.106.200)
    혼자만 재미 보시는 것 같습니다^^
  • 심재훈 2010.12.23 12:28 (*.35.51.10)
    별상이 예술입니다..
    저도 광축과의 씨름을 해야됩니다....내년부터..휴...
  • 신범영 2010.12.24 23:54 (*.116.75.78)
    대구경 반사경통으로 화면전체 모두 동글동글한 이런 별상 얻는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끝없는 노력하시더니 이제 궁극의 이미지가 보입니다.^^
  • 김호섭 2010.12.25 15:51 (*.53.169.82)
    고생이 아니라..[고행]의 길을 걷는 [별수도자]로 느껴집니다.
    때론 경외감까지...그 결실이 보입니다.
  • 김삼진 2010.12.27 07:45 (*.193.26.166)
    아주 좋기만한데요.고생한 보람이 있겠지요.^^
  • 황인준 2010.12.29 10:38 (*.68.112.122)
    완벽합니다. Ha안찍고 나오는 사진으로는... 정말..
  • 전영준 2011.01.02 16:12 (*.255.230.87)
    여기서 더 작업하실게 있으신지요..
    별마다 아름다운 색들의 향연이 너무 이쁘네요.

  1. 말머리(L)

    배운다고 생각하고, 맘에 드는 사진 나올때까지 한 놈만 패렵니다. 다른대상을 찍으려 하니 이것저것 생각 할 것도 많고해서... 양평에서 1시간 30분 촬영한 이미지 입니다. FSQ106+SXV-h9 조금 리사이즈 + 10여장 합성
    Date2005.01.11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074
    Read More
  2. XQ-10 (300D) 오리온...

    아무리 해봐도...아직은 많이 미흡합니다. 오랜만의~ 첫 사진이라는데 의미를 두고.... ST-237에 50mm 파인더로 가이드 했습니다. XT-10, EM200Temma, 총 63분 노출....
    Date2005.01.11 CategoryNebula By박진홍 Views1140
    Read More
  3. [ST-2000XM] 말머리 성운

    ST-2000XM (-35도) nFD 400mm 1:2.8L (F/5.6) L(=R)RGB = 60m : 10m : 10m (1X1) 합성 매수가 무진장 모자라게 느껴집니다. R 채널만 밤새도록 찍어야 할 것 같은...ㅡㅗ ㅡ;;;
    Date2005.01.11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137
    Read More
  4. 말머리 2nd shot - revision

    어제 하늘이 맑아지기를 기다리면서.. 오리온자리 좀 상태가 나은 것 같아 말머리를 다시 찍어 보았습니다. SKY 90 with F , 300D , ISO 1600 6분 , x 10장. crop후 resize
    Date2005.01.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23
    Read More
  5. NGC 2359 thor's Helmet - small version

    SKY 90으로 찍으니 매우 작게 찍힙니다. 그래도 조그만게 맘에 듭니다. .. SKY 90 .. 경통이 짧아도 냉각되면서 계속 촛점이 틀려지네요.. SKY 90 with flattner / EM200 No touch guide / / 300D ISO 3200 5분 x 7장 / 중앙부 crop후 1/2 축소.
    Date2005.01.08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29
    Read More
  6. M42-20D

    역시 덕초현에서 찍은 M42입니다. Takahashi EM200Tm 2 Jr. Takahashi e-160 Canon 20D ISO1600X180secX13 ISO800X180secX8 ISO200X30secX8 ISO100X15secX8 Stella Image 4.0 + Photoshop 7.0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년 1월 4일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25
    Read More
  7. 말머리 성운 - 20D

    오랜만에 20D와 입실론 160으로 찍은 사진입니다. 처리 방법을 달리 했는데 확실히 효과는 있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 공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Takahashi EM200Tm 2 Jr. Takahashi e-160 Canon 20D ISO 1600 et. 210sec X 20 Stella Image 4.0 + Photoshop ...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00
    Read More
  8. 마차부자리 안쪽입니다.

    역시 적색감도 테스트용으로 그저께 장수에서 찍은겁니다. 3min x 4, asa400 ,200mm F2.4 ,300d(w/o LP filter) 매수를 더 늘려야 할 거 같습니다.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861
    Read More
  9. 오리온......대삼태성 + 소삼태성

    4컷stack x 3매 모자익했습니다. 200mm F2.4 3분노출,개조300d 촬영지:전북 장수 아래 올려진 말머리부분 사진에 덧붙여 만들었습니다.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136
    Read More
  10. 크리스마스트리 부근입니다.

    역시 asa400 3분 x 4장 입니다. 그저께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300d 필터제거 +fringe killer필터 200mm F2.4 월출시간 지난 상태에 투명도도 떨어진 상태라 좀 삐리리하네요. 매수 왕창늘려서 달없는날 다시 찍어봐야겠습니다.^ ^ 사진 90도 돌렸습니다.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876
    Read More
  11. [re]다크프레임 사진입니다.

    asa400으로 놓고 3분 주고 찍었습니다. 우측의 ㄴ자형태인것이 원본크롭한것입니다.
    Date2005.01.06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908
    Read More
  12. 오리온대성운-안산버젼

    얼마전에 안산시내에 있는 정왕초등학교에서 촬영해본 오리온 대성운입니다. 경위대식 포크마운트 미드 14인치-gps UHTC LX200, 0.67 AP 리듀서 사용 ST10XME, RGB 10초 7장 합성 (2x2 binning), -35c 노터치 가이드 물론 경위대식이기에 필드 회전이 있지만 ...
    Date2005.01.0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51
    Read More
  13. My heart ~ in cassiopea / Flaming star nebular in Auriga

    혜성사냥후에.... 천상의 Heart 와 & Flaming star 를 담아보려고 했으나.. SKY 90 with 300D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살짝 찍힌 사진이라. 이미지 처리를 많이 하였습니다. ** 요즘 세계적인 명작을 올리는 분위기에서.. 누가 되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 ㅎ...
    Date2005.01.0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31
    Read More
  14. 삼태성과 말머리성운 ....................개조한 300D test shot

    300d 기존 적외선필터제거후 fringe killer필터삽입, 200mm F2.4 asa400 3분 x4장 flat field제거후 stack. 예상대로 적색이 아주 잘 살아나네요. 3~4배정도 좋아진거 같습니다. 좌측상단의 붉은색은 노이즈가 아니라 버나드루프가 일부 잡힌겁니다. 우측에 ...
    Date2005.01.05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133
    Read More
  15. 말머리 성운

    새해첫날 1월1일 저녁 양평 신천교회수련원 앞 공터 입니다. 꼭 칼라로 찍어보고 싶은 대상이었습니다. 약간 흐르고 말았지만 저에겐 처음 칼라로 찍어보니 재미있는 대상입니다. 장시간 노출을 줘 볼 생각이었으나, 달이 높이 뜬 관계로 일찍 접고 말았습니...
    Date2005.01.02 CategoryNebula By남명도 Views1225
    Read More
  16. M42

    - 2004년 12월 13일 - 덕초현 천문인마을 - ISO 1600 4min X 6, ISO 800 3min X 9, ISO 400 2min X 9, ISO 200 1min X 6, ISO 100 30sec X 6 흐른거 버리고 나니 몇 장 안남네요. 처리가 좀 과한 것 같습니다. 어느새 2005년이 밝았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
    Date2005.01.0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083
    Read More
  17. NGC281 Packman Nebula

    17날이 흐린다는 예보와 함께 어김없이 오후 들어 구름이 들었습니다.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지만 천문대 공사관계로 하루 더 있기로 했습니다. 헌데 해 질녁부터 날이 맑아 왔습니다. 위성사진에는 구름이 있는데 말이죠.. 해서 다시 세팅을 하고 ...
    Date2004.12.2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85
    Read More
  18. IC405 / Flaming Star Nebula

    덕초현에서 천문대 공사 감독 한다고 몇번 가서 많이도 찍었군요. 마차부좌에 있는 IC405성운입니다. 밝은 별 주변의 푸른기운이 특색있는 대상입니다. 이번에는 처리를 달리 했는데 RGB를 1X1으로 찍고 모든 프레임을 가산합성으로 스텔라이미지에서 합쳐 L...
    Date2004.12.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26
    Read More
  19. M42_43 Orion

    지난 12월 18일 찍은 사진 입니다.. 원래 다른 대상을 찍으려 하였는데, 날씨가 옅은 구름이 껴 있어 포기 하고 밝은 대상인 오리온을 찍어 보았습니다. 찍을 대상이 없어 좀 많이 찍어 보았는데, 역시 날씨 때문에 결과물은 신통치 못한 것 같습니다... 초점...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306
    Read More
  20. NGC2174_20041212

    원숭이 성운인데... 정식 명칭이 원숭이 인지가 궁금 합니다... 지난 12월 12일 찍은 24장 사진중 간신히 16장을 건질수 있었던 사진 입니다. 앞서 찍었던 M45는 무려 30장 정도를 통채로 날려 버려서... 나중에 또 찍으면 되지 하지만 자꾸 미련이 남습니다....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103
    Read More
  21. NGC 2359 Thor's Helmet_20041211

    지난 12월 11일 새벽에 찍은 헬멧 입니다. 다른 CCD 사진 과는 많은 차이가 나는것 같지만 용기내서 올려 봅니다.... 12inch F4 reflector,With Vixen R200SS Coma Corrertor NJP Temma PC, ST-5C Guide With Sky-90, EOS 20D, 300" , ISO800 X 20 N/R OFF 덕...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78
    Read More
  22. [필름] NGC2237 장미성운

      12월 4~5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렌즈) 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640mm) 펜탁스 6x7,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 필름 1/2 정도를 크롭하여 8x10 인화, 평판 스캐너로 스캔 후 포토샵에서 보정   관측지에 너무 ...
    Date2004.12.25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178
    Read More
  23. NGC2264 Christmas Tree Nebula

    작년에도 크리스마스 전후해서 팬탁스 EDHF II와 2000XM로 촬영하여 올린적이 있습니다. 밝은 별이 많아 처리하는데 애로가 있어서 밝은 별 주위의 별들이 이상하네요... 다음에는 Ha도 찍어 보아야 겠습니다. Takahashi e-160 F 3.3 ST-10XE w/ CFW-8a(-38) ...
    Date2004.12.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38
    Read More
  24. NGC2359 thor의 헬멧

    겨울철 큰개자리에 있는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성운입니다. Thor는 신화에 나오는 인물 http://astrophoto.co.kr/zeroboard/data/temp/thor.jpg 로 머리에 쓴 헬멧을 닮았다는 이름 입니다. 12인치급에서 OIII 필터를 사용해 보면 성운의 모습을 뚜렷하게 볼 ...
    Date2004.12.2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63
    Read More
  25. NGC2282

    12월20일 저녁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외뿔소 자리에 있는 크기 3' 의 작은 성운입니다. R200SS용 콤마코렉터를 구입하여 콤마수차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고, 처음찍은 대상입니다. R200SS 콤마코렉터는 오리온250과 궁합이 잘맞더군요. 주변부까...
    Date2004.12.22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944
    Read More
  26. M42 부근...

    충북음성에서... 2004. Dec. 18~19. Canon 10D, iso800, 180s, 100s Pentax SDUF(400mm), AP1200QMD . 180초짜리와 100초짜리 찍어서 달랑 두장 합성... 처음으로 DSLR로 오라이언 성운을 찍어봤습니다... 재밌네요... 3분노출에 요놈들이 나온다는 것이... ^...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22
    Read More
  27. NGC 2174

    서리가 엄청나게 내리고 가이드 ST-4의 내부 제습제가 습기를 먹었는지 CCD표면에 얼음이 얼고....결국분해해서 전자랜지에 구어서 신속히 재조립...사진찍다 별짓다합니다. 2004.12.19. BRC250,20D,ASA800,5min 13매합성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907
    Read More
  28. B33 (재처리)

    이번 토요일 덕초현에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처음으로 다크도 찍고, 가이드도 해본 첫경험(??)의 사진입니다. 오랜만에 보그5인치로 찍었습니다. ED라 그런지 B채널 별상이 더 큽니다. B채널만 초점 따로 잡아주면, 현재로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장비가 ...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084
    Read More
  29. IC5146 코쿤성운

    L(R) 5min x 5 RGB5min x 2 AP130EDF, EQ1200GTO, ST10xme 2004년 12월 10일 덕초현 요즘은 서쪽으로 많이 기울어 늦은 감이 있었지만, 혜성촬영을위해 굴절을 달아 놓고 기다리다 찍어 보았습니다.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04
    Read More
  30. NGC281_20041210

    지지난주 금요일 찍은 팩맨 입니다. 한주 동안 망년회다, 내년 경영계획이다.. 정신이 없어서 정말 이미지 처리 할 시간이 나질 않는 것 같습니다. ISO800으로 어떻게 나올지 궁금 하여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노이즈는 정말 없더군요... 대신 측면에 열화 노...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09
    Read More
  31. IC443

    쌍둥이 자리에 있는 대상입니다. 밝은 별 때문에 불루밍이 생기는 관계로 꺼려지는 대상이지만 도전해 보았습니다. 입실론을 써 본 바로는 이 촛점거리 근처에서는 최고의 사진용 망원경이 아닐까 합니다. 다시한번 최 형주님께 감사드립니다. . Takahashi e-...
    Date2004.12.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51
    Read More
  32. 물에 뿔은 흑장미.

    어제 ccd FirstLight 겸 사용법도 익힐 요령으로 양평에 갔습니다. 원래는 H-alpha로 칼라 버전 장미를 꺽을 요령이었으나, 익숙치 않은 관계로 시간만 허비하고, 막상 찍으려니 하니, 안개가 깔려 허탕친 하루가 되었습니다. 여러시간 이미지 처리하다가 결...
    Date2004.12.17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0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