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냉각CCD
2003.05.16 23:14

냉각 CCD 입문 1

(*.100.197.215) 조회 수 8287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냉각 CCD 입문 1

CCD에 대해서 알아볼려고, CCD에 대한 교재를 정맹모씨에게 빌렸습니다. 빌려놓고 읽어보지도 않고 놀다가 조금씩 시간을 내서 읽어보기로 하였습니다. 읽다가 보니 이 내용을 공유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요약해서 조금씩 올리도록하겠습니다. 책분량은 약 200페이지인데 시간이 나는데로 요약해서 공유하도록하겠습니다. 이 책은 CCD의 원리부터 접근한 책이라서 일전에 성래씨가 배포한 책과는 조금 다릅니다. 이 내용을 어디에 올려야되는지 모르겠는데 일단 이 코너에 올리기로합니다. 맹모씨 고맙습니다. 책을 돌려드려야하는데 미안합니다.

교재: 냉각 CCD 입문
저자: 후쿠시마 히데오(福島英雄)
1953년 생, 일본 국립천문대 근무. 주로 태양코로나 관측, 혜성 4개 발견.
출판사: 세이분토신코샤
---------------------------------
1장 천체 관측을 위한 이미징 센서

1.1 천체 관측의 진보
*천체관측의 역사: 1610년 이태리의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시작.
*처음에는 천체를 스케치하다가 사진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천체 사진을 찍게됨.
*사진 관측이 시작된지 100년후 텔레비전 방송 기술과 더불어 비디오카메라용의 촬상관이나 고체 촬상 디바이스가  실험적으로 이용됨.
*그 후 고체촬상 디바이스 중의 하나인 CCD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달하여, CCD를 천체관측에 사용하게되었음.

일본: 1985년도부터 실용화되었는데 동경천문대의 오카야마 천체 물리관측소에서 자작한 것이 효시.

*현재는 CCD칩이 안정화된 제품으로서 저 코스트화 되었고 또 전자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세계의 대부분 천문대에서 CCD 관측을 하고 있음.<사진1.1 CCD 칩>
*초기에는 대단히 고가였으나 1989년 가을에 미국의 SBIG(Santa Babara Instrument Group)사에서 저렴한 가격인 이미징 카메라 겸용의 오토가이드인 ST-4를 발매.<사진 1.2 ST-4(오른쪽)과 ST-6(왼쪽)>
*같은 시기에 SSI사가 ST-4와 같은 사이즈 칩을 사용한 이미징 카메라 전용기 LYNXX를 발매.
*ST-4: #메인 기능이 이미징 카메라는 아니었기 때문에 냉각능력이 적었고(-30도 정도),             A/D 변환은 8비트(256계조)로 만족할 만한 카메라는 아니었음.
        #측광이나 위치 측정의 정도는 양호.
        
*ST-6: #SBIG사가 ST-4 발매후 2년 후 이미징 카메라 전용으로 발매.
        #ST-4에 비해서 픽셀 사이즈가 크고, 화소수가 많으며, 냉각 기능이 강화됨.
        #A/D 변환은 16비트(65536계조).    
    

*CCD 발달 이 후 프로 천문대에 견줄만한 멋있는 사진들이 아마추어에 의해서도 촬영 가능하게 됨.

*위치 측정이나 광도 측정을 할 경우 확실히 CCD가 유리.

*퍼스날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CCD가 위력을 발휘.
  • 이건호 2003.05.19 08:56 (*.101.108.100)
    초판이 몇년도에 나온 책인가요?
  • 박병우 2003.05.19 19:29 (*.100.197.215)
    1996년 판이군요

천체사진 카메라

천체사진 카메라의 모든정보(사용기,신제품정보,개조 등)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 디지탈카메라 대구경 디카렌즈(ex 5700)에서 비네팅 제거 file 이건호 2003.06.21 11767
233 디지탈카메라 캐논카메라 비네팅현상원인 3 file 이건호 2004.12.20 11752
232 디지탈카메라 5400의 일반적 리뷰 ( 퍼온 글) 황인준 2003.07.09 11441
231 디지탈카메라 적색감도 테스트.... 1 file 이윤 2004.12.30 11394
230 디지탈카메라 5D 9분 노출 사진 1 file 권기식 2006.09.04 11362
229 디지탈카메라 Nikon Coolpix 5400 7 file 황인준 2003.06.08 11308
228 디지탈카메라 포베온 CCD 정리 자료 입니다. 박성래 2003.06.29 11209
227 디지탈카메라 400D 30초 노출 dark사진. file 남명도 2007.01.11 10961
226 디지탈카메라 디카로 천체 사진 찍기 Step-1(준비) file 황인준 2003.04.24 10844
225 기타 Registax 4의 MAP 프로세싱 윤홍선 2006.09.18 10744
224 기타 투유캠프로 CCD 스펙 file 이건호 2004.03.08 10735
223 디지탈카메라 천체사진용 카메라로써 EOS 5D Mark II의 가능성(고수님들은 패스) 3 file 박성래 2009.06.14 10633
222 디지탈카메라 개조한 350D 테스트샷 ... 6 file 이윤 2006.02.20 10552
221 기타 레지스탁스 5.0 최종 버전 김상욱 2009.03.23 10422
220 냉각CCD 합성 매수에 따른 화질 차이 5 file 이준화 2005.03.14 10313
219 기타 ToUCam Pro II 프로그램과 옛 ToUCam 카메라 김상욱 2005.08.31 10167
218 기타 보드카메라를 이용한 천체촬영용 카메라제작 메뉴얼 NADA 2004.05.07 10023
217 기타 Apple iSight 를 행성촬영용으로 개조 #1 4 file 윤홍선 2004.09.27 9738
216 기타 Apple iSight 를 행성촬영용으로 개조 #2 file 윤홍선 2004.09.27 9702
215 디지탈카메라 5D DARK 필드테스트 file 고창균 2007.01.12 96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