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36.185.223) 조회 수 1672 추천 수 133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촬영일시 : 2008년 10월 27일

- 촬영장소 :  양동면

- 마 운 트 : EQ6 Pro (EQ-mod),PC-direct cable
- 망 원 경 : ε-160,LPS-P2 ,전용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40D (w/o LPF)+Canon10D(무개조)
- 가 이 드 : 이쁜이62, PHD,DSI color

- 노출정보 :

                 Canon 40D ISO800 -  420초 2장 +300초  5장+ 180초 3장 + 60초 3장 +30초 3장 +3초 3장

                  Canon 10D ISO800 -300초 5장 + 600초 1장

- 소프트웨어: nebulosity 합성, 포토샵 레벨  조정


나다에 사진 구경하러는 들르지만, 올리는건 처음이네요..^^
나다에 계신 별지기 선배 님들께 인사도 드립니다..꾸뻑
서천동에서 자주 뵙는 선배님들도 많으시네요..^^

40D 필터개조한것과 10D 무개조로 합성한 실험작입니다..
혹시 다른 분들께도 참고 자료가 될수 있을지 몰라서 올려 봅니다..



과연 어떤결과가 나올까 궁금했는데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조합하는 경우의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어떤게 최상의 조합인지 다해볼수가 없어 대충 해봤습니다..

부분 보정없이 할 수 있는 실력껏 해봤습니다..

성운기를 살리자니 중심이 죽고, 중심을 살리자니 성운기가 죽고..

쉽지 않네요..

실험하면서 알았는데 40d와 10d의 촛점거리가 정확히 일치하더군요..
두대의 카메라를 조합한것은 첫 시도라는데 의의를 둡니다...




- 명칭 : 오리온대성운(Great Orion Nebula), M42, NGC 1976
- 적경 : 05h 35m 24s
- 적위 : -05° 27'
- 등급 : 4.0
- 거리 : 1600광년
- 각크기 : 85'x60'

○ 오리온자리에 있는 대표적인 발광성운으로 주변의 뜨거운 별에 의해 가열되어 빛을 낸다. 성운의 내부에서는 갓 태어난 젊은 별들이 많이 관측되고 있으며, 현재도 새로 태어나고 있다. 지구로부터 약 16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 명칭 : 런닝맨성운(NGC 1973, NGC 1975, NGC 1977)
- 별자리 : 오리온자리(Orion)
- 적경(R.A.) : 5h 35m 15s
- 적위(Dec) : -4° 53' 12"
- 겉보기등급 : 10 등급
- 겉보기크기 : 20' x 20'
- 분류 : 산개성운(open cluster)
- 거리 : 1,600 광년
○ 위의 사진은 M42/M43 오리온 대성운(Great Orion Nebula)의 30광년 옆에 있는 NGC 1977이다. 위 사진에서 대(大)자의 붉은 색의 형상이 뛰어가고 있는 사람과 비슷하여 종종 런닝맨 성운(running man nebula)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위 사진에서 런닝맨의 머리부분에 있는 항성 주변영역이 NGC 1775, 그 오른쪽 아래 있는 항성 주변영역은 NGC 1773이다.

○ 위 사진에서 NGC 1977 속에는 몇 개의 밝은 별이 있다. 이 뜨거운 별은 주변의 수소들을 이온화시켜 위 사진처럼 붉은 기운의 배경색을 만들고 있다. 또한 런닝맨의 형상을 조각하는 뿌연 구름은 밝은 별들이 내는 빛을 반사하여 푸른색을 띄고 있다. 사진 아래의 암갈색 성간먼지는 탄소의 먼지덩어리로서, 뒤에 있는 성운의 빛을 가리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인용-


  • 임재식 2008.10.30 18:43 (*.218.70.129)
    멋지군요...개조와 무개조의 합성...^^
  • 전영준 2008.10.30 20:06 (*.138.203.2)
    멋진 시도이십니다..
    여기서 큰 화면으로 보니 사진이 더 멋집니다.^^ 고스트만 잡아내시면..대박^^
  • 박대영 2008.10.30 21:47 (*.207.138.64)
    사진좋고~ 바뜨, 코마보정이 제대로 안된건지 아니면 e160 경통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접안부 뒤틀림의 영향인지 주변부 별상이 좋지 못함. 이부분의 개선과 고스트를 잡아야 할 것으로 판단됨..아무튼 환영하는 바임..^^
  • 강문기 2008.10.30 23:02 (*.134.16.253)
    여기서 만나니 또 반갑군요... 큰 사진으로 보니 너무 좋습니다. 완벽하 작품입니다.
  • 이상희 2008.10.31 11:45 (*.57.72.10)
    아니 이게 누구신가요????
    정철표작품은 남다른것 같아요
    무지개빛낙관을 멋지게 찍어놓으셨군요
    항상 뭔가를 계속 실험하시는모습에 박수와 시원xx를 보냅니다 ^^;
  • 안정철 2008.10.31 13:12 (*.36.185.223)
    임재식님, 전영준님, 대영형님, 강교수님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이상희씨 이번에 부산 출장가면 시원쏘주 한잔합시다..
    경기가 나만 안좋은건 아니지만 그렇다보니 출장일정 잡기가 참 애매해서 ..(출장은 뭔 출장 그냥 술이나 마시러가는거지^^)
    권기식씨랑 같이 미포나 청사포에 조개구이 또 먹으러 갑시다 ..
  • 신범영 2008.10.31 15:07 (*.241.50.130)
    10D, 40D 모두 애용하는 DSRL인데 둘을 조합해서 이런 멋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군요.
    멋진 색상과 날카로운 초점의 별상 모두 인상적입니다.
  • 김삼진 2008.11.01 08:46 (*.131.71.43)
    여러가지 시도도 부럽고 이미지도 멋들어집니다.^^
  • 김광욱 2008.11.01 11:48 (*.250.12.41)
    여기서 크게 보니 더 좋은 이미지로 보입니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1 Deep Sky IR제거후 일반사진의 비교 8 file 정민경 2003.10.31 1675
1970 Solar System 멀어져가는 목성 3 file 하준기 2010.12.10 1674
» Deep Sky [실험작] 10d(무개조)와 40d(w/o LPF) 짬뽕작 M42 9 file 안정철 2008.10.30 1672
1968 Deep Sky 초짜의 트리밍 실수기--- 오리온 대성운 5 file 조인제 2008.09.30 1672
1967 Deep Sky 안드로메다 은하... 5 file 김광욱 2007.11.05 1670
1966 Solar System 17P/Holmes file 조현우 2007.10.27 1669
1965 Deep Sky 살짝하니 웃어주는 초승달 한장입니다. 5 file 하준기 2005.11.30 1668
1964 Deep Sky 처음 찍어본 천체사진(달입니다) 2 file 한종진 2003.08.15 1667
1963 Deep Sky NUDE M31 Andromeda (우리은하게 밖에서 본 Andromeda?!) 9 file 공준호 2008.10.06 1666
1962 Deep Sky M3입니다. 3 file 이화영 2003.05.11 1665
1961 Others 동영상 달사진 file 어진선 2003.08.30 1664
1960 Deep Sky 추암일출 4 file 이용정 2008.09.08 1661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84 Next
/ 1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