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45(Pleiades)_050928 홍천 탄상현

    지난 9월 28일 강원도 홍천 탄상현에서 찍은 M45입니다. 달뜨기 직전에 급히 찍느라 노출이 부족하여 노이즈가 많습니다. EM200+FSQ106+STL11K L(5분X2, 1X1), RGB(각 5분X2, 2X2) Maxim에서 LRGB합성->Stellar Image & Photoshop에서 후보정
    Date2005.10.03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279
    Read More
  2. IC5146 코쿤성운

    백조자리의 코쿤성운입니다. 코쿤은 CCD로 세번째 사진이네요. 이번에 좀 제대로 찍어보려고 노출을 더 많이 주었는데, 이후로는 구름 때문에 잘 안나와서 제외했습니다. 좀더 우러나와야 제맛일 텐테, 다음기회를 또 봐야 겠습니다. 2005년 9월 10일 덕초현...
    Date2005.09.3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15
    Read More
  3. veil성운(ngc6960+ngc6992)

    날이 안좋아서 여름에 못찍었던 베일성운을 찍어보았습니다. 노터치로 찍으려고 5분씩 찍어서 합성했더니 성운기가 약해서 다음 기회에는 노출시간을 늘려야 겠습니다. 초점을 맞추고 시작하였는데 중간에 초점이 풀렸는지 별이 좀 부었습니다. FSQ106+EM200+...
    Date2005.09.3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50
    Read More
  4. [st-2000xm] M45 L 이미지

    FD400/2.8L (5.6) ST-2000XM (-5도) L = 10m x 18 충북 보은 20050927 습기가 너무 많아 촬영이 힘들었네요. 다크도... 예전에 찍어 놓은 것이라 보정하니 군데군데 점들이...ㅡㅗ ㅡ;;; 그냥 캘리브레이션 없이 합성 한 뒤 스텔라에서 핫픽셀 제거를 하였습...
    Date2005.09.28 CategoryStar Cluster By김승남 Views1149
    Read More
  5. M31_050924_연천 수덕원(LRGB이미지)

    별만세 정기관측회 중에 찍었는데 가로등 등으로 주위가 밝아서 좋은 조건이 못되었습니다. R필터 촬영중 옅은 구름이 찍혀서 합성시 R비율을 낮추었더니 푸른색 노이즈가 많이 보입니다. FSQ106+EM200+STL11K L : 5분X12, L,G,B 각 5분X2 맥심에서 LRGB합성...
    Date2005.09.28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686
    Read More
  6. [st-2000xm] NGC 7789

    옅은 구름? 수증기? 때문인지 자연적인 블러 현상이...ㅡㅗ ㅡ;;; fd400/2.8L (5.6) st-2000xm (-5도 냉각) L = 3m x 4 rgb = 각 3m 충북 보은 20050926
    Date2005.09.27 CategoryStar Cluster By김승남 Views1084
    Read More
  7. NGC1499 Califonia

    지난 토요일 월령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 하고 중앙 천문대에 다녀 왔습니다.... 이것 저것 Test 해볼것이 좀 많아서.. 11시경 하늘이 열리기에 200mm Test겸 찍어 보았는데... 예상 대로 수차가 장난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별 위치가 틀려져 버리더군요....
    Date2005.09.27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35
    Read More
  8. 오래전 말머리

    찍어놓고 처리하지 않은 이미지 하나를 꺼내다가 드뎌 쳐리해 보았습니다. Epsilon 160 경통을 양도 받은날 당일 기념촬영이었던 걸로 기억납니다. 이제 다시 재가동 해야죠... 2005년 2월5일 촬영 Epsilon160 + Em200 + ST2000 노출??LRGB= 30:5:5:5
    Date2005.09.25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474
    Read More
  9. NGC7635 Bubble Nebula

    컬러채널 찍으려 할때 안개가 많이 끼기도 했고 해서 예전 중앙천문대에서 찍은 사진을 컬러로 사용했습니다. 이번 3번에 걸친 출사의 마지막 사진인데 는 안개와 좋지 않은 투명도 덕에 사진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집니다. 이번달 말부터 시작되는 다음 월령...
    Date2005.09.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99
    Read More
  10. M1 Crab Nebula

    이번에 3번에 걸친 출사는 안개와 구름으로 중간 중간 실패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절대 노출이 부족한 사진이 되어 처리에 애를 먹었습니다. 이 사진 역시 같은 이유로 S/N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성과는 MPCC (바더사 범용 뉴튼용 코마 커랙터...
    Date2005.09.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616
    Read More
  11. M51내 초신성 SN2005CS

    지난 7월에 외부은하 M51내에서 초신성이 폭발하였습니다. 초신성은 별의 일생중 마지막 단계로, 폭발하면서 생기는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절대 등급이 -16등급에서 -20등급까지 밝아지는 별을 말합니다. 7월 부터 촬영해 보고싶은 현상이었지만 날씨때...
    Date2005.09.21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250
    Read More
  12. NGC6992

    안개와 구름으로 인해 아주 찍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처리 해 볼려고 골라보니 몇장 안되더군요. 투명도는 대상의 디테일은 물론 이미지의 바탕을 아주 지저분하게 만듭니다. 특히 B 채널 찍을때 유달리 심해 색 표현이 부자연 스럽습니다. 절대적인 노출의 ...
    Date2005.09.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7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