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RGB 만 사용한 독거미 성운(NGC2070)

    독거미 성운의 경우, Ha 를 사용한 이미지가 조금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RGB 만 사용한 이미지를 올려 봅니다. RGB 만 사용한 경우가 좀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이 이미지를 포토샵에서 Lab 모드로 변환하고, Light 이미지로 Ha ...
    Date2006.03.03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1037
    Read More
  2. Reo Triplet_060224_홍천 탄상현

    아래의 M13찍기 전에 찍었던 사진입니다. 얼어서 미끄러운 길을 어렵게 올랐었는데 하늘의 상태는 썩 좋은 편이 아니었습니다. 상대적으로 동쪽하늘 좋아서 찍어보았습니다. AP155/STL11K/EM200 L : 10X10, R,B: 10X4, G:10X3 2006.2.24 홍천 탄상현
    Date2006.03.01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008
    Read More
  3. Reo Triplet

    사자자리에 있는 유명한 은하사총사입니다. 플랫이미지를 찍은 다음 다시 이미지처리를 하려고 이미지 처리를 하다가 그만 두었는데 컴퓨터 파일 정리 중 실수로 원본파일을 모두 지워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였습니다. Finaldata로 복구하려 했는데 원본은 잘...
    Date2007.01.09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249
    Read More
  4. Regulus & Leo I (dwarf galaxy)

    제목 :Leo1  망원경/렌즈 :fra500 카메라 :qsi583ws 마운트 :em11temma2jr 필터 :astrodon 노출정보 :lrgb5h 촬영장소 :상판리 촬영일시 :202401 촬영후기 :희미한 대상이라 하루밤 촬영해 보았는데  스택을 많이해도 희미한 솜사탕입니다    
    Date2024.01.20 CategoryGalaxy By이광호 Views96
    Read More
  5. RAW 이미지로 처리한 더블클러스터와 M45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촬영하였습니다. D60, Nikkor 300mm, F4.5 더블더블은 ISO 400, 120 sec 한장, 포토샵에서 조정과 리사이즈 왼쪽이 ngc 869 오른쪽이 ngc 884입니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ISO 400, 5분 한장, 역시 포토샵에서 조정과 리사이즈 하였습...
    Date2003.11.29 CategoryStar Cluster By문재곤 Views1420
    Read More
  6. Rainbow Orion Nebula

    제목 : Rainbow Orion Nebula 망원경/렌즈 : Takahashi FCT-125 카메라 : SBIG ST-8300M 마운트 : Rainbow Robotics RST-135 필터 : Ha, O3 노출정보 : 600s 촬영장소 : 공주, 대전 촬영일시 : 2020년 2월 5일, 2월 23일 촬영후기 :  Ha와 O3로 촬영한 영상을...
    Date2020.02.24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264
    Read More
  7. R14로 촬영한 M27

    장초점 클로즈업사진을 동경하다 일을 저질렀습니다. 정석대로라면 정통 RC로 가야하나 이번에는 약간 삐딱선을 타고 미드의 새로운 경통 LX200R 14인치를 선택했습니다. 초점길이가 3550미리로 셀레스트론의 C14경통에 맞서 R14라고 이름지었습니다. ^^ 전에...
    Date2006.09.04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409
    Read More
  8. Polaris Region

    북극성 주변의 분자운들입니다. 찍힐까 하는 의구심이 들어서 촬영 확인을 하고는 촬영을 포기했는데 이것 저것 해 보며 처리를 하니 조금 보이기는 합니다. 우리 북반구의 길잡이별인 북극성의 아름다운 자태입니다. 주변의 분자운들은 뭐 이쁠게 있겠습니까?...
    Date2014.12.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484
    Read More
  9. Polaris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 takahashi em-200 temmar2 LRGB = 15m 3m 3m 3m 20060323 in Sang-ju, Korea
    Date2006.03.28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김승남 Views1791
    Read More
  10. PLN205+14.1 Medusa Nebula

    예전에 12인치로 찍었던 이미지를 컬러정보로 이용을 하였습니다. 성상은 마음에 들게 되었습니다. 미러도 스트레스가 덜 한 것 같습니다. 점점 15인치의 양산이 가능해 지고 있습니다. 참 아름다운 대상입니다. . HO-BYM 380FN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
    Date2006.02.13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555
    Read More
  11. PLN205+14.1 - Medusa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 CFW-8A(-25) -L : 300sec(1X1) X 11 -R : 600sec(1X1) X 6, GB : 600sec ea(1X1) X 3 -2006. 10. 27 에치알파를 한 장만이라도 찍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Date2006.11.07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231
    Read More
  12. PLN 164+31.1

    ||1예전부터 찍어보고 싶었던 대상중에 하나입니다. . 꽤 큰 행성상성운으로 주변이 파아란 성운인데.. 요즘 밤만되면 흐려지고 보름달까지 떠서 색깔 입히기가 어렵네요.. 일단 Ha image만 올려봅니다.. Toa 6303E 1200sec x 4 half resize 조만간 다시 색동...
    Date2006.12.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4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