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C/2007Q3(Siding Spring)

    지난 2007년8월25일에 발견됀 사이드스프링혜성입니다.이번 혜성도 일찌감치 촬영해볼려고 했는데 이런저런 미뤄지다 이날에서야 겨우촬영할수 있었습니다.위치는 당시 목동자리에 위치해 있었고 광도는 약9.7등급으로 나와있었습니다.하루밤에 두개이...
    Date2010.01.31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177
    Read More
  2. C/2007N3(Lulin) ~두번째

    지난 1월27일에 루린혜성 첫번째 촬영이후 근 한달여만에 다시 촬영한 루린혜성입니다.이날 초반에는 날씨가 안좋아 걱정을 많이 했는데 다행히 시간이 지날수록 좋은 하늘을 보여줘서 촬영이 가능했읍니다.제 10인치반사 안시에도 밝은 중심핵과 꼬리의 존재...
    Date2009.03.06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405
    Read More
  3. C/2007N3(Lulin)

    2월 중순경에 예보로는 약4등급이상 밝아질 루린혜성입니다.아직까진 고도도 그리높지 않고 촬영당일 제부도쪽의 광해와 동틀무렵이라 하늘이 점점 밝아오고 또 추운날씨로 인해 손이 얼어서 구도도 제대로 잡지 못했습니다.시간도 짧아서 많은 매수를 찍지못...
    Date2009.01.29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297
    Read More
  4. C/2007E2(Lovejoy)

    2007년 3월 호주의 Terry Lovejoy(러브조이)씨가 발견한 혜성입니다.그동안 남반구에서 관측되다가 4월 부터는 북반구에서도 관측가능합니다. 금년에도 관측가능한 혜성들을 기록할려고 했는데 특히 3,4월에는 엥케혜성과 다른 두개의 혜성을 관측할려고 계획...
    Date2007.04.29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371
    Read More
  5. C/2006W3(Christensen)~두번째

    작년 11월4일에 이어서 두번째 촬영한 크리스튼슨혜성입니다.작년에는 약10등급대였었고 이번에 촬영할 당시에는 약8등급대로 증광한 상태로 카메라액정에서도 쉽게 확인돼네요.위치는 당시 작은여우자리에 위치해 있었고 지금은 약간씩 광도가 줄어드는데 현...
    Date2009.09.06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391
    Read More
  6. C/2006W3(Christensen)

    지난 11월4일밤에 촬영한 크리스튼슨혜성입니다. 광도는 약10등급대로 혜성의 오른쪽아래방향으로 짧게 꼬리도 비칩니다.위치는 당일 케페우스자리에 위치해 있었읍니다. 기록차원입니다.맨아래사진은 무보정원본90초짜리 1장입니다. *망원경:미니보그60ED+리...
    Date2008.11.11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359
    Read More
  7. C/2006VZ13(LINEAR)

    2006년 11월13일 LINEAR팀에서 발견한 혜성입니다. 발견당시 광도는 19.9등급이었습니다. 7월중순경에 최대 약8~9등급까지 밝아질 예정이나 장마기간이라 관측이 여의치 않을것 같아서 일찌감치 관측해 보았습니다.관측당일 광도는 약11등급대로 어두운 편이...
    Date2007.06.24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428
    Read More
  8. C/2006P1(McNaught)

    고도가 상당히 낮지만 밝은 머리부분과 꼬리도 육안으로 확인가능했습니다.저녁6시에는 멀리 수평선부근의 구름으로 인해 관측불가..참으로 아쉬운 혜성입니다..박명무렵이라 북극성이 보이지 않아 극축도 대충.. *장비:보그100ED(f/6.4),LV25mm,LPS-P2,Coolp...
    Date2007.01.14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090
    Read More
  9. C/2006OF2(Broughton)

    지난11월4일밤에 C/2006W3크리슨튼슨혜성에 이어서 관측한 C/2006OF2(Broughton)혜성입니다.브로튼헤성은 지난 2006년 7월17일 J.Broughton씨가 발견한 혜성입니다.발견당시 광도는 18.2등급이었습니다.관측당일 광도는 크리스튼슨혜성과 거의 비슷한 약10.5...
    Date2008.11.17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257
    Read More
  10. C/2006M4(SWAN)

    지난번 극대기때보다 어두워지고 꼬리도 많이 쇠퇴했습니다.기록차원.. *장비:보그100ED(F/6.4),LV25mm,LPS-P2,Coolpix4500,GP적도의(노터치,어포컬) *71.55+89.68초 2장(포토샵) *2006/11/11/19:31~19:36(대부도)
    Date2006.11.13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029
    Read More
  11. C/2006L1(Garrardd)

    2006년6월 호주의 사이딩스프링 서베이의 게랏드씨가 발견한 혜성입니다.관측당일 광도는 약10등급으로 이동속도가 빠른 혜성입니다. 해외에서 찍은 사진에서도 꼬리는 발달돼지 않고 푸르스름한 코마만 확인되는 상태입니다.게랏드혜성이 이동하는 모습을 모...
    Date2006.12.28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1101
    Read More
  12. C/2006 S3 ( LONEOS )

    지난 2006년에 Lowell Observatory Near-Earth Object Search 에서 광도19등으로 발견됀 혜성입니다.그동안 광도가 서서히 올라가서 금년에 대략 11~12등급대까지만 올라가는정도의 평범한 혜성입니다.촬영당일 앞전에 판스타스혜성과 와일드혜성등 촬...
    Date2013.05.26 CategorySolar System By조현우 Views9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184 Next
/ 1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