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9.97.68) 조회 수 70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영렬님의 필름카메라 사진과 디지털 카메라사진을 보면서 이러한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같은 대상을찍은  여러사람들의 천체사진들을 보면 비슷비슷한 색상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정확히 같은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필름사진의 경우에는 사용한 필름이 다르다거나, 사진을 찍은 곳의 광해가 영향을 주거나, 현상과정의 차이가 있거나하는등의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보여지며, CCD 및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사용한 RGB 필터의 감도가 다르거나, 각각의 노출시간 배분이 다르거나, 이미지 처리과정의 다름이 그 원인들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실제색깔을 찾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 문제는 결국 화이트 밸런스의 문제이겠죠. 즉, 백색종이를 찍어서 백색으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면 문제가 해결될 겁니다.  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습니다. 얼마전 화이트 밸런스를 해보려고 했는데, 백색종이를 찍을때 사용되는 광원이 문제가 되더군요.

즉 백열등아래서 찍을때, 형광등아래서 찍을때, 흐린날 자연광에서 찍을때, 밝은날 자연광 아래서 찍을때 찍을때마다 백색을 맞추기 위한 RGB 의 비율이 달라집니다. 이것은 그때마다 사용된 광원의 RGB  분포가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사람의 눈으로보면 광원이 달라도 흰색종이는 흰색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사람의 눈이란 것이 진짜색깔을 판별한다고 봐야 되는건지, 아닌지 혼란스러워집니다.

어쨋든, 그래서 디지털 카메라경우 이러한 화이트 밸런스를 광원마다 다르게 설정하고 찍지 않으면 우리가 느끼는 색깔과는 다른 색깔의 사진이 얻어지는 것이죠.

완전 자동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대부분의 색상조정을 카메라가 알아서 합니다. 색상조정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카메라 제조회사의 축적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하게됩니다. 이 데이터라는 것이 판매되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각나라마다 문화가 다르고, 좋아하는 색상도 다르기때문에 카메라를 잘 팔리게 하려면 그렇게 해야겠지요. (추측컨데 눈의 색깔이 영향이 있지않을까요?^^)

필름의 경우에도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들은것 같습니다. 나라마다 판매되는 필름의 각색깔에 대한 감도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어쨋든 이러한 차이때문에 각나라마다 선호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달라지고, 필름도 달라지고 하겠죠.

(한참을 이생각, 저생각하며 쓰다보니 무슨말을 하려고 하는건지 저도 모르겠군요... ^^)

결론은 화이트 밸런스 입니다. 천체에 대한 화이트밸런스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기준광원을 사용하거나, 기준 색깔을 사용하거나,  어쨋든 기준을 찾아야합니다. 어두운 하늘에 완전한 백색, 또는 완전한 적색,청색, 녹색의 대상을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대상을 찍었을때 백색,  적색, 청색, 녹색 으로 찍힌다면 그밖의 대상이 보여주는 색깔은 진짜 천체의 색깔이 되겠죠.

그런 대상이 어디에 있냐구요?  .... 지금부터라도 찾아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없다면..... 그냥찍는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천체사진 카메라

천체사진 카메라의 모든정보(사용기,신제품정보,개조 등)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 디지탈카메라 eos10d 사용기.. 이윤 2003.05.02 6261
233 냉각CCD 흑백 CCD 와 칼라 CCD 카메라의 비교 2 이준화 2003.05.07 8758
232 냉각CCD LRGB 사진촬영순서 이준화 2003.05.12 6690
231 기타 ToUcam Pro 740 구입 관련 사이트 김영렬 2003.05.13 7142
230 디지탈카메라 D100 에서 장시간 노출시 열노이즈 및 배경하늘색 제거 file 김영렬 2003.05.13 6236
229 냉각CCD CCD 카메라 및 찍으려는 대상에 맞는 망원경의 구경 및 초점거리 6 이준화 2003.05.15 6967
228 냉각CCD ccd 센서의 화소크기와 망원경의 F 수와의 관계 2 file 이준화 2003.05.15 7062
227 냉각CCD [re] CCD 카메라 및 찍으려는 대상에 맞는 망원경의 구경 및 초점거리 박병우 2003.05.16 7611
226 냉각CCD 냉각 CCD 입문 1 2 file 박병우 2003.05.16 8287
225 냉각CCD 냉각 CCD 입문 2 1 file 박병우 2003.05.16 7231
224 냉각CCD 냉각 CCD 입문 3 file 박병우 2003.05.16 7179
223 냉각CCD 냉각 CCD 입문 4 file 박병우 2003.05.16 7207
222 냉각CCD CCD pixel size 선정시 고려사항 이건호 2003.05.17 7113
221 냉각CCD 이건호님의 고려사항을 고려한 픽셀 사이즈 선정 공식 3 이준화 2003.05.17 6728
220 냉각CCD CCD 픽셀 선정시 고려사항(보조설명과 의문사항) 3 박병우 2003.05.18 6497
219 냉각CCD Image Reduction (또는 Image Calibration) 4 file 이건호 2003.05.19 7185
218 냉각CCD AO(Adaptive Optics) 의 효과 1 이준화 2003.05.19 6609
217 냉각CCD Image Reduction -2 (샘플사진) 3 file 이건호 2003.05.19 6380
216 냉각CCD 볼만한 CCD 사진들 4 이준화 2003.05.19 7545
215 냉각CCD 과연 해상도란 무엇인가?(아래 의문사항에 대한 가정 포함) 박병우 2003.05.19 60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