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81028_ic63
(요즘 바쁜 관계로 잠시 짬을 내어 이미지 처리를 했는데 영 이상 합니다. 또한 모니터도 LCD로 바꾸고 처음으로 정상적인 처리를 해 보는 것 입니다. 이상하면 알려 주세요.....) 2008년 10월 27일 월요일 관측에서 화요일 새벽에 촬영한 ic63 입니다. 일요... -
California Nebula (ngc1499)
||1오랜만에 사진 올립니다. 그동안 굴절 경통에 오토포커서를 달기 위해 관측소를 여러번 오가며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비교적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습니다. 헬리코이더식인 SDP는 전동포커서 장착이 만만치 않은 편인데, 신범영샘의 조언으로 큰 어려... -
M38_M36_주변부_081026
광덕산은 밤기온이 영하일것같은 매서운 추위(약간엄살보태서..)와 바람까지 불고, 게다가 일요일 밤이지만 훈옥군과 꿋꿋하게 광덕산 별만세관측소를 찾았습니다. 그동안 날씨가 계속 도와주질않아서 출장관측(동두천별축제,원주과학축전)같은 곳에 불려다녔... -
NGC2736 Pencil Nebula - Supernova Remanant
한참만에야 처리를 해서 올리는 사진입니다. 벌써 2년이 되어갑니다. 처리 못하고 쌓여가는 이미지는 슬럼프의 원인이 됨을 알았습니다. 부지런히 뒤져서 처리하고 올려야 겠습니다. 그러나 호주 여행중 찍었던 사진은 오래는 되었지만 처리하거나 올릴때마다... -
Rosette 성운
컴퓨터의 데이터를 정리하던중 처리하지않고 달랑 한장 촬영한 Ha 장미성운영상이 있더군요. 아마도, 다른 대상 시작하기전 Ha 필터의 테스트였던것일겁니다. 예전에 LRGB만 촬영하여 처리한사진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대략 1년 이후 촬영한 Ha를 함께 하여 ... -
NGC3628 - 사자자리 측면은하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L : 10분X28장(1X1) -RGB : 각 10분X7장씩(2X2) -L:R:G:B=280:70:70:70 -2008. 02/09, 02/12, 03/07 사자자리의 측면나선은하입니다. M65... -
NGC281 Packman Nebula
먼저 올린 NGC6888과 같이 찍은 사진입니다. 이번에는 R 채널을 분리 후 L과 합성하는 방법을 적절히 혼용했더니 좀 나아지네요.. 팩맨도 언젠가는 늘신하게 두들겨 팰일이 있겠지요.. 장당 노출도 약 20분 정도로 늘려야 겠습니다. 별이 많아 좋습니다. Pent... -
NGC6888 Crescent Nebula
백조자리의 초승달 성운입니다. Ha채널이 없어 성운기가 적어보이지만 이도 나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언제부터인가 HaRGB채널 사진보다 이런류의 사진이 더 좋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나중에는 또 틀려지겠지만요.. 암튼 자연스러워 좋습니다. 이날은 여느 ... -
M31
이번에는 노출을 준다고 줬는데, 아쉽게도 초점이 조금 나가서, 디테일에서 많이 손해 보고 말았습니다. 바로 앞에 황인준님 이미지랑 너무 적나라하게 비교되서, 텀을 두고 올리려 했으나, 그냥 올립니다. Epsilon180+STL11000+EM200 LRGB: 8*10m+3(3*3m) Ha... -
M31 Andromeda Galaxy
지금까지 제가 찍은 천체사진중에 가장 장 노출의 사진입니다. 투명도가 좋지 못한 시즌의 사진이고 해서 100% 만족할만하지는 않지만 역시 장노출에 의한 정보량의 증가가 어느정도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컬러정보는 충분한 듯 하고 ... -
M42...
오리온 대성운 입니다. 주변 하늘이 밝다보니 .... 광해 필터가 필수인듯 합니다. 광해필터로는 LPS가 제격이겠지요? UHC써보신분은 어떤지 평좀 부탁드립니다 TOA-150 NJP ASTRO 350D ISO 800 3min x 6, 30sec x 6 2008.10.11 경기도 양주 송암 스타스 밸리 -
M11 (Wild Duck Cluster in Scutum)
방패자리에 있는 시직경 약 11분 크기의 산개성단으로 밀집도가 높아서 느슨한 구상성단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날아가는 야생오리떼를 닮았다고하는데 제눈에는 야생오리알들이 모여 있는 것 같습니다. 위의 사진은 M11을 중심으로 크롭한 것이고 아래사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