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3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00D (w/o LPF) + LPS-P2 -2006.01.06 중심부에 사용하려고 2분짜리를 찍었었는데... 이것도 좀 노출이 과해서 좀 날랐네요. DSLR 이미지는 이미지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것 같습니다. 요리 쪼물딱 조리 ... -
NGC4656
머리털자리에 있는 은하입니다. 유명한 멸치은하 4631 옆에 있죠. 은하가 별다른 색도 없고 아래쪽으로 떨어진 희미한 덩어리?가 보이네요. 2006년 2월 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 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25m, 5m, 5m, 5m -
M108
2006년 2월 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 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30m, 10m, 10m, 10m -
NGC5033
이리 저리 바빠 이미지 처리를 못한 것이 꽤 되는군요. 이 대상은 한컷 노출이 더 많아야 좋은 사진 찍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HO-BYM 380FN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200 GTO ST-10XE w/ CFW-10(-40) L : 300sec(1X1) X 11 RGB : 300sec(2X2) X 2 나... -
PLN205+14.1 Medusa Nebula
예전에 12인치로 찍었던 이미지를 컬러정보로 이용을 하였습니다. 성상은 마음에 들게 되었습니다. 미러도 스트레스가 덜 한 것 같습니다. 점점 15인치의 양산이 가능해 지고 있습니다. 참 아름다운 대상입니다. . HO-BYM 380FN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 -
M64 검은눈은하
2006년 2월 4일 덕초현천문인마을에서.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50m, 5m 5m 5m -
M104
성상이 약간 좋아졌습니다. 노출을 더 주어야 더 디테일 할 수 있는 대상입니다만.. 그럴 마음이 들지 않게 하는 시상이었습니다. 시상만 좋으면 어김없이 좋은 사진 찍을 수 있는 것은 역시 구경 값 인 것 같습니다. 사진은 초점이 약간 불만족스럽습니다. ... -
M13
강원도에 가서 별마실 천문대에 15" 설치 하려 하였으나 눈때문에중앙 천문대에 접근 하는 길이 막혀 포기 하고, 몸살로 집에서 정신없이 누워 있다 정신 차리고 처리 해 보았습니다. 블루밍 때문에 가운데 부분이 많이 어색 합니다. 20060205 덕초현 중앙천... -
M51 - Whirlpool Galaxy
-NADA 제1천문대 -292FN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2.02 전에 9.25 SCT로 한번 찍었던 대상인데 한번 잘 찍어보고 싶은 마음에 들이댔습니다. 그러나....... 역시..... 은하내 산광성운들과 디테일한 은하의 모습... 잘 안되네요. 쥐구멍... -
Hickson 44
많은 시간을 투자했지만 3등성이 천정에서 겨우 보이는 정도의 투명도로는 무리가 있습니다. 결국 걸러낸다고 했지만 L채널의 5장 합성 이미지 조차 허옇게 떠버린 그런 날이었습니다. 이상히도 힉슨 44는 인연이 없나 봅니다. 다시 손이 갈까 모르겠습니다. ... -
M101 모이~~
엠백일 잔치에 동참합니다. ^^ 시상이 좋지 않아서(FWHM 5~6) 뭘찍을까 하다가 큰놈 찍어 확 줄이자 하고 101로 향했습니다 2006년 2월 5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50m, 15m, 15m, 15m (5분씩) -
M101 저도....
M101 잔치 세번째 사진 입니다. ^^; 20060205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빅센 Coma Corrector NJP Temma2, 10XE 냉각 CCD, -35℃ R,G : 500" 1X1bin 3장, B :600" 1X1bin 3장 L : 600" 1X1bin 5장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