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106
마음 놓고 노출을 많이 주고 싶었으나 날씨가 이날 가장 추워서 그랬는지 셔터가 이상작동을 해서 버린 매수가 많습니다. 그리고 기온이 워낙 떨어지니까 알루미늄이 수축하면서 미러에 스트레스를 준 결과 별상이 이상합니다. 이래저래 불만족스러운 사진입... -
NGC1491
페르세우스 자리에 있는 성운입니다. 생각보다 넓게 성운이 퍼져 있습니다. 2005년 12월 27일 GSO12inch, Eq1200GTO, ST10XME RRGB(60m, 20m, 20m, 20m) -
M45 - 좀생이별
-ε-160 -NJP TEMMA2 -300D (w/o LPF) + LPS-P2 -2005.12.26 마음먹고 3시간 30분 노출을 주어보았습니다. 많은 장을 합성하다보니 배경이 곱고 이미지처리가 용이했습니다. 다만 간혹 경험하는 것이지만 이번 이미지 처리에서 다크처리로 인해 규칙적인 패턴... -
M31
생뚱맞게 M31을 올리네요. 새것은 아닙니다. 11000과 2000XM의 컬러감도와 노이즈특성, 온도특성을 분석하r고 data들 정리하는중 예전에 2000XM으로 찍은 M31 raw data가있어 다시 처리하여 올려봅니다. 후처리는 하는시점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다른것 같읍니... -
NGC 2174 Monkey Nebula
손오공입니다. 이미지 처리를 약간 달리했는데 색정보의 거친 느낌을 깔끔히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늘 크로즈업만 찍다가 이렇듯 넓은 사진 찍으면 속이 후련해 집니다. Canon FD 300 2.8L (전면 75mm Masking F 4.1) ST-10XE w/ CFW-10(-40) Ha : 600sec... -
M97_12"_f7.5 Test
지난 금요일 15"조립 하려다 차만 고생 시키고(차를 밤새 산중턱에 새워 놓고) 힘빠진 상태에서 12"개조 성능 확인차 Test 해 본 사진 입니다. 12" f4에 빅센 익스텐더 f7.5(초점 거리 2250mm)로 촬영 해 보았습니다. 좀더 노출 시간을 길게 해 주어야 할 듯 ... -
M81부근
달도 휘영청 떠 있고 해서 그냥 300미리로 편하게 찍고저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시원스러운 것이 속 뻥 뚫리는 느낌입니다. 간간히 이렇듯 넓은시야로 시상 안좋고 월령 좋지 않은 맑은 날 찍는 것도 쾌적하고 편했습니다. 어두운 별들은 한 픽셀에 별 하나... -
IC410
오늘 파일 열어본 김에 마저 처리하고 자렵니다. ^^ 이번에는 마차부자리 성운 IC410입니다. 올챙이성운이라는 닉네임이 있기도 합니다. 긴터널을 향해 돌진하는 그 뭐시기? 같이 느껴지기도하고 .. ㅎㅎ 천체의 모습은 참 다양한것 같습니다. 2005년 12월 26... -
060108-M51
촬영일: 2006년 01월 08일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35도) RGB : 각3min x 5(1x1) L : 3min x 15 (1x1) 크롭 후 리사이즈 지난 토요일 안산 1대학에서 촬영한 이미지 입니... -
IC417
겨울철 은하수가 지나가는 마차부자리에는 희미하고 재미있는 모양의 IC성운들이 가득합니다. 지난달에는 주로 이곳을 찍었습니다. 그 중에 하나로 꼭 꼬리달린 생쥐 모습이 떠오르는데요... 여기도 몽실이가 2개 있군요. 언젠가는 빛나는 별이 될지도 모르는... -
콘성운
크리스마스 트리의 맨 윗부분을 장식하는 콘성운입니다. 노출을 오래 주려고 찍은 사진인데 나중에 보니 중간에 에러가 발생해서 그리 좋지 못합니다. 엷은 구름이 지나가면서 가이드성을 잃어 버렸나 봅니다. 2005년 12월 23일 덕초현천문인마을 GSO12inch, ... -
NGC2237 Rosette Nebula
이번 출사에서는 300mm FD를 테스트하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어뎁터를 잘못 제작한 결과로 만족스러운 위치에 두고 찍을수는 없었으나 대단한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색수차는 거의 없고 주변까지 샤프하고 동그란 성상.. 11000을 강문기 교수님으로부터 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