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IC443

    IDAS NBN-PV 필터를 장착하고 찍은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꾸어서 밝기 정보로, 그냥 찍은 칼라 이미지를 색상정보로 사용하여 LRGB흉내를 내보았습니다. 필터를 끼고 찍으니 밝은 별 주위가 부어서 좀 그렇네요. 촬영일시: 2009.10.16. 01:34~3:33 촬영장소: ...
    Date2009.10.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700
    Read More
  2. NGC7000 & IC5067

    모든 장비들이 제 값을 하기 시작합니다. 감도와 노이즈면에서 가장 신뢰성 있는 09000칩은 역시 효율성 면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에 충분합니다. 이날은 새벽으로 가면서 안개가 점점 시야를 가린 그런 날입니다. 대구경으로 하늘을 찍어내...
    Date2009.10.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24
    Read More
  3. NGC7635 지역

    ||1전에 원삿 컬러로 찍어본적이 있는 영역인데.. Ha 이미지가 궁금해서 전에 구한 필터를 사용해보았습니다 성운 영역대는 도드라지는 반면 성단영역은 흡수 파장영역이 현저하게 감소하네요.. 버블성운을 자세히 보니 약간 해골처럼 보이고 주변에 약한 버...
    Date2009.10.14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312
    Read More
  4. IC1396

    달 뜨기전에 찍고자 했으나 집안 일로 늦게 도착하여 겨우 RGB만 몇장 찍어서 처리해봅니다. 달 뜬이후 Ha를 찍었는데 구름이 계속 몰려와 결국 다 휴지통입니다.... 많이 어두운 성운이고 다음에 Ha 재도전하여 암흑 성운을 지대로 한번 표현하고픈 지역이네...
    Date2009.10.1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91
    Read More
  5. NGC281

    팩맨성운은 그 동안 여러번 찍었지만 사실 만족스럽게 나온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닐까 합니다. 달이 밝은 가운데서도 제법 찍히는 것을 보니 호빔천문대 주변이 조금 더 밝아져도 버틸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역시 5.4미크론의 디테일이 빠른 광학계와 만나 ...
    Date2009.10.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687
    Read More
  6. IC63 - QSI583WGS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IC 63입니다. 달이 밝기는 했지만 사진 시스템의 효율성이 극복을 해 주더군요. 새로 조립한 망원경에 8300칩은 아주 좋은 궁합을 보여주었습니다. 디테일한 별상과 빠른 F수로 달빛을 무력화시키는 듯 했습니다. 월령이 좋아지면 컬러를...
    Date2009.10.1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49
    Read More
  7. M13

    호빔천문대의 각 컴퓨터에는 제가 찍었는지 잊어버린 사진들조차 처리를 기다리는 상황이 된지 오래입니다. 이미지의 생산성이 좋다보니 자꾸 처리 못하고 쌓이는 이미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멀게는 호주 원정촬영 이미지 역시 그렇습니다. 이날은 투명도가...
    Date2009.10.1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548
    Read More
  8. M31~~

    지난 9월 28일 간만에... PHD가이드 테스트도 할 겸해서 파주 파평산에 갔었습니다.. IC1396 찍고 아쉬워서 그리고 가을엔 꼭 한번 봐야하기에... 안드로메다를 간단 모드로 담아봤습니다.. 자주 찍고 싶은데 시간이 잘 맞질않네요.. [2009.09.28. 경기도 파...
    Date2009.10.05 CategoryGalaxy By조용현 Views1638
    Read More
  9. M57(고리성운)

    바탕이 고르지 못한 이유가 높은 습도로 주경에 물이 줄~줄 흘러서인것 같습니다. 플렛처리도 안되고 가이드 안된것 빼고 나니 장수도 모자라는듯 합니다. 풍성하고 즐거운 명절 보네세요.^^ 2009-09-23일 별마실관측소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
    Date2009.09.29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749
    Read More
  10. 090923_ic1805

    2009년 9월 23일 수요일 밤에 촬영한 ic1805의 중심부 중 일부 입니다. 날씨는 좋았지만 화각에 어울리는 대상을 찾는다고 여기저기 헤메이는 것도 힘이 들어 이 대상의 중심을 한번 찍어 보고자 했씁니다. 동쪽 하늘에 있을 때 찍기 시작해서 망원경을 돌려 ...
    Date2009.09.2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551
    Read More
  11. 이슬 머금은 성운, IC417

    ||1잔뜩 하늘을 덮었던 구름들이 밤이되자 서서히 사라집니다. 관측소 지붕을 열고, 전천 사진으로 확인결과, 비교적 무난한 것 같아 노출을 줘 봅니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들어오는 사진들은 별상이 점점 부어있습니다. 주경에 내려앉는 이슬 때문입니다. 끊...
    Date2009.09.2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566
    Read More
  12. M45

    지난 9월18일 이중성단 찍던날 시상이 많이 안좋아서인지 밝은 별이 불은것 같습니다. 플렛을 처리못해 사각 귀퉁이에 비넷팅이 발생하여 거시기합니다.^^ 2009-09-18 별마실관측소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EM400- Temma 2 + STL 11K -20...
    Date2009.09.25 CategoryStar Cluster By김삼진 Views17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