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토론방
2007.09.27 16:33

컬러CCD가 부러울때

(*.101.107.100) 조회 수 11103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노CCD의 장점은 이미 잘 알려진 이야기 이겠구요...
모노 CCD를 쓰면서 컬러 CCD가 부러웠던 때를 적어 보았습니다.

1. 이동 천체
혜성이나 소행성등의 이동천체를 찍을때 컬러였으면 좋겠단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RGB 필터를 돌려가면 찍다보면 이동천체나 별 두 대상 중에 하나는 흔적이 지저분하게 남거든요.

2. 별 일주 고정 촬영
고정촬영 일주촬영은 모노 CCD로 빨녹청의 별궤적이 생겨서 아주 힘듭니다.
한장으로 끝내는 컬러가 부럽죠.

3. 지상이 나오는 가이드 촬영
별은 쩜으로 나오지만 지상이 RGB로 분해가 되서 트레일이 되어버립니다.

4, 컬러 필터에서 가이드 별이 어두워져 못찾을때
처음에 암담하여서 컬러 CCD가 있으면 좋겠단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적응되고 나니 가이드성 잘 찾아보면 못 찍는 대상은 없었습니다.

5. 가격???

찾아 보면 장점이 더 있을 듯 하네요.  뭐가 있을까요....
  • 김상욱 2007.09.27 19:35 (*.144.201.174)
    6. 1장만 찍어도 컬러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모노는 RGB찍다 구름끼면 다음 기회에...

    7. 이미지 처리과정이 비교적 단순하다.
  • 도영재 2007.09.27 20:02 (*.178.57.8)
    처음 시작하기 좋습니다. 가이드문제나 이미지처리등, 가격도 착하군요.^^
    하지만 냉각시시디라면 아직은 감도면에서 부족한듯합니다.
    결론은 원샷 컬러는 냉각 dslr이 가격대비 성능이 가장 좋을것 같다는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 황인준 2007.09.28 09:51 (*.81.66.220)
    라지포맷이면 필터와 전동필터휠이 대강 250만원정도.. 결국 투입비용이 비싸서. 반대로 컬러는 싸서..
    컬러는 완벽하게 색 일치 시키기 힘들다.. 이는 곳 정교한 이미지 처리가 힘들다..
    컬러 CCD는 정교한 표현이 모노보다는 당연 떨어진다(같은 화소수일때)
    S/N비가 모노가 좋다?(컬러를 구현시켰을때 예를 들면 컬러 4장과 LRGB4장으로 커러를 구현 했을때)
    상기의 의견들에 동감하고 나니 단점이 주욱 떠오르네요.... 하지만 가격만 착하게 나온다면 2nd CCD로는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상기 세분이 적은 이유로다가



  • 지승용 2007.09.28 13:36 (*.93.126.96)
    저같은 DSLR 사용자의 경우에는 무조건 칼라CCD 가 부럽습니다.^^
  • 김형석 2007.09.29 11:23 (*.138.213.2)
    우리나라 기후가 많이 바뀌어서 구름없이 쨍한 날이 손꼽을 만큼 적어지고 있습니다.
    고정관측지에 세팅해놓고 찍는다면 문제가 없지만 이동용으로는 원샷으로 완성해내는 컬러가 나을 것 같습니다. 단 소박한 결과물에도 만족할 수 있는 안빈낙도의 정신이 필요하겠죠. ^__^
  • 권기식 2007.10.09 00:31 (*.32.88.248)
    반짝 번개 촬영을 갔을 때 시간이 부족함을 많이 느낍니다..
    느긋하게 여러 날 동안 찍으면 되지만 어디 사람 마음이 그렇나요.. ㅋㅋㅋ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기기정보 이준화님의 아래 글에 대한 답변과 마지막 설명 file 박병우 2003.04.30 3615
44 기기정보 [re] cp4500 - 5분 2 file 이건호 2003.04.10 3594
43 기기정보 [re] D100 - 5분(25도) file 김영렬 2003.04.11 3516
42 기기정보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원문이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준화 2003.05.01 3467
41 기기정보 [re] CFT 해석 박병우 2003.04.30 3465
40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결론에 대하여 이준화 2003.04.30 3433
39 자작.개조 150mm h-alpha 망원경 7 file 김종호 2014.06.07 3389
38 기기정보 박병우님 감사합니다. 3 이준화 2003.04.29 3329
37 기기정보 태양망원경 제조사별 종류와 기능들 6 김종호 2014.03.11 3023
36 기기정보 태양망원경의 싱글스택과 더블스택 6 file 김종호 2014.03.13 2976
35 사용기.팁 170mm ERF필터 4 file 김종호 2014.07.14 2592
34 자작.개조 P.S.T 펜타프리즘 개조 3 file 김종호 2014.03.05 2499
33 자작.개조 p.s.t 개조 3 file 김종호 2014.05.30 2422
32 기기정보 천문인을 위한 카메라 ? 1 이준화 2014.09.03 2367
31 기기정보 3인치 파라코어 4 이건호 2014.07.14 2028
30 기기정보 광해필터 사용전후 비교사진 1 file 이건호 2015.11.08 1979
29 기기정보 Daystar Quark 메뉴얼 1 file 김종호 2014.05.21 1969
28 자작.개조 소니 a5000 IR-cut filter 제거 5 file 이준화 2015.02.11 1923
27 자작.개조 저의 자작 RC16인치를 소개합니다. 14 file 조영현 2016.04.25 1652
26 기기정보 rms 1/16 람다 미러와 pv 1/6 람다 미러의 비교 2 이준화 2015.04.28 1461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