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d214 in Cepheus
세페우스자리의 카시오페아 방향에 있는 발광성운으로 크기는 50분X40분 정도입니다.(왼쪽이 북쪽이고 10시방향에 있는 작은 산개성단은 B59, 더 왼쪽-북쪽에 캘리포니아성운처럼 길게 드리워진 NGC7822이 있는데 사진에는 안나왔습니다.) 전체적으로 붉은 기... -
NGC2158 - 산개성단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L : 300초X16장(1X1) -RGB : 각 300초X4장씩(2X2) -2008. 11/29, 12/02 쌍둥이자리에 있는 산개성단으로 산개성단 M35를 ( https://astronet.co.kr/cgi-bin/zboard.... -
내겐 너무 어려운 M1(crab nabula)...
||1게성운 정말 어렵네요...메세에 1번부터 이러니... 복잡한 중심부가 표현도 잘 안되고 ...이미지도 이쁘지 않고.... Ha 영역의 처리 미숙으로 바탕은 붉은기가 돌며 거칠고... 은하 찍으로 갔다가 찍어본 이미지입니다.. 2008.12.18 양동면 임도 -10inch n... -
EOS 5D Mark II로 찍은 M27입니다.
오랜만에 올려봅니다. 예전에 양산품 출시전에 나온 테스트 바디로 찍었던 사진입니다. 9월 중순말경에 찍은 사진이라 촬영 데이터가 없네요. 하여간 뭐 이정도로 나옵니다. 렌즈는 EF 800mm f5.6 L IS USM 사용했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M42 & NGC1977...
12월 초에 찍고서 그동안 바쁜일로 이제서야 얼렁뚱땅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자주 드르지 못하다가 와 보니 엄청난 이미지들이 올라와있었습니다.. 숨이 막힐 지경인 작품들 뿐이네요.. 그럴땐 이런 소박한 맛을 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가 될수도... 기가... -
M42 / Wisps of the Great Orion Nebula
매 계절이 다가올 때마다 겨누는 오리온 자리의 밝은 대상.. 늘 안시를 한다해도 가장 먼저 겨누고는 하지요. 북반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답고 밝은 대상인 이 대 성운을 불루밍 덕에 겨눌 수 없어 한이 맺히기도 했던 대상입니다. 좀더 많은 노출을 주... -
IC434 (Horsehead Nebula) in Orion
바람의 등쌀에 떠밀려 ADT320 반사망원경을 내리기 전날 그냥 지나기 아쉬워 찍어 보았습니다. 불꽃성운을 집어넣으려 지난겨울 찍었던 이미지에 비하여 화각을 이동하였는데 이미지처리를 하고 보니 결국은 일부가 짤린 어정쩡한 화각이 되고 말았습니다. 11... -
NGC2237 Rosette Nebula - Mapped Color
ST 10XE의 네로우 밴드 필터로 색정보를 얻어 11K의 Ha 이미지와 HaSiiHaOiii 한 것을 가지고 11K의 것의 화각안에 넣어 보았습니다. 10XE의 화각이 훨씬 작아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지만 나름 기대하는 정도의 사진은 나오는 것 같습니다. 결국 총 11시간 노... -
NGC1333 - 페르세우스자리 거시기...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40) -L : 400초X35장(1X1) -R : 400초X9장(2X2) -GB : 각 400초X10장씩(2X2) -2008. 11/03, 1/04, 11/29, 12/02 많이 찍었는데도 이미지가 좀 거칩니다. 이정도면 ... -
IC410
연말연시 안녕들 하시지요? ^^ 지난주 금요일 바람 많던 날 새벽에 찍었는데 ST10으로 찍다보니 블루밍 처리를 잘 못해서 올챙이 표현이 잘 안되었고 건조제를 다시 재생 해야할듯 싶습니다.바탕에 까만 점들이 생겨서 처리하느라 많이 힘들었습니다.^^ 2008-... -
M45 (FSQ106버전)
ADT320에서 바람을 피할려고 시작했던 M45때문에 모자이크하느라 고생했었는데 바꾸어 올린 FSQ106에서는 오히려 크기가 좀 작게 느껴집니다. 한번에 해결되서 간편하긴 한데 구경차에 따른 디테일의 차이는 어쩔 수 없네요. 필터별로 좀 과할지 모른다고 생... -
ic443 해파리
지난번 올린 해파리에 색상을 입힌 버전입니다. 먹물대신 피를 토하는 해파리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EM200+Epsilon180ED Carbon+STL11000C1 HaRGB=120:9:9:9 유리별-하늘이 천문대 2008-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