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토론방
2005.06.07 12:22

[re] 플랫을 찍을때 궁금한 것?

(*.101.107.100) 조회 수 821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플랫 이야기가 나와서 저도 궁금하던 것을 올립니다.

1. 박명시에 찍다보면 시시각각 하늘의 밝기가 밝아지고(어두워지고) 해서 연속으로 5장을 찍어도 각각의 밝기가 다르더군요. 균일한 밝기가 이상적일 텐데... 어떻게하면 쉽게 찍을 수 있을까요?

2. 별이 찍히는 문제.
플랫에 별이 찍히는 것을 막기위해 가이드 모터를 끄고 별이 흐르게  10장을 찍어 Median 합성하거나 Sigma reject 합성을 하는데... 더 좋은 방법은 없는지요?

3. 2x2 플랫을 따로 찍어야 할까요? 1x1 찍을 것을 리사이즈해서 사용해도 될까요?
  • 박영식 2005.06.07 13:57 (*.219.33.111)
    1. 같은 노출시간으로 연속으로 찍게되면 그중의 한두장은 flat image로 쓰지 못할지두 모릅니다.
    하늘밝기가 시간에따라 변하므로... 노출시간을 그때 그때 조절해가면서 찍는수밖에 없습니다. filter를 여러장 쓰게되면 더욱 시간조절에 신중을 기해야하겠죠...
    소백산에서 bvri 네장의 flat찍다보면 가끔 flat 찍을 시간을 놓지게 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저녁/새벽 flat을 찍어서 filter별로 괜찮은 이미지를 combine 해서 씁니다.

    2. 별이찍히는 문제는 조금씩 별의 위치를 이동시키면됩니다... 망원경 트랙킹은 계속 하고...
    flat 찍을때마다 망원경을 조금씩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시야각이 약 20 arcmin 정도 될때... 전체 frame의 약 1/5 정도인 4arcmin씩 조금씩 이동시켜도 나중에 combine 할때 별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3. binning 하면 그냥 2x2 binning 한대로 모든 object image와 flat, dark, bias 를 찍는편이라서... 따로찍은적이 별로 없었습니다...
    1x1으로 플랫을 찍은것이 있다면... 그냥 resize 해서 쓰셔도 무방할꺼 같습니다.
  • 이건호 2005.06.08 08:18 (*.101.107.100)
    감사합니다.
    추적을 하면서 찍는 것을 다시 해봐야 겠군요. 처음에 그렇게 하다가 별이 진하게 많이 찍혀 곰보자국이 조금씩 남길래, 추적을 끄고 해보니 곰보자국보단 희미하게 기다란 자국이 남더군요. 여러방법으로 합성해 보는데... 어떤 방법으로도 아주 희미한 자국은 남더군요.
    합성방법은 무엇을 쓰는지요?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file 이건호 2003.05.07 3767
64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4 file 황인준 2003.05.06 3925
63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박병우 2003.05.06 3798
62 기기정보 Interferometric Test 1 file 이건호 2003.05.06 3715
61 기기정보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12 박병우 2003.05.04 4139
60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59 기기정보 해상도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준화님에 대한 답변) 9 박병우 2003.05.01 3749
58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0
57 기기정보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원문이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준화 2003.05.01 3467
56 기기정보 람다 공차 보조 설명 file 박병우 2003.05.01 4143
55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54 기기정보 이 그래프에 대해 3 박병우 2003.05.01 3650
53 기기정보 [re]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박병우 2003.04.30 3770
52 기기정보 이준화님의 아래 글에 대한 답변과 마지막 설명 file 박병우 2003.04.30 3615
51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결론에 대하여 이준화 2003.04.30 3433
50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file 이준화 2003.04.30 3668
49 기기정보 [re] CFT 해석 박병우 2003.04.30 3465
48 기기정보 CFT 해석 file 이건호 2003.04.30 3661
47 기기정보 박병우님 감사합니다. 3 이준화 2003.04.29 3329
46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