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04.10.11 18:31

M33

(*.248.54.245) 조회 수 1233 추천 수 99 댓글 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Orion 10"(LPS-P2+R200ss Coma Corr.) + EM200USD + 300D + 자작오토가이더
  • 박현권 2004.10.11 18:41 (*.126.9.12)
    우와, CCD로 찍었다고 해도 믿겠습니다.
  • 엄태준 2004.10.11 19:12 (*.181.119.254)
    으흑! 300D로 이 정도가 나온다는게 믿어지지 않는군요!
  • 박성준 2004.10.11 19:44 (*.248.16.51)
    어제 저랑 적상산에서 밤을 꼴딱 새운 보람이 있군요...^^ 저도 빨리 이미지처리해야하는뎅...
  • 김영렬 2004.10.11 21:01 (*.232.128.122)
    300D 로 이정도가 나올 수 있군요. 대단합니다. 노출시간이 궁금한데, 표시가 없네요.
  • 신호철 2004.10.11 21:23 (*.248.54.245)
    감사합니다...^^;
    ISO 1600, 298초, 7장합성입니다.
  • 김영렬 2004.10.11 22:43 (*.58.19.104)
    총 노출시간이 35분정도이면, 아주 오랜 노출시간도 아닌데, 상당히 잘 나왔네요. 사진 정말 좋군요.
  • 박성준 2004.10.11 23:41 (*.248.17.8)
    거 봐요...호철님...제가 사진이 범상치 않을꺼라고 이야기했잖수...^^
  • 황인준 2004.10.12 10:31 (*.81.91.203)
    정말 좋은 사진입니다..
    언제 필드에서 뵙기를...
  • 최승용 2004.10.12 10:38 (*.255.216.142)
    멋지군요.
    이제는 디카와 CCD의 차이가 점점 좁혀지고 있습니다.^^
  • 이준화 2004.10.12 11:38 (*.249.97.69)
    놀랍군요. 사진 정말 멋집니다.
  • 신호철 2004.10.12 13:05 (*.248.54.245)
    흐른 사진이 많아 거의 포기했던 사진인데.. 의외의 결과입니다. Dslr이 좋아진다는건 가난한 천체사진가에게는 반가운 일이죠... ^^;
  • 이경화 2004.10.12 15:36 (*.120.171.253)
    와.. 멋지네요.
  • 박영식 2004.10.13 11:42 (*.219.33.111)
    나선팔 중간중간에 있는 별탄생영역들이 빨갛게 많이 분포하는데 그녀석들은 잘 안보이네요...

    하지만 DSLR로 찍으셨다니... 정말 잘 나왔네요.. ^^
  • 박병우 2004.10.13 12:06 (*.79.196.153)
    별상도 동글동글하고 여러가지로 대단한 사진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300D가 이정도로 나오다니 놀랍습니다.
  • 신호철 2004.10.13 17:31 (*.248.54.245)
    감사합니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1 Deep Sky 초생달과 개밥바라기(금성), 수성 4 file 송기동 2010.04.17 1689
1970 Solar System 초보의 목성... 4 file 이은호 2005.03.15 1049
1969 Solar System 초보 토성입니다..^^ 5 file 신진욱 2005.02.11 1218
1968 Deep Sky 청주 상당산성의 밤하늘.. 3 file 안해도 2010.06.24 1890
1967 Deep Sky 첫사진 올려봅니다. 곰돌이자리 궁디 사진 4 file 장호준 2006.03.31 876
1966 Deep Sky 첫걸음-충복 보은 6 file 조진원 2010.10.31 1396
1965 Solar System 첫 토성 3 file 정병준 2008.03.20 1716
1964 Others 첫 일주.. 1 file 강호칠 2011.02.25 1371
1963 Deep Sky 첫 사진 등록 (M81 & M82) 14 file 공준호 2008.03.17 1420
1962 Deep Sky 첫 디지털 사진 3 file 박대영 2003.12.16 1504
1961 Deep Sky 첫 가이드촬영.. 1 file 임종필 2005.08.27 1045
1960 Deep Sky 첫 가이드촬영(?) 4 file 임종필 2006.01.11 81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84 Next
/ 1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