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GC6914
나다천문대에서 이틀째 묶으며 찍은 사진입니다. 날이 좋으면 어김없이 출사하는 김샘과 함께였습니다. 하루 전보다는 시상은 좋았습니다만.. 아쉽게도 컬러의 다크를 찍지 못해 처리에 고생을 했습니다. 덕분에 깨끗한 사진과는 거리가 많이 멉니다. 백조자... -
안타레스 주변부
2007 6 16 철원 5D w/o LPF w/LPS-P2 FD300 2.8L(F2.8) ISO800 180s x 20 EM11T2j 70s TouCam autoguide 25% resize 노이즈 처리때문에 처리가 과도하네요. 다크/플랫을 찍을 걸 후회가 막심합니다. 그냥 포기하고 올립니다. 우하변에 이상스러운 것은 고스트... -
B72 주변부
지난 6월 16일 날 찍은 사진입니다. 뱀꼬리는 어디있는지 .... 장소:천문인 마을 장비: FD300 F4 광영사필터개조 350D EM-100 노터치 가이드 ISO800 5분 11장 합성 포샾사용 -
M8 & M20 - Lagoon & Trifid Nebula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CFW-8A(-20) -Hα : 1200초X2장(1X1) -RGB : 각 600초X3장씩(1X1) -2007. 06. 16 인위적으로 쨍하게 하려고 하다보니 쫌 과하게 처리가 된 듯합니다. ^^; 다시 처리해보았습니다. 그래도 ... -
M52 부근
||1본격적인 장마를 앞두고 여러가지 시설점검차 지난 금요일 밤 늦게, 별만세 관측소에 들렀습니다. 다음날 새벽 동트기 전에 관측소 앞마당 잔디심는 작업을 해야했기 때문에 구름 가득할 것 같은 기상영상을 보면서도 출발했습니다. 하늘을 뒤덮은 구름들 ... -
M8 M20 부근
지난 주말에 덕초현에서 FD300미리로 찍은 궁수자리 부근입니다. 아래쪽에 보이는 나비처럼 생긴 작은 암흑성운도 안시로 잘 보이는 그런 날이었습니다. 날이 좋아서 요즘 각종 렌즈로 이 부근을 찍어 보았지만... 사진이 맘대로 잘 안 나오네요. ㅠ.ㅠ FD300... -
M13
M13 입니다. 지난 주말에 촬영했습니다. 하나는 350D + fl 800mm full frame 이고 다른 하나는 부분을 잘라내어 약간 축소한 이미지 입니다. Full Frame 에서는 인공위성이 지나갔네요.-.- 장단합성은 지난 이미지 워크샵에서 김일순 선생님 발표자료 따라하... -
NGC7380
세페우스에 있는 대상입니다. 그다지 밝지는 않습니다. L에서는 성운기가 많이 찍히지 않습니다. 밤새 이 넘을 찍었으나 나중에는 촛점이 나간데다. 투명도는 기막혔으나 시상은 너무 안 좋았던 날이었습니다. 작년부터 노려왔으나 이제야 찍게 되었습니다. ... -
NGC-6960베일성운
별마실 관측회에서 15"로 O3필터를 끼우고 안시로 관측했는데 사진은 영 별로네요. 2007-06-16 FSQ-106 +STL11000M L:1200*4 RGB:600*각2장 -
용자리 은하 3형제, Draco Trio
||1다크와 플랫을 못 찍어서 억지로 Noise Ninja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했습니다. 은하는 역시 찍기 어려운 대상입니다. 은하를 중심으로 약 60% Crop 한 이미지 입니다. -
NGC6960 One shot
베일의 다른쪽 (NGC6992)을 찍기 전에 테스트 샷으로 한장 찍은 NGC6960입니다. 예전에 필름으로 찍을 떄 저 밝은 별 때문에 성운기가 많이 죽길래 촬영하기 별로라고 생각했었는데 DSLR 은 많이 다르네요. 180초 노출의 Oneshot 이다 보니 노이즈도 많... -
펠리칸 성운
Imaging Date: Jun 16th, 2007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TOA130F f/5.5 (715mm) Mount: Paramount ME Guiding: FS60C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25C) Exposure: L 500sec X 12(1X1), RGB 500sec X3 (2X2) Total exposure 2h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