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13 - The Great Globular Cluster in Hercules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L:R:G:B=120:60:60:60 -five frame mosaic [각 프레임] -L : 120초X12장(1X1) -RGB : 각 240초X3장씩(1X1) -2008. 02/04, 02/09, 02/12 너무...
    Date2008.11.19 CategoryStar Cluster By김일순 Views2021
    Read More
  2. Sadr & IC1318

    에고고... 이젠 저도 보름달 시즌, 재고처리 들어갑니다. 애초에 찍을려던 겨울철 대상이 올라오는 동안 시간이 많이 남길래, 채 지지 않은 사드로 주변을 12시 이전까지 찍었보았습니다. 필터별로 투과정보가 많이 다르네요. 재밌는 대상입니다. [촬영정보] ...
    Date2008.11.1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775
    Read More
  3. M45

    2008 11 3 양평임도 e-180ed 450D w/o LPF w/LPS-P2 iso800 600secx2 + iso400 600secx2 EM200T2 70s w/ DSI2 autoguide 25% resize 반평균 떨어뜨리는 사진 한장 올립니다.^^ 고스트가 상당히 거슬리네요.
    Date2008.11.16 CategoryStar Cluster By이상헌 Views1517
    Read More
  4. M33

    이틀에 걸쳐 찍은 사진입니다. 이 은하는 예전부터 사진대상으로는 그다지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제대로 찍은 사진은 한장도 없는 실정입니다. 요즈음은 SBIG의 11K가 훨씬 위력적인 것을 알면서도 QHY로 한계에 도전해 보고픈 욕구로 ...
    Date2008.11.1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932
    Read More
  5. M45 (Pleisdes) in Taurus

    너무 붉은 것만 올리는 것 같아서 파란녀석도 하나 끼워 넣습니다. 화각도 안나오는 이 녀석을 찍을 생각은 없었는데 바람이 심하여 덩치큰 반사경통으로는 도저히 5분이상 가이드하기가 어려웠던 지난 10월27새벽과 11월2일 자정 무렵, 좋은 날씨를 그냥 보...
    Date2008.11.14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709
    Read More
  6. IC434, The Horse Head & The Flame

    순정캐논으로 담아본 IC434 입니다. Canon 1D Mark3 on Takahashi E-160 Astrograph (530mm , F3.3)/ Takahashi EM-200 Temma2 no-touch guide/ ISO 1600/ 300s x 14 frames/ 3 dark frames median subtracted/ Yangpyung Korea
    Date2008.11.13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1752
    Read More
  7. NGC206 in Andromeda Galaxy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Hα : 1200초X3장(1X1) -L : 400초X26장(1X1) -R : 400초X9장(2X2) -GB : 각 400초X8장씩(2X2) -2008. 11/03, 1/04 안드로메다 은하 내부에 있는 산개성단 NGC206 입...
    Date2008.11.12 CategoryStar Cluster By김일순 Views1788
    Read More
  8. IC1848 in Cassiopeia

    IC1848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120분X55분 크기의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태아성운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태아모습 중 몸통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중심에 산개성단이 흩어져 있습니다. 태아의 머리부분을 모자이크하기 위하여 별도로 찍었는...
    Date2008.1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41
    Read More
  9. IC 1805 & Melotte15 in Cassiopeia

    IC 1805는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60분X60분 크기의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IC 1795와 합치면 하트모양이 되어 하트성운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위 사진은 하트의 위쪽 부분인 IC1805와 그 안에 있는 산개성단인 Melotte15의 모습입니다. 날씨는 비교적 맑...
    Date2008.1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566
    Read More
  10. Sh2-157 in Cassiopeia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버블성운옆에 있는 60분X50분 크기의 거대한 발광성운으로 생긴 모양이 집게벌레와 흡사합니다. 11월5일 새벽에 찍었는데 투명도가 떨어지고 바람의 영향도 좀 있어서 별상도 좀 않좋고 이미지가 선명한 느낌이 안나네요. 망원경: ADT Ka...
    Date2008.1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384
    Read More
  11. M15 in Pegasus

    페가수수자리에 있는 시직경18분 크기의 구상성단으로 거리는 약30600광년입니다. 구상성단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별들이 체인처럼 이어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8월날씨로는 드믈게 맑았던 8월7일 월몰직후 부터 자정무렵까지 찍었는데 달빛의 잔영때문인...
    Date2008.11.11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433
    Read More
  12. M14 in Ophiuchus

    메시에 목록 중 M9, M10,M12, M14, M19,M62 는 뱀주인자리에 있는 구상성단입니다. M14는 시직경 12분 정도의 크기로 33000광년 거리에 있습니다. 다른 구상성단에 비하여 성단 전체가 붉은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인 것 같습니다. 지난 3월15일 새벽에 찍었으나...
    Date2008.11.11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5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