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재처리X2]우리별천문대의 오리온 M42

    맘처럼 잘 안됩니다. 스텔라이미지로 16비트 이미지를 DDP처리하고 나서 저장하면 이상하게 포샵에서 파일이 깨지고 푸른색 정보를 많이 잃어버립니다. 왜그럴까요? 맥심 DDP는 나중에 남명도님께 전수받기로 하고 DDP없이 포샵만으로 중심부를 살려봤습니다....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875
    Read More
  2. 북아메리카&펠리칸 성운.

    올 여름 날씨가 너무나 황당해서, 계획한 많은 대상을 찍지는 못했습니다. 여름을 보내며, 간신히 모은 채널 이미지로 합성해 봤습니다. 이 영역은 가을에도 가능하긴 하겠지만 그러면 가을 대상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내년을 기약할 대상인 것 같습니다. #...
    Date2010.10.03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873
    Read More
  3. M81 & M82 5DMK2 Test Shots: From Max. Wide Angle To 1to1 Crop

    ||1지난 1월말 구매후 처음 찍었던 5D Mark2 Test shot입니다. 감도 및 Pixel 해상도 점검 차원에서 ISO 1600에 300초로 11장을 찍고, Full Size 21M Pixel WideAngle에서 크롭으로 줌인해들어가 1:1 Crop까지 다양한 사이즈 비교샷들입니다. 두장의 사진 밖...
    Date2009.03.07 CategoryGalaxy By공준호 Views1873
    Read More
  4. D700으로 찍은 M103

    안녕하세요? 이미 많이 지났지만 추석 연휴 잘 보내셨는지요? ^^; 갑자기 날도 더워지고 다시 여름이 오는 것 같습니다. 추석 연휴가 끝나고 하루 더 쉬어서 가까이 나가서 찍어보았습니다. 제 카메라는 아니구요... 동생 카메라인데 달도 찍고 자체적으로 인...
    Date2008.09.19 CategoryStar Cluster By권기식 Views1871
    Read More
  5. NGC7635 Bubble Nebula

    여러날을 시도했으나 일본쪽으로 상륙한 태풍의 영향으로 투명도가 좋지 않은 하늘의 연속입니다. 돌이켜 보면 다년간 사진을 찍었지만 인연이 없는 대상이 있는가 봅니다. 맘에 들게 찍어 본적 없는 대상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컬러채널의 다크를 찍지 못...
    Date2009.10.26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70
    Read More
  6. M57(NGC6720)고리성운

    거문고자리 행성 성운 1779년 메시에와 안토니오다퀴에르가 처음발견함. 성운자체의 크기는 1/2광년 성운까지의 거리는 2000광년 정도이고 밝기는 9.7등급 크기는 70초 정도임 중심성은 14.8등급(밤하늘에보석중에서..) 2008-03-30일 별마실관측소 L:20분*2장...
    Date2008.04.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삼진 Views1869
    Read More
  7. M51

    호빔 천문대의 북쪽 하늘은 원래 아산의 광해가 올라오는 곳입니다. 해서 떠오르는 북쪽 대상은 피하는 편인데 조금 오기도 발동하고 또 테스트도 하고 싶고.. 하지만 역시나 처리가 힘든 결과물이 만들어 졌습니다. 색감도 균혀있게 평탄하지 않고 또 바탕도...
    Date2010.01.20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867
    Read More
  8. 날 좋았죠?

    송암 천문대는 경기도 양주에 위치한 사설 천문대 입니다. 가끔 아르바이트 하러 오는데, 어제는 날이 좋아서 한번 달려봤습니다.ㅎ 천문대에는 미드 14"와 STL-11K가 있어서 사진 한장 찍어보았구요. 하늘이 좀 밝은데 어젠 워낙 날이 훌륭해서...... 일시 :...
    Date2008.07.10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867
    Read More
  9. M42 오리온 성운

    maging Date: November 11th, 2007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RO) Telescope: TOA130F f/5.8 (750mm) Mount: Paramount ME Guiding: Self guiding Imaging Camera: SBIG STL11000M/C2 (-35C) Exposure: L 300sec X 9(1X1) R 300sec X 3 (2X2) GB 300...
    Date2007.12.03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867
    Read More
  10. 스테판의 오중주

    loadImage1 = new Image(); loadImage1.src = "http://astrophoto.co.kr/zeroboard/data/temp/stephan_skymate2.jpg"; staticImage1 = new Image(); staticImage1.src = "http://astrophoto.co.kr/zeroboard/data/temp/stephan_skymate.jpg"; 가을철의 별자리...
    Date2004.09.3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867
    Read More
  11. NGC5128 - 2003년 5월 4일

    켄타우르스 자리의 유명한 은하 NGC5128입니다. 고도가 낮아서 노이즈가 심합니다. 2003년 5월 4일 오후 10시 130edf, st-10xme, 3x binning 2분 x 9장
    Date2003.05.06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866
    Read More
  12. 안타레스 북부

    ||1크롭바디에 300mm 화각이 약간 좁은듯 하여 안타레스 윗쪽만 조금 다른 구도로 잡아보았습니다. 안타레스가 빠지니 좀 어색하네요. 이날 하늘의 투명도가 떨어지나 싶더니 역시 사진에 노이즈가 많습니다. 다음에 더 찍어서 합성해 봐야겠습니다. 촬영일시...
    Date2010.04.1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8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