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IC443 (Jellyfish Nebula) in Gemini

    쌍둥이 발밑에 있는 해파리성운으로 작년 겨울에 찍어서 천체사진전에 출품하였던 작품인데 다른 작품이 입상하면서 들러리가 된 녀석입니다. 12월에서 2월까지 촬영한 이미지 중 13시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는데 자연스런 별색을 강조했습니다. [촬영정보] O...
    Date2012.0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02
    Read More
  2. vdB 152 in Cepheus

    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흑룡 모양의 유명한 암흑성운인데 화각이 작은 반사경통으로 찍다보니 머리부분만 보입니다. 지난해 가을에 찍어놓고 방학 여유시간을 이용하여 이제야 이미지처리를 하였습니다. 꽤 많은 시간 노출을 하였는데도 습도가 높고 여름에 비...
    Date2012.01.1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846
    Read More
  3. IC 2118 (Witch Head Nebula)

    오리온 리겔 오른쪽에 있는 생긴 그대로 마귀할멈 성운인데 별만세 관측소의 취약구역인 남쪽의 고도가 낮은 지역에 있다 보니 광해 때문에 촬영이 쉽지 않습니다. 남중이전까지 찍다보니 노출시간이 부족하여 바탕이 매끄럽지 않네요. 다음 월령에 노출시간...
    Date2012.01.1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863
    Read More
  4. IC1795 - North Bear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10(-25, -40) -SII : 1200초X34장(1X1) -Hα : 1200초X15장(1X1) -OIII : 1200초X18장(1X1) -2011. 10/22, 10/25, 10/30, 12/24, 12/25, 12/27 IC1805(...
    Date2012.01.08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489
    Read More
  5. 이중성단(NGC884 & 869)

    2011.12.20일은 구름은 없었지만 연무가 끼었는지 하늘의 투명도가 떨어져 비교적 투명도의 영향을 덜 받는 산개성단을 찍어보았습니다. 카메라의 구도가 이중성단과 엇각이어서 망설였는데 다행이 세로방향으로도 대상이 들어가네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대...
    Date2012.01.05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905
    Read More
  6. IC405 & 410

    겨울철 한번은 찍어보게 되는 대상입니다. 카메라의 화각과 대상의 방향이 잘 맞지 않아 간신히 두 대상을 넣어 보았는데 주변부 여유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카메라의 구도를 원격으로 바꾸는 로테이터가 해결책인데 가득이나 접안부가 무거워서 엄두가 안납...
    Date2012.01.0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029
    Read More
  7. 오랜만의 M31 (원본크기 추가)

    몇달간 바쁘게 지내다 보니 들르지 못했는데 방학을 맞아 오랜만에 밀린 답글 도 좀 달고 사진 몇장 올립니다. 원격관측소 가동하여 사진은 꾸준히 찍고 있는데 이미처리할 여유를 찾기가 어렵네요. 방학중 며칠 여유가 있을 것 같아 큰맘먹고 이미지처리를 ...
    Date2012.01.05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218
    Read More
  8. M42 ( 오리온자리 대성운 )

    별상도 좋지 않고 사진은 좋지 않지만, 정말 오랜만에 (5년 ?) 찍어본 천체사진입니다. 미러리스 카메라인 NX200 으로 찍었습니다. 냉각CCD 카메라 보다 못하지만, 간편하게 찍기에 알맞은 것 같습니다. 망원경 개조 및 카메라 정비후 본격적으로 천체사진을 ...
    Date2012.01.02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258
    Read More
  9. 별자리 황소와 마차부

    요즘 제가 찍는 광시야 사진은 화각(가로 35도)이 크다보니 아무래도 고도나 지역적인 광해 영향이 만만치 않습니다. 천정 부근을 지날때 맞춰서 찍어야겠습니다. Sh2-240, 정말 어둡네요. 이렇게 한 화각으로 보니, 주로 찍는 대상들의 밝기와 크기 비교에 ...
    Date2011.12.31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999
    Read More
  10. 별자리 카시오페이아 주변부

    방학이 좋긴 좋습니다. 학기중과 다름없이 하루 종일 학교에 나가서 근무를 하지만 그래도 수업이 없고, 마음의 여유가 있어선지 밀렸던 이미지에 손이 가게 됩니다. 데이터를 보니 11월 20일 촬영, 한달이나 더 된 묵은(?) 이미지네요. 가을의 대표적인 별자...
    Date2011.12.2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133
    Read More
  11. 별자리 오리온과 장미성운

    올릴까말까 고민하다 기록차원으로 올립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다크가 잘 안빠진건지, 바탕이 마음에 안 듭니다. 관측소의 지역적 특성상 남쪽 하늘은 광해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라 더 이상 좋은 작품도 안 나올 것도 같습니다. LHa+RHa+G+B 합성을 하려고 했...
    Date2011.12.27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214
    Read More
  12. 111226_ic443

    111226_ic443 12월 25일 성탄절 밤 하늘이 좋아서 가족과의 저녁 약속도 펑크내고 아산으로 달려 갔었는데..... 찍을 만한 시간이 되자 하늘에 별과 구름이 함께 하면서 눈이 조금씩 내리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새벽에 철수를 하였지요. 그리고 다시 월요일 ...
    Date2011.12.2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8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