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08.16 11:45

[8/14~8/15] 분당 관측기

(*.247.145.51) 조회 수 350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   간   : 2003/8/14 21:00  ~ 2003/8/15  05:00

장   비 1 : C14(FL3910mm F11) + Gemini40 mount + FS2 goto 시스템
장   비 2 : Teegul 60mm, F8.3 플로라이트 굴절
아이피스 : LV60, TV55, XL40, TV26, TV16, TV9, Hutech Binoview, etc..

기    상 : 아침부터 파란하늘이 밤까지 계속 이어지는 매우 좋은날씨였다.
           그렇지만 바람이 좀 불고, 기온이 급강하해서 새벽에는 오리털파카가 생각나는 추위를 느꼈다. 

월    령 : 17일

장    소 : 분당 300고지 주차장.

           GPS수신기 데이타
           ----------------
           북위  37.37949
           동경 127.17950
           해발 292미터  

관측자 :  영재 + 윤호

20:00 ~ 20:30  부근의 음식점에서 해결 : 손 칼국수 + 해물파전 ( GOOD! )
20:30 ~ 22:00  장비세팅
22:30 ~ 05:00  관측


관측대상 :

Moon
: 쌍안장치와 나글러 16mm 로 본 달의모습은 우주선에서 창밖을 통해 내려다본듯한 모습이였다,   이날의 압권이였다. 콘트롤러를 이용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보는 입체적인 모습은 매우 훌륭했다.

Mars(화성)
: 이날은 하늘이 매우 안좋아, 선명한 모습을 볼 수 없었다. 새벽 3~4시쯤 되어서는 시상이 조금 좋아져  그런데로 봐줄만한 모습이였다. 극관은 매우 잘 보였고, 본체의 모습은 순간적으로 잘 보일때가 있었다.

M27 (아령성운)
: 큼지막하게 잘 보임. 그렇지만 시골에서, 보다 소구경으로 본 그런 모습은 아니였다. 달 빛의 영향이 큰것 같다.

M57(고리성운)
: 달빛 때문에 하늘은 그리 어두운 상태는 아니였지만, 매우 훌륭하게 보였다. 고리모습이 확실하게 보였다.  관측나온 초등학생 꼬마도 고리모습이 확실하게 보인다고 했다. 중심성을 보려고 오래동안 째려보았으나 안보임.

M13(구상성단)
: XL40(x98)으로 본 모습은, 밝은 바탕에 설탕뿌려 놓은 모습이 비교적(?) 희미하게 보였지만,   나글러 26mm(x150)로 본 모습은 감동적이였다. 광시야의 검은 바탕화면에 무수한 별들이 매우 잘 분해되어 보였다.  그믐날 강원도 산골짜기 고지에서 보면 환상적일것 같다.

NGC 869 / 884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 TV 55mm(x71) 플레셀로 본 모습은 시야의 양 가장자리 끝에 2개의 성단이 겨우 걸쳐보이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선명히 매우 잘 보였다.
  60mm 굴절 + TV16mm(x31)로도 같은대상을 확인, 대구경보다 관측되는 별의 숫자는 적었지만 의외로 잘 보였다. 50mm파인더  보다 훨씬 많은 별들이 한시야에 매우 잘 보였다.

M31 안드로메다 은하
: 암흑대나 그런것은 보이질 않고, 큼지막한 타원형으로만 보임.

M32 안드로메다 부근 은하
: 역시 M31과 비슷한 밝기로 보이나, 크기는 약 1/4 정도로 보임. 타원형으로 보임.

Double Double(거문고 자리)
: TV9mm(x433) 로 한시야에 4개의 별들이 완전히 분해되어 보이지만 시상이 안좋아 각각 별상은 점으로 보이지는  않고, Fringe현상(외국인들은 이렇게 언급하더군요, 가장자리가 톱니, 솜털처럼 삐쭉삐죽 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M42(오리온)
: 새벽 4시 정도에 본 모습은 예전에 디지탈 카메라로 찍은 그런 모습과 똑같이 보였다.   비록 점상은 아니지만, 트라페이지움 4개의 별이 넓은간격으로 보였고, 자세히 관측하면 트라페이지움  부근의 성운기가 엷은 녹색계통으로 느껴졌다.

Saturn(토성)
: 새벽 4시 정도에 오리온자리보다 왼쪽으로 황색의 토성이 떠올랐는데, 고도가 낮아 선명하게 볼 수는 없었다.  위성 5개 정도는 쉽게 눈에 들어왔다.

정리 :
딮스카이 관측에 있어서, 이날의 아이피스 대결(XL40mm vs 나글러 T5 26mm)은 나글러의 승리.광시야의 하늘배경은 더욱 어두워보이고, 관측대상은 더욱 밝아보이는 느낌.구상성단 관측에 강력추천.
  • 김영재 2003.08.16 12:38 (*.75.93.53)
    ㅎㅎ..수고요...그런데 이날 ngc7293,천왕성,해왕성 등도 관측시도는 해봤습니다만 7293은 전혀 그 흔적조차 볼수 없었습니다..다음기회에..

관측 / 촬영기

안시관측 및 사진촬영 후기, 경험담들을 모아봅니다.

  1. C/2014 Q2 Lovejoy 혜성 관측

  2. 7월 16밤 ~ 17일 새벽, 도마령 관측 후기

  3. h-alpha telescope 동영상..

  4.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서의 DEEP SKY 사진촬영에 관하여

  5. 1,448배 초 고배율 목성 관측과 폰 어포컬

  6. 2004년1월19~20 일

  7. 8월 25일 관측기

  8. 04/02/23 분당 번개

  9. 22~23일 늦은 관측기...

  10. 칠레 아타카마 별관측기

  11. 2003년10월18일저녁~19일 새벽 덕초현 관측기

  12. 2월 9일 분당 번개 이상有

  13. [8/14~8/15] 분당 관측기

  14. 8월5일 새벽 베란다 관측기

  15. 2003년 7월 1일 분당 번개

  16. 2003.08.17관측기

  17. Borg 5Inch Second Light

  18. 11월 14일 모임 간단후기

  19. 8월 9일 분당관측기..

  20. 8월 14~15일 분당관측촬영 후기 -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