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81
만만한게 M81 입니다. 대상을 찾기도 쉽고, 망원경의 성능을 비교하기도 좋습니다. MT-130을 중고로 구입하고, 행성등을 안시관측해보았는데 생각보다 잘 보였습니다. 욕심 같아선 MT-160을 구입하고 싶었지만 가대도 그렇고, 돈도 그렇고... 어쨋든 만족스럽... -
M101
대상 : M101 장소 : 덕초현 천문인 마을 날짜 : 2002년1월2일 3시~ 렌즈 : 300mm 망원렌즈 F5.6 카메라 :냉각 CCD 카메라(영하15도) 가대 : GPD 노터치 가이드 노출 : 90초x 32장 영상처리 : 32장 평균후 곡선 및 언샵마스크 -
M33
대상 : M33 장소 : 덕초현 천문인 마을 날짜 : 2002년1월1일 21시~ 렌즈 : 300mm 망원렌즈 F5.6 카메라 : 자작 CCD 카메라(영하15도) 가대 : GPD 노터치 가이드 노출 : 1분 x 16장 영상처리 : 16장 평균후 곡선 및 언샵마스크 1년전 50mm 렌즈로 찍은 사진에 ... -
M42
대상 : M42+M43 장소 : 덕초현 천문인 마을 날짜 : 2002년1월1일 23시~ 렌즈 : 300mm 망원렌즈 F5.6 카메라 : 자작 CCD 카메라(영하15도) 가대 : GPD 노터치 가이드 노출 : 1분 x 8장 영상처리 : 8장 평균후 곡선 및 언샵마스크 2003년 1월1일 덕초현은 매우 ... -
M51
자작CCD 카메라로 2002년12월30일 새벽에찍은 M51 입니다. 장소:북쪽베란다 300mm 니콘렌즈 F5.6 GPD 노터치가이드 1분x53장 영상처리: 53장더하기->곡선->언샵마스크 아직까지는 가이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로 북극에 가까운 대상들만 ... -
M81
웹캠으로의 촬영에는 몇가지 한계가 있었습니다. 첫째 8비트 이상의 영상을 얻을 수가 없다는 것하고 둘째 웹캠내부에서 영상처리되어서 변형된 데이터가 출력된다는 것 세째 CCD 의 감도조절이 내맘대로 되지않는다는 것등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습니다... -
M33
집에서 사진을 찍는경우 CCD 센서를 사용해도, 광해의 영향으로 좋은 사진을 찍기는 어렵습니다. 항상 집에서만 찍다가 큰맘먹고 밖에서 찍어본사진입니다. 베란다에서 찍을 때보다는 훨 많은 별들이 찍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날이 유성우가 있던 날로 기... -
M81+M82
저의 주관심사는 은하를 커다랗게 찍어보는 것입니다. M81 과 M82 는 밝은 은하이기때문에 집에서도 잘찍힙니다. 그러나, 개조한 pc 카메라로서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이사진은 135mm 망원렌즈로 촬영한 것입니다. 개조한 DVC325 로 2001 년 12 월 10일에 2분... -
오리온자리 대성운
삼성 애니캠을 개조해서 사진을 찍어보면서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 했습니다. 하나는 애니캠으로 부터 받아본 데이터는 8비트 데이터가 아니라, 5비트 였습니다. 즉 화질이 썩 좋지 않았습니다. 일반 영상을 5비트로 표현하는 경우에는 별문제점이 느껴지지 않... -
M42
2000년 가을부터 다시 별보기에 관심을 갖고 웹캠(삼성애니캠)에 냉각장치를 붙이고, 장기노출되도록 개조한후 찍은 오리온자리 대성운 입니다. 볼품은 없지만 당시 저에겐 큰 즐거움을 주었던 사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