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on
이 역시 금요일 밤에 찍었습니다. 투명도 좋고 시상도 괜찮은 1년중 몇 안되는 날이었습니다. 예전에 짜이스 185미리와 QHY-8로 실패를 본 사진인데 이번에는 핀은 맞았으나 프랫을 제대로 찍지 못해 아쉬운 사진이 되고 말았습니다. 본격적인 촬영을 또 다음... -
NGC2264(Christmas Tree Cluster) in Monoceros
외뿔소자리에 있는 NGC2264는 생긴 모양대로 크리스마스트리 성운으로 알려져 있고 트리 맨 위의 역삼각형 모양의 어두운 성운은 Cone(원뿔)성운입니다. 트리에 전구를 많이 달기 위해서 별상을 좀 강조하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크리스마스가 며칠안남았네... -
M42
조인제씨의 입실론 180의 광축을 맞춰보고자 잠시 관측실 안에 설치를 했었습니다. F2.8의 빠르기에 비해 조정장치의 섬세한 조정이 불가능하거나 각종 유격들의 허용오차 범위 밖에 광축이 있었습니다. 특성상 아주 정확한 광축과 감광면까지의 거리거 맞아... -
M45 (모자이크 버전)
먼저 찍었던 M45의 짤린부분이 아쉬워 안나왔던 부분을 추가로 찍어서 모자이크 해보았습니다. 그런데 모자이크 이게 생각처럼 안되네요. 똑같은 시스템으로 찍었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이리 저리 돌려보아도 별이 어긋나서 겹처지지도 않고 배경의 밝기도 다... -
IC2177 Seagull Nebula
지난 금요일 날이 추워지면서 좋은 하늘을 밤새도록 준 그 날이었습니다. Astro350D는 임재식님한테 불하 받은 것으로 200미리 1.8과 만나면 어떤 성능을 보일까 궁금해서 고도도 낮은 넘이지만 겨누어 보았습니다. 한 화각에 헬멧도 들어가는데 아쉽습니다. ... -
ngc2237_081202
비슷한 이미지 자주 올린다고들 하실까봐 그게 그거 같으면서도 조금 다른 이미지 인데도 올리기가 망설여지네요. 어쩐일인지 제 FD300도 고샘경우 처럼 전체의 1/4분면에서 별상이 약간 길어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날 훈옥군과 같이 광덕산 별만세 관측소... -
081207_PLN205+14.1
그동안 잠수탔던 최승용 입니다. 그동안 댓글도 달지 못하고(인터넷도 할 시간이 별로 없더군요.) 있어서 죄송스러웠습니다. 이제는 공사도 끝나고 했으니 좀 여유를 부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NGC2237(Rosette Nebula) in Monoceros
바람때문에 반사경통으로 가이드하기가 어려운 날이 많아져서 FSQ106으로 경통을 바꾸었습니다. 1년 만에 올리는 경통이라 다시 익숙해지려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지난 12월2일 결혼19주년 밤, 아내를 위하여 세상에서 가장 큰 장미 한송이를 ... -
IC2118
마귀할멈을 표현하기가 쉽지않습니다. 심한 바람과 간간이 돌풍까지 부는 날이었으나 출동하여 달 지기만을 기다려서 찍어봤습니다. 어두운 성운이며 인공위성의 길목인지 쉴새없이 지나갔습니다.밝은 별 리겔도 마음에 안듭니다.^^ FD 300 전면마스킹으로 찍... -
M81_081207
M82와 짝을 이루는 81일 일요일 새벽에 촬영했습니다. 칼러정보는 올 1월에 촬영했었던 QHY8의 영상을 이용했습니다. Optics: 12" Newtonian (D=300, fl=1200) Mount: NJP w/FS2 Camera: SXV-H9 Guider: FD300 2.8L w/QHY8 Exposure: L=7min x 16, RGB=10m x 10 -
IC443 & ngc2174
전영준샘에 이어 광시야사진 하나 더 추가합니다. 해파리와 오공이입니다. 어제는 달이 지고 아주 짧게 하늘을 열어 주었습니다. 사실 내내 맑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새벽에 눈과 함께 찾아온 구름으로 노출이 많이 부족한 이미지가 되었습니다. 렌즈 문제로 ... -
크리스마스트리와 장미 한송이
말머리 주변의 성운과 더불어 꼭 찍어보고 싶은 화각의 영역이었습니다. 가대의 유격을 조금 손보고 도착한 관측지에서 갑자기 모터가 움직이지 않아 현장에서 다시 조립하느라 진땀뺐습니다. 거의 영하15도 훨씬 이하의 추위에 손본 가대기어 유격이 너무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