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페르세우스이중성단

    이틀전 최승용님 장미 찍으실 때 촬영해 봤습니다.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찍고 카메라를 돌려서 플랫 처리를 못했습니다. 덕분에 가운데와 주변이 색감 농도가 다르네요. MC700ProType, Epsilon 250, QHY10 5분 10장 스텔라이미지,맥심dl5 위 사진은 크롭한 사...
    Date2010.11.04 CategoryStar Cluster By임재식 Views1538
    Read More
  2. IC-1848(태아성운)

    Ha필터의 초점 거리가 서로 달라서 애를 먹지만 모처럼 Ha로 찍어보니 아주 마음에듭니다.^^ 태아가 너무 커서 한 화각에 비좁습니다.장군감 인듯.....^^ 별마실관측소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STL 11K -25도 2010-10-28일 ...
    Date2010.11.04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99
    Read More
  3. M45, The Pleiades

    ||1풀프레임 DSLR 을 활용해 볼까 했는데....5D Mk2 에서는 4각형 모양의 비네팅이 입실론 180에서 나타나네요. 전 주인께서, 일반 5D 에서는 발생하지 않은 비네팅이라 하니  5D MK2 의 내부 구조에 뭔가 문제가 있는 듯 하네요. 심각하게 5D MK2 ...
    Date2010.11.04 CategoryStar Cluster By김광욱 Views1503
    Read More
  4. 101102_ngc2237

    2010년 11월 2일 화요일 밤의 하늘은 정말 대박이라는 소리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집에서 저녁을 먹고 9시 반에 아산으로 출발 합니다. 한걸음에 달려간 호빔엔는 한기가 찾아 옵니다. 이제는 춥다는 소리가 절로 나오네요. 그동안 입지 않았던 방한복도 꺼내...
    Date2010.11.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440
    Read More
  5. Bubble주변부

    ||1좀 식상하지만.. FD 300mm에 6303으로 찍은 사진이 있어서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6303 GB 1x1 600s x 3, Ha 1x1 1800s x3 50% REsize입니다.
    Date2010.11.0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418
    Read More
  6. M44 [praesaepe]

    촬영지:수피령20101102 마운트:eq6-pro 광학계: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6분30장 보정:nebulosity photoshop 기온: -6.1 바람에 날라가는줄알았습니다 차안 침낭속에서 귀를막아도 휭휭 붕붕 바람소리에 잠을 이룰수가 없었...
    Date2010.11.02 CategoryStar Cluster By이광호 Views1462
    Read More
  7. ic348

    촬영지:수피령20101030 마운트:eq6-pro 경통:tak mt160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800 10분10장 기온:-3.1 페르세우스자리 성운입니다 뿌연먼지속에 별들이 계속 탄생하는 지역이라고 합니다 출사 나갈 월령은 아니지만 지인의 호출에 밤...
    Date2010.10.31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626
    Read More
  8. IC2118 / Witch Head Nebula

    몽고에서의 둘째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너무 고도가 낮을 때부터 찍어서 그런지 노출시간에 비해서는 불만족스런 결과입니다. 하지만 처음 찍은 마녀머리라서 그런지 애착이 가는 사진입니다. 호빔천문대에서는 찍기 힘든 사진인 만큼 개인적으로 몽고 원정의...
    Date2010.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74
    Read More
  9. Gamma sygni Region

    그러고보니 제대로 한번 찍어본 적이 없는 대상이기도 하고 늘 Ha로만 찍어 본 그런 대상이라서 별을 많이 찍히게 하고 또 RGB벨런스가 맞아서 다양한 계조가 살아있는 그런 사진을 원했습니다. 찍고자 하는 대상이 남중 전이었던 것도 이유입니다. 이날은 이...
    Date2010.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56
    Read More
  10. NGC2264, TR5, IC2169 Region / 2010 Mongo

    처리를 하면서 보니 참 별이 많이 찍힌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사진 역시 김일순샘 지적대로 일부분 약간 별이 돌았습니다. 같은 날 찍은 것이므로 원인은 좀 더 봐야겠습니다. 크롭하면 해결되지만 그냥 올려봅니다. 날도 추워지고 거리에는 때이른 크리스마...
    Date2010.10.2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43
    Read More
  11. Orion's Belt

    우리가 묶던 몽고의 존모트는 북위 48도 부근입니다. 해서 남쪽의 낮은 대상은 찍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8키로에 육박하는 카메라가 그강성있는 FSQ의 접안부를 약간 휘게 했나 봅니다. 높으 곳을 찍을 떄는 그 현상이 미미 했으나 남쪽...
    Date2010.10.2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40
    Read More
  12. M31 Andromeda Galaxy

    안드로메다는 원래 찍으려고 했던 대상은 아니었으나. 찍고자 하는 대상이 남중을 지난 후 찍기 위해 그 짬에 잠시 겨누어 보았습니다. 가장 궁금했던 점은 예전에 찍은 노출 30시간의 한국하늘의 그것도 호빔천문대의 안드로메다와 비교를 해 보고 싶었습니...
    Date2010.10.2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20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