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8.80.2) 조회 수 1435 추천 수 76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6월 12일 밤  무주 신풍재에서.
Cannon 300D , EM200 TEmma 2 Jr. No touch guide

1.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Helix nebula( NGC 7293)입니다.
SKY 90 with flattner..  300D ISO 1600 180sec  Registax 3 매합성.  Neat noise reduction 뽀샵조정후 crop & 1/2 resize
새벽 3시 30분넘어서 박명전이라 노출을 오래주기 힘들었습니다. 파인더로도 쉽게 보이는 대상인데도 약간 어둡게 찍혔습니다.

2. M 17 : SCT 9.25 with reducer  . 300D ISO800 90sec  . Registax 4매 합성.  Neat noise reduction  뽀샵조정후 crop & 1/2 resize
Swan인지 Duck인지.. 오히려 노출이 부족하니 안시로 보는것과 비슷하게 찍혔습니다.


* 일단은 가장 힘든게 촛점맞추는 거 같습니다. 노출도 얼마를 주어야 할지 모르겠구요.  사진 합성과 처리도 어렵구요..
Dark frame을 만들고 처리하는것도 해봐야 하는데요....
  • 유종선 2004.07.08 22:01 (*.75.228.19)
    촛점이 무척 어렵긴 한데요.. 제 경우 미놀타 앵글파인더로 약간의 도움이 되는듯 합니다.
    밝은 별을 상대로 육안으로 맞추고 LCD로 확인 하면 그런대로 맞더군요.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95 Solar System 금성 태양면 통과 사진 올립니다 ^^; 2 file 김준한 2004.06.08 1173
1994 Solar System 금성의 태양면통과 사진[10d] 1 file 신범영 2004.06.09 1484
1993 Deep Sky 장비 구입후 첫 사진 권기식 2004.06.13 1550
» Deep Sky Helix nebula(NGC7293) / M17 - 두번째로 올려봅니다. 1 file 신병석 2004.06.14 1435
1991 Deep Sky 석호성운과 삼열성운 2 file 유종선 2004.07.08 1244
1990 Deep Sky M8&M20 file 신병석 2004.07.22 1070
1989 Solar System 요즘 흑점이 장난아니네요... 1 file 장훈휘 2004.07.23 1700
1988 Deep Sky M27 3 file 신병석 2004.07.24 1555
1987 Deep Sky M8 5 file 신호철 2004.07.25 1107
1986 Deep Sky 1 file 남기현 2004.07.31 1233
1985 Deep Sky M11(Wild Duck Cluster) & Asteroid Juno(3) 1 file 염범석 2004.07.31 1257
1984 Deep Sky M16 4 file 신병석 2004.08.09 1195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84 Next
/ 1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