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자작.개조
2008.02.03 16:22

작전명: QHY8 셀프가이드 CCD만들기

(*.120.76.33) 조회 수 9385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DSLR이나 QHY8 CCD를 쓰면서 항상 고민이었던 것이 가이드 문제 였습니다.
주망원경과 가이드 망원경의 강성을 유지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장시간 노출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민끝에 비축가이더를 쓰기로 맘먹었습니다만 반사망원경의 수차 보정거리를 맞추려니 많은 문제가 있더군요.
56mm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기 위해 루미콘에서 나오는 이지가이더의 아이피스 홀더부분을 개조했습니다.
QHY5가이드 CCD가 워낙 작기에 가능한 구조입니다.
어제 테스트해봤더니 10분~15분의 노출도 거뜬히 가이드하니 즐겁기 그지없습니다. ^___^
많은 도움주신 A마트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유종선 2008.02.03 16:43 (*.75.228.71)
    관심이 화악~~ 가지는 멋진 성공기네요.
    이게 가능만하다면 가이드스콥 없앨수 있고 멀티플레이트 없앨수 있고 가이드링 없앨수 있고 무게중심도 맞추기 쉬울 것이고 장시간 노출에 흐를일이 적을 것이고... 일석 수십조일듯합니다.
    성공을 축하드립니다.
    성공에 힘입어 저도 도전해 봐야겠씁니다. 사실.. 은근히 김형석님의 성공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 도영재 2008.02.03 22:15 (*.80.73.179)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것 같은 사용기입니다.^^
    걱정인 것은 QHY8이 과연 비처럼 내리는 이슬에 결로 문제를 해결할수 있을지...
  • 김형석 2008.02.04 01:46 (*.120.76.33)
    저도 처음 사용할때는 결로문제로 고민을 했었습니다만 지금은 전혀 신경이 안쓰입니다. 어뎁터부분에 오링으로 실링해서 밀봉한 후론 결로가 생긴적이... ^^
  • 이건호 2008.02.04 08:41 (*.101.107.100)
    오ㅏ~ 루미콘을 이용하셨군요! 성공축하합니다.
    8과 5의 백포커스가 아주 짧아서 어댑터를 만들어서 비축가이더로 두개를 붙여버릴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겟네요.
  • 전영준 2008.02.04 09:43 (*.138.203.2)
    드뎌 해결하셨나봐요.
    자꾸 반사로 가라는 지름부적을 붙이시니 이것 참..ㅎㅎ 대단한 이미지가 나올거같습니다.
  • 최승용 2008.02.04 13:35 (*.78.47.13)
    비축 가이더가 회전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가이드망원경만 없어도 적도의에 가해지는 무게감이 많이 적어지니 편하지요.
    저도 천천히(?) 구상해 볼 생각 입니다.
    요즘 가이드가 좀 흐른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5 기기정보 망원경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1 (이준화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 2 file 박병우 2003.04.27 4017
304 기기정보 광학계의 정밀도에 따른 목성 이건호 2003.04.28 3692
303 기기정보 A Better Method of Measuring Optical Performance 이건호 2003.04.28 4541
302 기기정보 구면수차에 따른 MTF 곡선 file 이건호 2003.04.28 4551
301 기기정보 망원경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2 file 박병우 2003.04.29 4214
300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299 기기정보 박병우님 감사합니다. 3 이준화 2003.04.29 3329
298 기기정보 CFT 해석 file 이건호 2003.04.30 3661
297 기기정보 [re] CFT 해석 박병우 2003.04.30 3465
296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file 이준화 2003.04.30 3668
295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결론에 대하여 이준화 2003.04.30 3433
294 기기정보 이준화님의 아래 글에 대한 답변과 마지막 설명 file 박병우 2003.04.30 3615
293 기기정보 [re]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박병우 2003.04.30 3770
292 기기정보 이 그래프에 대해 3 박병우 2003.05.01 3650
291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290 기기정보 람다 공차 보조 설명 file 박병우 2003.05.01 4143
289 기기정보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원문이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준화 2003.05.01 3467
288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1
287 기기정보 해상도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준화님에 대한 답변) 9 박병우 2003.05.01 3749
286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