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0D] Markarian Chain
||1플랫감산이 익숙하지 않아 이미지가 고르지 못합니다. 촛점 거리가 짧다보니 대상들도 작고 확대를 하여도 고ISO로 인하여 디테일이 없습니다. 빠른 광학계가 너무 갖고 싶습니다. ㅠ.ㅠ 저도 DSLR로 디테일한 사진 찍고 싶습니다. 엉엉~~ ---------------... -
Omega Centauri, NGC5139
거의 처음찍어보는 구상성단 입니다. 굉장히 유명한 대상인데, 구경이 작다보니 별들이 많이 찍히지 않았습니다. 10인치가 제대로 동작되면 다시 한번 찍어봐야 겠습니다. FL80s+리듀서, ST-10 L:30분, RGB : 각 5분 중앙부분 100% -
말머리성운과 오리온대성운
캐논200mm F1.8 L -> F3.5? asa800, 8분노출 x 3 , DeepSky Filter 장수 무령고개 냉각350D (-23도?) 필드테스트 샷입니다. 서쪽 산등성이 넘어가기 직전에 3장 간신히 찍었습니다. 다크프레임, 플랫필드이미지는 촬영하지 못해서 원본 그냥 합쳐서 색상 조정... - Read More
-
RGB 만 사용한 독거미 성운(NGC2070)
독거미 성운의 경우, Ha 를 사용한 이미지가 조금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RGB 만 사용한 이미지를 올려 봅니다. RGB 만 사용한 경우가 좀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이 이미지를 포토샵에서 Lab 모드로 변환하고, Light 이미지로 Ha ... -
M63 해바라기은하
GSO 12inch, EQ1200GTO, ST10XME L 5min x 8 2006년 2월 2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흑백사진입니다. L은 그런대로 맘에 들게 찍혔는데, RGB가 오류가 생겨서 컬러는 다음기회로 미뤄야합니다. -
Carina Nebula (NGC3372)
||12070을 찍을때와 동일한 장비를 사용했습니다. 굉장히 크고 밝아서 맨눈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006.2.28 FL80s+리듀서, 10XME Ha : 2시간, RGB : 각 15분 -
NGC4725
예전에 12인치로 만족스러운 사진을 찍었던 대상입니다. 시상이 그때만큼은 아니라서 그런지 차이가 크지는 않지만 역시 구경값은 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세부 색 표현은 비교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 HO-BYM 380FN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200 GTO ST... -
NGC2070, The Tarantula Nebula
||1지난번 대충 촬영했던 독거미 성운을 다시 촬영했습니다. 아직 보완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지만, 조금씩 나아지는 것 같습니다. 2006.2.28, 3.1 FL80s+리듀서, 10XME(Ha, RGB) Ha : 3시간, RGB : 각 30분, HaRGB 합성 -
Reo Triplet_060224_홍천 탄상현
아래의 M13찍기 전에 찍었던 사진입니다. 얼어서 미끄러운 길을 어렵게 올랐었는데 하늘의 상태는 썩 좋은 편이 아니었습니다. 상대적으로 동쪽하늘 좋아서 찍어보았습니다. AP155/STL11K/EM200 L : 10X10, R,B: 10X4, G:10X3 2006.2.24 홍천 탄상현 -
m63 by st2000xcm
15m*8 52%축소 도배해서 죄송합니다. 15분가이드이다보니 10분보다 별상이 약간 흐른것 같습니다. 원샷칼라시시디에서 색을 나타내기가 너무 힘들군요. 발광성운은 필터를 사용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
m104 by st2000xcm
15m*4장 52%축소 가이드성을 찾다가 한쪽으로 치우첬지만...올려봅니다. 새로 리뉴얼된 나다홈이 사진을 올리고 싶게 만드는군요. 19인치 모니터에서 보니 그전에 올라온 사진도 새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