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1805 and IC1795
이 사진을 찍을때가 하늘에 그래도 구름이 없었나 봅니다. GB의 경우 성운기의 색보다는 별의 크기가 를 같이해서 HaGB합성을 했습니다. 별색이 좀 밍밍하지만 디테일은 만족스럽습니다. 성운기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채널을 믹스 약간하고 커브 조정했습... -
[st-2000xm] 안드로메다
Canon FD 400/2.8L (5.6) SBIG ST-2000XM (-20도 냉각) TAKAHASHI EM-200 TEMMAR 2 L = 10m X 55 (1X1) RGB = 각 10m X 3 (2X2) 총 640분 드디어 10시간을 채웠군요...;;; 10월 4일, 5일, 10일, 11일... 그러나... 그렇게 10시간이나 찍은거에 비하면 만족도... -
오리온자리의 버나드루프
필름스캔하는 중에 나온 사진입니다. 아마 제가 사용한 마지막 E100S인 것 같은데 이로 미루어보아 촬영시기는 2003년 말에서 2004년 초가 될 것 같습니다. 올겨울에는 멋진 버나드루프를 다시 한번 촬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습니다. 촬영장소: 천문인마... -
허전한 장미
변변치않은 사진으로 도배가 되는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붉은색 성운이 350D로 얼마나 발현되는지 실험차 떠났던 관측이라 정성껏 한장이라도 찍은게 없어서.. 성운외곽에 부드러운 맛은 전혀 없습니다. 아르미죠레일을 빼먹고 가지고가지 못해 배런스도 못... -
M31 Andromeda Galaxy
충분한 노출을 주고 싶었으나 오락가락 하는 구름때문에 여의치않았습니다. 수증기도 한 몫을 거들어서 바탕이 거칩니다. 다음에는 G와 B채널을 비닝없이 오래 찍어 볼 생각입니다. 밝은 별 주위가 이슬때문인지 이상하군요.. FS-60c w/ Sky90용 프래트너 & ... -
051008_ngc281
역시 2005년 10월 8일 천문인마을 스타파티에서 찍은 팩맨 입니다. RGB채널이 이상하게 얼라인이 되지 않아서 크롭을 해야만 했습니다. 구름이 왔다갔다 해서 다시 찍고를 여러번 했더니 그런 결과가 생겼나 봅니다. 첫시도이고 아직 이미지 프로세싱도 힘드... -
NGC 7000 North America Nebula
좋은 조합이기는 한데 아쉬웠던 점은 붉은색 수차가 있다는 것입니다. 좀 아쉬운 점이 많은 사진입니다. FS-60c w/ Sky90용 프래트너 & 리듀서 (FL 300mm) AP EQ1200 ST-10XE w/ CFW-10(-20) Ha : 1000sec(1X1) X 2 GB : 600sec(1X1) X 2 2005/10/4 20:33 나... -
ngc281
한장이라 패크맨의 디테일함은 전혀 없네요. 형태가 나왔다는 의미로만 올려봅니다. 촬영일: 2005년 10월 10일 촬영지: 양평전원주택지부근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Fringe killer filter 적도의: 다카하시Temma 2 카메라:canon350D 노출정보:... -
하트성운
생각보다 꽤 어둡던 대상이었던거 같습니다. 구름사이사이로 촬영을 하다보니 노출도 부족하고 다소 과도한 처리를 해서 보기가 좀 그렇습니다. 촬영일: 2005년 10월 10일 촬영지: 양평전원주택지부근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Fringe killer f... -
m42
덕초현 스타파티 참가기념 오리온 입니다. 구름때문에 영 시원찮은 오리온이 되고 말았습니다 가이드도 안되고.. 촛점도 맟추지 못했습니다. 중심부는 DDR로도 살리지 못했지요. 그래도 사진을 찍는 목적보다 많은 회원들고 즐거운 시간을 나눈 목적은 ... -
051008_ngc7331
2005년 10월 8일 토요일 밤 천문인 마을에서 있었던 스타파티에서 찍어 본 이미지 입니다. 오랜만에 파란 하늘 아래에서 촬영을 하게 되어서 기분이 업되었는데.... 중간중간 구름이 오락가락 하고 하더군요. 이미지에 영향을 주었음은 당연한 것 같구요... ...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