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GC-6888
백조자리 중심부에 초승달성운을 찍고싶었는데 어둡기도하지만 시상이 좋지않아서 가이드도 제대로 하지못한것같습니다.실은 내공부족입니다. 2006-10-27 별마실 관측소 O.G.S-14.5" AP EQ-1200GTO STL-11000M L:1200s*2장 RGB:600s*각1장 -
[Astro350] 안드로메다
스타파티 마지막 사진입니다. 안드로메다 여러번 찍었지만, 언제나 어렵습니다. 중앙부는 타서 saturation 되어 있고, 그럼에도, 나선팔은 정보가 미약해서, 레벨을 많이 올려도 빈약하구요. 그래도 냉각개조 덕에 예전 10D와는 비교도 할수 없이 사진에 정보... -
[Astro350] 플레이아데스
마찬가지로 이번 스타파티때 찍은 이미지 입니다. 이 사진은 초점이 조금 나가서 빗자루질이 그다지 없습니다. 두번째 이미지는 크롭하지 않는 100% 우측하반부 별상입니다. 스파이더 2개 = 즉 초점이 이만큼 안맞았더랬습니다. 촬영일: 나다 스타파티 장소: ... -
[Astro350] 북미대륙 어딘가....
거진 1년만에 포스팅입니다. 나다 스타파티때 찍은 사진을 이제서야 처리할수 있었습니다. 하도 오랜만에 사진 찍다 보니 많이 버벅였습니다. Em200극축맞출때, 북극성을 남반구로 설정해놓고 30초에도 흐른다고, 난리치고.... 화면이 온통 빨개서 뭐라도 찍... -
061023_ngc2359
지난 2006년 10월23일 대부도에서 촬영한 헬멧 입니다. 태풍급의 저기압이 강원도를 휩쓸고 지나간 바로 뒤꽁무니였습니다. 바람도 아주 세차게 불고 있었지만 하늘이 맑아지는 것 같아 대부도로 나갔습니다. 아무도 없이 혼자 별 본다는 것이 그리 유쾌 하지... -
061021_ic417
지난 나다 스타파티에서 촬영한 마차부 자리의 성운 입니다. 상당히 큰 모양인데 제 카메라에서는 밝은별 주위의 독특한 부분만 크로즈업 되어 보입니다. 원래 계획도 이렇게 촬영하는 것이었지만.... 생각보다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슬이 ... -
펠리칸 성운
백조자리 북아메리카 성운옆에 붙어 사는 새, 펠리칸입니다. 2006년 나다 스타파티 중에 6nm Ha 10분 6장 합성 AP130EDF, EQ1200GTO, STL11k -
061021-NGC6992
촬영일: 2006년 10월 21일 촬영지: 천문인마을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RGB : 각5min x 5, x5, x5(2x2) L : 5min x 10(1x1) 나다 스타파티에서 찍은 베일의 일부분 입니다. 좋은 사람들 만나 대... -
nGc 281 팩맨(오락실용이 아닌 겜보이용)
그나마 카시오페이아 근처는 옅은 구름들이 지나갔습니다. 사진이 찍히거나 말거나 그냥 눌러놓고 잠을 청했습니다. L 5분 X 12 RGB 각5분 X 2 다카하시 엡실런 180ED 제미니 PULSAL o+ STL11k 2006년 10월 2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 좌측의 별상들이 약간 길... -
061013_ngc2244(rosette nebula)
지난 2006년 10월 13일 밤 대부도에 있는 대남초교에 관측을 가서 찍은 장미 한송이가 아닌 반송이 입니다.^^ 이날은 간만에 아주 좋은 하늘 상태로 박정용씨와 서길원씨와 함께 출동을 했었습니다. 처음 가본 그곳은 정말 안산 일대학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 -
[급구] M31
어제밤 대전에서 하늘을 보고 필 받아, 돌연 달렸습니다. 목표는 M31... 매번 도전이지만... M31은 도통 이미지처리가 만족스럽지 않네요. 여러분들의 이미지프로세싱 팁을 "급구"합니다...OTL -
060921_ngc1893
역시 지난 9월 21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한 대상 입니다. 마차부 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과 밝은 별 주위에 거대한 성운기가 있는 대상이지만 안산에서 짧은 노출로는 밝은 별 주위의 빨간 부분만 촬영이 되네요. 아무것도 없는 사진이 아닙니다.^^ 산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