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NGC660

    물고기 자리에 있는 10등급대의 특이한 모양의 은하입니다. 9시경에 뜬 월령18일의 밝은 달이 있어서 바탕이 균일하지 못합니다. 2005년 10월 22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50m, 15m, 15m, 15m
    Date2005.11.03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90
    Read More
  2. Christmas tree Nebula(REsize ) and etc.

    간만에 장수에 다녀왔습니다. MaxDSLR을 이용하여 촬영을 해보았습니다. Bais , Dark빼주는것까지 는 좋은데.. 그다음부터가 CCD image처리보다 힘든것 같습니다. 300mm F 2.8 (-> F 4.0 ) 20D, ISO 800 400sec 7장합성. half size. 많이 추워졌습니다... 촛...
    Date2005.11.0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16
    Read More
  3. IC 405 / IC 410

    역시 오락가락하는 구름이 사진을 망친 격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해 이미지처리의 한계가 들어난 사진입니다. 그 이유로 405의 푸른기운을 잡아내지 못했습니다. 앵글도 잘못잡아 405의 꼬리가 잘렸군요. 맑은 하늘아래 마음놓고 노출 주면서찍...
    Date2005.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25
    Read More
  4. M42 오리온

    AP130EDF, EM200, STL11000M LRGB (90m, 20m, 20m, 20m) 2005년 10월 11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고쳐진 장비로 스타파티에서 잘 썻는데, 다음날 RO 중 고장이 또 발견되어 이날 밤 다시 천문인마을을 찾았습니다. 결국은 콘트롤러의 스위치 접점에 난 녹...
    Date2005.10.2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013
    Read More
  5. NGC678,680,691,694

    1300전후 초점거리에 ST-10정도의 화각이라면 참 재미있는 지역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장초점 사진에서는 은하를 하나하나 찍을 정도로 개성이 강한 은하들입니다. 은하의 나이들어가는 순서가 한 화면에 포착되니 말입니다. 이 사진 역시 L채널을 14장이나 ...
    Date2005.10.26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45
    Read More
  6. Ced 214

    오락가락 구름때문에 단 한장 밖에 찍지 못한 사진입니다. 한장도 구름때문에 바탕이 거치고 깨끗하질 못합니다. 올리지 않을까 하다가 참고차원에서 올립니다. . FS-60c w/ Sky90용 프래트너 & 리듀서 AP EQ1200 ST-10XE w/ CFW-10(-20) Ha : 1000sec(1X1) X...
    Date2005.10.2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253
    Read More
  7. NGC281

    카시오페이아 자리에 있는 팩맨 성운입니다. 지난 천문인마을 스타파티때 촬영한 사진인데 요즘 일때문에 이제서야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이것도 왕창 찍어 볼 생각이었는데 구름때문에 중도 하차하였고 , 조금씩 흐르고 시상도 나빴고 구름에 흐려진 프레임...
    Date2005.10.2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85
    Read More
  8. M 45

    저번 출사에서 이슬이 많아 20D를 사용하기는 무리가 있었습니다만 와중에 한장 찍었습니다. 충분히 노출을 주었지만 역시 이슬 덕분에 8장밖에는 쓸수가 없군요. 좀생이와는 거리가 있는 10XE덕분에 마음 놓고 노출을 주고 싶었지만... 촛점거리가 디테일을 ...
    Date2005.10.24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473
    Read More
  9. NGC 1579

    마차부자리 아래쪽에 위치한 대상으로 12분정도의 크기입니다. 성운치고는 작은 것이지만 Ha,OIII필터를 이용 촬영을 한다면 꽤 넓은 영역까지 성운이 퍼져 있을 듯 싶습니다. 역시 마지막 날에 찍은 대상입니다. FWHM이 4이하로 잘 안 떨어지길래 뭔가 문제...
    Date2005.10.2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342
    Read More
  10. [필름] NGC7822 + Ced 214

    케페우스 자리의 큰 발광성운 두 개입니다. 위의 가로로 길쭉한 것이 NGC7822 이고 아래의 것이 Ced 214 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023
    Read More
  11. [필름] 베일 성운

    베일 성운입니다. 촬영당시 고도가 낮아서 노출이 과한데다 초점도 별로 좋지 않군요. 2005년 10월 8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보그 125ED) D=125mm. f=800mm (F6.4) EM200, ST-4 오토가이드 (f=640mm) 코닥 E200, 50분 노출, 2스톱 증감현상 폴라로...
    Date2005.10.21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941
    Read More
  12. M45 (10XE 블루밍 Version)

    10XE 로 무모한 짖을 한것 같습니다. 매년 한번씩은 찍는 대상이기에... 아무 생각 없이 찍어 보았는데... 역시나.... 불루밍 처리 때문에 새부 묘사가 불가능한 대상 입니다. 아! 11K...... Sky-90 with Reduser Flattner, Temma2, 10XE, L : 5min X 10, R_G...
    Date2005.10.20 CategoryStar Cluster By조창우 Views13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 413 Next
/ 41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