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3.14.233) 조회 수 9921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시상
2. 투명도
3. 촬영자의 테크닉
4. 가대
5. 경통(구경, 렌즈와 미러의 소재와 정밀도 포함)

예전에는 단순히 4와 5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사진을 찍으면 찍을수록 4와 5는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우선순위를 어떻게 두시나요?
  • 박영식 2005.11.22 15:46 (*.219.33.111)
    행성과 deepsky가 조금 다르겠지만...
    행성 기준으로 본다면...
    .
    우선순위라기 보다는
    결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순으로 보면
    .
    1. 시상
    2. 경통
    3. 촬영자의 테크닉
    4. 가대
    5. 투명도
    ...
    투명도가 가장 아래로 간 이유는...
    웬만큼의 투명도 상황에서 찍어본결과...
    크게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만큼... 투명도가 나쁜 하늘이 별로 없었습니다...
    웬만큼의 투명도 상황에선 촬영이 가능하더라구요
    .
    가대또한... 웬만한 바람에서 흔들리지 않을 정도만되면 될듯 합니다.
    GP급 이상이면 충분해보입니다.(물론 적당한 탑재중량고려...)
    GP보다 오래된 GOTO사의 Mark-X에 6인치 Maksutov 올리고 f/30 정도로 찍어도 별 문제 없더군요...
    경통이 무거워지고 경통 길이가 더 길어진다면...
    좀더 튼튼하고 진동이 적은 가대를 쓰면될듯합니다.
    .
    그다음이 촬영자의 테크닉인데...
    여기부터 쉽지 않네요... ㅋㅋ
    저도 처음에 투유캠 프로그램 사용하는데...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좀 걸리더군요...
    이것역시 많이 찍어보고 몸으로? 느끼는 방법밖엔 없을듯 합니다... 색감잡기..역시 마찬가지구요...
    .
    경통의 광학계가 아무리 잘 align 되어있어도...
    냉각되는 시간도 좀 걸리고...
    암튼, 경통 상태도 중요한 듯 합니다.
    8인치급도 구경이 작긴하지만... 잘 align 하면
    가끔 좋은 결과를 얻을수도 있더군요...
    .
    시상은... 더이상 말안해도 될듯 합니다. ^^
  • 남명도 2005.11.22 16:48 (*.50.244.159)
    6번 애기엄마가 추우니 빨리가자고 볶는다. 가장 중요..ㅡㅡ;
  • 이건호 2005.11.22 22:20 (*.120.233.167)
    추가하라면 6번째 요소는 detector 가 아닐까 합니다.
    1~6 어느하나 중요하지 않은것이 없네요. 그래서 천체사진은 종합예술~ ^^;
  • 황인준 2005.11.22 23:53 (*.208.44.160)
    참으로 간단히 답하기 힘든 문제이네요..
    모든 것이 종합적이 되어야 하겠지만. 목표로 하는 사진의 질에 따라 우선순위는 약간씩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행성의 경우는 출사 빈도가 포함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결국 엄청난 열정이 아니면 안산표 같은 대단한 사진을 얻기는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 최훈옥 2005.11.23 08:02 (*.104.13.198)
    딥스카이는 극축과 초점만 잘 맞춰도 요새 가대들은 다 좋은사진 만들어 주지않나요? 저는 극축,초점,광해 가 제일 클것 같습니다.
  • 박대영 2005.11.23 22:33 (*.98.199.218)
    저도 황인준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물론 모든 것이 다 중요하지만 요즘처럼 실력이 상향평준화 되어 있는 때는 '열정'도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것 같습니다. 얼마나 많이, 자주 별을 보느냐가 좋은 사진을 찍느냐 마느냐를 결정할 듯..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자작.개조 DSLR 벌브 제어기와 LPT 포트용 오토가이더 2 file 권기식 2007.10.30 7763
44 자작.개조 DK-10 자작기 4 file 최승용 2017.09.11 1128
43 사용기.팁 Daystar 쿼크 관련 7 이건호 2015.10.20 842
42 기기정보 Daystar Quark 메뉴얼 1 file 김종호 2014.05.21 1969
41 기기정보 Daystar Quark 관련... 1 file 어진선 2015.11.07 644
40 기기정보 Coronado BF 대용품? 13 file 김승남 2015.06.12 630
39 기기정보 Coma 수차 4 file 이건호 2003.11.17 5241
38 기기정보 Celestron Rowe-Ackermann Schmidt Astrograph 1 file 박영식 2015.06.19 572
37 사용기.팁 Canon nFD Telephoto lens 3 file 박영식 2007.11.20 7550
36 자작.개조 C-11 접안부 업그레이드 하기 3 file 육호준 2004.02.03 5689
35 자작.개조 B/W 투유켐 6 file 임정수 2006.02.06 8965
34 자작.개조 ATM Links 황인준 2003.06.17 4896
33 사용기.팁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2 file 황인준 2006.10.16 6519
32 자작.개조 AstroEQ 사용해 봅시다. 김광욱 2017.08.11 586
31 기기정보 Astro-Optik 의 뉴토니언 리듀서 이준희 2005.05.17 5995
30 자작.개조 ASKO적도의에 20인치를 올릴경우.... 상상도 3 file 박진홍 2003.06.13 5171
29 사용기.팁 AP의 SuperPlanetary 아이피스 이건호 2003.06.29 6302
28 사용기.팁 AP 적도의들을 위한 PC 유틸 - PulseGuide 1 최승용 2004.08.10 7090
27 토론방 about flat combine~ 2 file 박영식 2005.06.08 8754
26 기기정보 a5000 dark image 1 file 이준화 2015.02.13 817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