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Bubble. M52부근 외

    간만에 출사였습니다. 펜탁스 67 용 렌즈 165mm F2.8 TEst겸사진입니다. 장비설치를 하고나니 구름은 없는데.. 은하수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하늘이 삐리리해졌습니다. 그리고 엄청난 이슬이.. 총 10대상을 찍었는데.... 여러대상을 찍어볼려고 Ha image만...
    Date2007.10.10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74
    Read More
  2. Bubble 주변

    ||1Bubble성운 주변을 여러번 찍어보았지만.... 칼라로는 제대로 찍어보질 못했네요..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90mm x 6303 Ha 1200sec x 5, Half resize입니다. ( 90mm 렌즈에 1.3 crop body의 화각이지요.)
    Date2011.10.0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06
    Read More
  3. Bubble 부근.... M52, NGC7635, NGC7538, NGC7510, Sh2-157

    성운이 풍부한 영역인데도 불구하고 노출이 다소 부족하여 세부 성운끼를 볼수가 없습니다. 너무 오래간만에 출사나갔더니 여러가지로 어리버리하고 ..시간에 대한 부담도 밀려 오고 해서.... 이영역 이름도 생소해서 나중에 참조하려고 목록까지 첨부했습니...
    Date2011.09.2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328
    Read More
  4. Bubble Nebula(NGC7635) and M52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빨간 풍선껌 버블성운과 그 북동쪽에 자리한 M52 산개성단입니다. 두 대상이 카메라의 대각선 방향이라 ADT12.5인치 화각에 아슬아슬하게 들어가네요. 6월11일 밤은 투명도와 시상이 보기드믈게 좋았지만 아쉽게도 자정전에는 상현달...
    Date2008.06.26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806
    Read More
  5. Bubble Nebula & M52 부근 영역

    ||1오랜만에 별 빛 맑은 청태산 자연휴양림에서 행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새벽 두시반 지나면서 달이 떠서 RGB 채널이 조금 부족한 듯하게 나왔지만, 별하늘아래 하룻밤을 지새우고 하늘을 보고 누워 여명의 하늘을 맞이한 이후에 아직도 별빛에 취한듯 이쁘...
    Date2011.09.25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1160
    Read More
  6. BRC로 처음 찍은 사진 M8

    오랜만에 찍어보는 사진입니다. 장비를 받고 준비기간이 너무 길었습니다. 아직도 손봐야할 부분이 많습니다. 화각도 잘 못맞추겠고.... E100s필름,40분노출 2스텝증감.
    Date2004.06.16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1215
    Read More
  7. BRC250 오리온

    성운은 구경이 많이 좌우한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꼈습니다. 가이드를 하지 않았드니 많이 흘렀습니다. 일시 :2004.11.6.22:? 찰영장비 : BRC250. NJP노터치가이드. CANON 20D 노출 :300sec6장
    Date2004.11.08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1293
    Read More
  8. Bode 와 Cigar 은하 ( M81 + M82 )

    제목 : M81+M82 망원경/렌즈 : 자작 8인치 F/4 Newtonian  망원경 콤마코렉터 : paracorr Type 2 카메라 : 캐논 EOS M6 (IR cut 필터제거) 가이드 : 자작 OFF AXIS Guider + QHY5L II 마운트 :  자작 Goto 적도의, PHD2 가이드 필터 :  52mm Hoya UV/IR cut  ...
    Date2018.02.24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80
    Read More
  9. Blue Horsehead Nebula -IC 4592

    Blue Horsehead Nebula    촬영장소: 호주    망원경 : FSQ106ED with 645REducer 카메라: FLI 16803 CCD  가대: RST-135   촬영노출: Astronomiks L 1x1 600s(3) /  RGB 2x2 480S(3)- NBRGB in pixinsight    촬영일시: 2019년 6월 5일     역시 호주의 투명...
    Date2021.03.22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3
    Read More
  10. Black eye ~~ M64

    21~22일 워크샵을 마치고 돌아와 전날 찍은 것 중 하나를 처리해 보았습니다.. 아침(9:30)에 나오느라 몇 분에게만 인사를 드리고 왔습니다. 처음 참여했지만 얻어가는 것이 많은 자리였고 오래간만에 뵌 분들과 이름은 익숙하지만 만남이 처음인 분들과의 대...
    Date2009.02.23 CategoryGalaxy By조용현 Views1437
    Read More
  11. Beta Cygni (Albireo)

    3월 5일 새벽녁에 망원경 정리하다가... 한장찍어봤는데... 잘 보이네요.. ^^ 2005년 3월 5일 05시 51분 AP1200DA, Tak. FS128, Canon 20D(@iso1600) 32s 한장 중앙부분만 크롭한 것입니다. 알비레오는 PA 54도 Sep. 34arcsec 입니다.
    Date2005.03.09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박영식 Views2471
    Read More
  12. Barnard72 (Snake Nebula) widefield

    Telesocpe : Takahashi FSQ-106ED (D:106mm, fl:530mm) CCD : SBIG STX-16803  Mount : RainbowAstro RST-400  Filters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OAG : Astrodon MOAG Guide CCD : SBIG RemoteGuideHead Exposure : L 600s x 23(1x1bin...
    Date2017.09.07 CategoryNebula By정병준 Views2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