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좋은 토론 안건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차피 한번은 집고 넘어갈 문제 였다고 생각 합니다.
일단 결론 부터 말씀드리자면 합성이나 그 밖의 이미지 처리는 오리지날 이미지의 왜곡된 부분을 바로 잡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바를 아래에 순서대로 정리를 해 볼까 합니다.

1. 합성 : 우리는 디지탈 천체사진하면 합성을 생각하게 될 정도로 합성은 일반화 되어 있는 방법입니다. 합성이 왜 좋은가 하는 것에 대해 일단 제 사견을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행성사진에는 빼 놓을 수 없는 처리 수순입니다. 일단1부터 100까지의 번호를 가진 점이 있다고 가정을 합니다. 이 1부터 100까지의 점들을 나란히 이어 놓게 되면 선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 선을 또 여럿을 붙여 놓으면 면적이 되겠지요. 합성은 바로 이 원리라고 생각합니다. 각각의 로우 이미지에는 1부터 100까지의 정보가 없고 한 10개의 점이 찍힌다고 생각한다면 이 경우 합성은 실제 존재하는 1부터 100까지의 정보를 모두 한 화면 안에 나타내는 작업입니다. 꺼꾸로 예기하면 한장의 로우이미지에서 빠트리거나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아 한장에 표현해주는 과정입니다.
  • 황인준 2003.04.25 10:25 (*.117.17.152)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디지털현상에 의한 특성의 변환 박병우 2004.02.14 5194
45 레지스탁스 합성할때 매뉴얼로 고르기 5 이건호 2003.09.01 4232
44 맥심에서 핫픽셀 데드픽셀 제거 이건호 2005.09.17 8045
43 미러리스 (또는 DSLR) 카메라로 촬영한 천체사진 촬영 및 이미지 처리과정 3 이준화 2016.03.19 879
42 배경을 검은색으로 ? 3 file 이준화 2004.11.25 5417
41 배경을 부드럽게 2 file 이준화 2004.11.25 4262
40 별색 나타내기 3 file 이준화 2004.12.29 7684
39 부드러움과 날카로움을 동시에 2 file 이준화 2004.11.25 3891
38 비넷제거하기 3 file 남명도 2006.10.31 10217
37 새로운?? 플랫이미지 만들기... 2 file 이윤 2004.10.25 4556
36 선택적 채도/색상 조정 3 file 이준화 2005.01.19 7098
35 스텔라이미지 영문평가판이 있는곳입니다. 2 이준화 2003.04.14 4139
34 스텔라이미지4를 이용한 DDP 6 이건호 2003.12.11 4143
33 승남이의 LRGB 이미지 처리 순서 김승남 2004.12.06 7059
32 시상에 따른 이미지 차이 2 file 정병준 2016.07.06 826
31 안드로메다 사진합성 부탁드립니다. 1 file 김영혜 2003.10.29 4326
30 영양과 의성 데이터 촬영 비교 2 file 공양식 2020.04.16 380
29 오리온 성운 L& Blue이미지입니다. file 김영혜 2003.11.18 4361
28 오리온성운 찍은 Red, Green이미지입니다. 1 file 김영혜 2003.11.18 4380
27 오토스택커 얼라인크기에 따른 퀄리티 1 김종호 2016.04.04 4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