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3.15.230) 조회 수 5636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크리스토퍼 고의 홈피에 들렀다가 찾았습니다.
정식명칭은 Oval BA 라고 하네요.
크기는 대적반의 절반정도이고 목성 남반구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행성찍으시는 분들 도전해볼만한 볼거리 같습니다.

아래 자세한 내용 있습니다.
http://science.nasa.gov/headlines/y2006/02mar_redjr.htm?list778348
  • 윤홍선 2006.03.05 13:39 (*.109.120.155)
    흥미로운 대상이죠. 세 개의 작은 반점들이 합체되어 생성되었다는 사실 자체는 6년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관심을 끄는 이유는 1년 전까지만 해도 흰색이었지만 최근 대적반과 같은 빛깔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경도는 대략 System II 180-190 사이로 되어 있으니 관측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윤홍선 2006.03.05 13:42 (*.109.120.155)

천문 정보

주요천문현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1. No Image 11Feb
    by 이용정
    2009/02/11 by 이용정
    Views 3952 

    2007 N3 Lulin 혜성 위치정보.

  2. (every 30 minuts) Mars Simulation Stillness pictures Menu 2002/12-2004/05

  3. No Image 07Oct
    by 조윤호
    2004/10/07 by 조윤호
    Views 5170 

    .

  4. 2001~2020년 일식 지도

  5. 2003년 4월 17일 수성 동방최대이각, 올해 관측 최고의 기회

  6. 2003년 5월 7일 수성의 태양면 통과

  7. 2004. 5월 4~5일 혜성 현황

  8. 2005년 화성 시뮬레이션

  9. 2006년 1월 4일 새벽, 사분의자리 유성우(Quadrantids) 관측...

  10. No Image 28Jun
    by 이준희
    2006/06/28 by 이준희
    Views 7152 

    2006년 7월 3일 소행성 2004 XP14 지구 최접근

  11. No Image 04Sep
    by 이준희
    2006/09/04 by 이준희
    Views 6665 

    2006년 9월 8 일 부분월식, 11월 9일 수성 태양면 통과

  12. 2006년 봄 새 혜성 소식 C/2006 A1 Pojmanski

  13. 2008년 8월 1일 러시아 일식 관련

  14. 2008년 주요 천문현상

  15. 2008년의 토성

  16.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Leonids) 예측 - 좋은 관측 조건 (수정)

  17. 2012년 12월 14일 새벽, 쌍둥이자리 유성우 예측

  18. 2012년 8월 14일 새벽, 금성식 예측.

  19. 2013년 6월 1일, 큰 소행성(1998 QE2)의 접근

  20. 2013년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Perseids) 예측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