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9.97.68) 조회 수 70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영렬님의 필름카메라 사진과 디지털 카메라사진을 보면서 이러한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같은 대상을찍은  여러사람들의 천체사진들을 보면 비슷비슷한 색상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정확히 같은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필름사진의 경우에는 사용한 필름이 다르다거나, 사진을 찍은 곳의 광해가 영향을 주거나, 현상과정의 차이가 있거나하는등의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보여지며, CCD 및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사용한 RGB 필터의 감도가 다르거나, 각각의 노출시간 배분이 다르거나, 이미지 처리과정의 다름이 그 원인들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실제색깔을 찾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 문제는 결국 화이트 밸런스의 문제이겠죠. 즉, 백색종이를 찍어서 백색으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면 문제가 해결될 겁니다.  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습니다. 얼마전 화이트 밸런스를 해보려고 했는데, 백색종이를 찍을때 사용되는 광원이 문제가 되더군요.

즉 백열등아래서 찍을때, 형광등아래서 찍을때, 흐린날 자연광에서 찍을때, 밝은날 자연광 아래서 찍을때 찍을때마다 백색을 맞추기 위한 RGB 의 비율이 달라집니다. 이것은 그때마다 사용된 광원의 RGB  분포가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사람의 눈으로보면 광원이 달라도 흰색종이는 흰색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사람의 눈이란 것이 진짜색깔을 판별한다고 봐야 되는건지, 아닌지 혼란스러워집니다.

어쨋든, 그래서 디지털 카메라경우 이러한 화이트 밸런스를 광원마다 다르게 설정하고 찍지 않으면 우리가 느끼는 색깔과는 다른 색깔의 사진이 얻어지는 것이죠.

완전 자동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대부분의 색상조정을 카메라가 알아서 합니다. 색상조정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카메라 제조회사의 축적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하게됩니다. 이 데이터라는 것이 판매되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각나라마다 문화가 다르고, 좋아하는 색상도 다르기때문에 카메라를 잘 팔리게 하려면 그렇게 해야겠지요. (추측컨데 눈의 색깔이 영향이 있지않을까요?^^)

필름의 경우에도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들은것 같습니다. 나라마다 판매되는 필름의 각색깔에 대한 감도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어쨋든 이러한 차이때문에 각나라마다 선호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달라지고, 필름도 달라지고 하겠죠.

(한참을 이생각, 저생각하며 쓰다보니 무슨말을 하려고 하는건지 저도 모르겠군요... ^^)

결론은 화이트 밸런스 입니다. 천체에 대한 화이트밸런스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기준광원을 사용하거나, 기준 색깔을 사용하거나,  어쨋든 기준을 찾아야합니다. 어두운 하늘에 완전한 백색, 또는 완전한 적색,청색, 녹색의 대상을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대상을 찍었을때 백색,  적색, 청색, 녹색 으로 찍힌다면 그밖의 대상이 보여주는 색깔은 진짜 천체의 색깔이 되겠죠.

그런 대상이 어디에 있냐구요?  .... 지금부터라도 찾아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없다면..... 그냥찍는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천체사진 카메라

천체사진 카메라의 모든정보(사용기,신제품정보,개조 등)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 디지탈카메라 1) 포토샵만을 이용한 DSLR이미지 처리[다크프레임 처리] 1 file 김형석 2004.11.19 6770
153 냉각CCD SUPASLIM 48 FILTER WHEEL 1 남명도 2004.11.10 7745
152 냉각CCD SBIG CFW8을 다른 CCD에서 사용하기 1 file 김형석 2004.11.08 7528
151 냉각CCD MaxImDL 이건호 2004.10.19 7461
150 냉각CCD CCD 건조제 4 이건호 2004.10.15 7905
149 기타 웹캠을 이용한 달/행성 촬영 입문 file 윤홍선 2004.10.04 12175
148 디지탈카메라 Low Pass Filter..(Canon D-slr) 1 이윤 2004.10.01 6457
147 기타 [re] PC 카메라로 자동가이드할때 사용되는 회로 1 file 박현권 2004.09.30 7332
146 기타 Apple iSight 를 행성촬영용으로 개조 #2 file 윤홍선 2004.09.27 9702
145 기타 Apple iSight 를 행성촬영용으로 개조 #1 4 file 윤홍선 2004.09.27 9738
144 냉각CCD Starlight Xpress CCD 6 file 김형석 2004.09.10 8137
143 냉각CCD PCMCIA -> 패러랠 포트 1 이건호 2004.09.08 6573
142 냉각CCD CCD에 수냉식 펌프 사용 3 file 이건호 2004.08.01 7641
141 디지탈카메라 10D, 300D 이미지 처리 예 6 file 김형석 2004.07.26 7505
140 디지탈카메라 캐논 1D Mark II 노이즈 Test 1 이윤 2004.07.05 6837
139 디지탈카메라 캐논10D vs 니콘 D70 비교 2 이건호 2004.06.08 13747
138 냉각CCD Maxin DL/CCD Ver 4.0 file 이건호 2004.05.27 7497
137 냉각CCD SBIG 의 새 CCD 카메라 2종 2 이준희 2004.05.12 8224
136 기타 보드카메라를 이용한 천체촬영용 카메라제작 메뉴얼 NADA 2004.05.07 10023
135 디지탈카메라 D70 적녹현상 3 박현권 2004.03.22 73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