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2000xm] m78 사라진 성운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Takahashi EM-200 Temmar 2 첫번째 : LRGB 55m 9m 9m 9m 두번째 : LRGB 15m 5m 5m 5m 첫번째 사진은 05년 2월 26일 찍은 사진입니다. 두번재 사진은 얼마전 도영재님께서 원격 관측으로 찍으신 것을 제가 이미치 처리한 것이... -
[st-2000xm] ngc 4565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4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100m 5m 5m 5m 20051230 in Sang-ju RGB 를 많이 찍고 싶은데... 사람 욕심이란것이...ㅎㅎㅎ -
[st-2000xm] M65 M66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4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160m 15m 15m 15m 20051228 in Sang-ju -
[st-2000xm] ngc 3628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4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 = 120m L 이미지 찍고 RGB 찍는동안 동이 터버려서... 칼라 이미지는 없습니다.... ^^ -
[st-2000xm] ngc 3190 group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4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80m 5m 5m 5m 원본 중앙부 크롭 RGB 노출이 부족해선지 색깔이 안 사네요... -
M77
처음 찍는 대상입니다. 색을 나타내는데 약간 애를 먹었습니다. 스텔라 이미지 4.0의 DDP에는 이전에 없던 기능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는데 아직은 서투릅니다. 별상이 이상해지는 대신에 은하의 디테일을 살리는데는 아주 좋은 툴인것 같습니다. 그렇다 하더... -
M31 안드로메다대성운
지난 12월 2일에 찍은 안드로메다 대성운인데 이제서야 처리해 봅니다. 남명도씨의 FSQ, 안흥에 별마실 관측소를 지으신 김삼진씨의 11K, 빌려 쓰고 있는 EM200 등등의 조합입니다. ^^; 2005년 12월 02일 덕초현천문인마을 FSQ106, EM200, STL11K L RGB 70m,3... -
NGC 2359
고도도 낮고 이날 시상도 역시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찍으면 찍을수록 느끼는 것인데 확실히 15인치에서는 별들이 많이 찍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장당 S/N비도 좋은 것 같구요. 100%만족하기에는 별상이 부어버렸지만 나름대로 생각하는 이미지... -
M78
-292FN -NJP TEMMA2 -300D (w/o LPF) + LPS-P2 -2005.12.28 자주 게시판에 올라오는 대상이라 좀 거시기하지만 올려봅니다. -
M63 해바라기 은하
292FN -NJP TEMMA2 -300D (w/o LPF) + LPS-P2 -2005.12.28 조각달이 뜰무렵 셔터를 누르고 들어갔다가 셔터 끊으러 나왔더니 하늘에 달이 훤하더군요. 쩝~! 은하의 어두운 부분이 좀 거시기 하게 나왔네요. -
NGC 1788
오리온 자리에 있는 아주 작은 산광성운입니다. 크기는 약 8분정도 되는군요. 주변에 밝은 별의 배치라든지 성운의 모양새가 아주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젊은 별의 푸른색과 늙은 별의 오렌지 내지는 붉은색의 조화가 상당히 아름답게 느껴집니다. 주변의 퍼... -
NGC4565
2박3일간의 출사에서 마지막 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아쉬운 것은 다크프레임을 노출을 잘못 줘서 쓸수가 없게 되었답니다. 해서 스텔라이미지에서 핫 쿨픽셀 제거를 이용 처리를 했습니다. 다행이 냉각온도가 낮아 그럭저럭 봐줄만 합니다. 하지만 나머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