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08.22 14:34

멧비둘기 2

(*.79.196.139) 조회 수 849 추천 수 54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멧비둘기 2

이것은 니콘 D100 카메라에 300mm 망원렌즈로 찍은 모습입니다. 이렇게 찍을려면 대상물이 3~4m 정도로 아주 가까이 있어야하므로 새를 찍기에는 아주 힘듭니다. 특히 멧비둘기는 사람이 10m 정도만 가도 당장 날아가버립니다. 그러나 가끔씩 가까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장초점 망원렌즈 촬영이 불가능하고(800mm의 경우 최소 촬영거리는 8m 임), 300mm 망원렌즈가 필요하게 됩니다. 결국 새를 기회있게 잘 포착하려면 카메라가 두개 필요하게 된다는 결론인데...

하나는 300mm 정도 렌즈를 끼워서 목에 걸고 있어야되고, 하나는 600~800mm 장초점에 장착하여 삼각대에 거치하여 보초를 서야 됩니다.

위의 사진은 아침에 일어나서 산책 나가서 찍었습니다. S2PRO는 800mm에 끼워넣고, D100에는 300mm를 장착해서 멧비둘기가 출몰하는 지역에서 조용히 기다려서 찍었습니다.

새를 찍어보니까, 노목자연탐사관의 박영욱씨가 점점 더 존경스러워졌습니다. 도데체 그 많은 새를 어떻게 포착하여 찍었단 말인가?

  • 어진선 2003.08.23 14:40 (*.169.14.233)
    언제가 사진에 대한 책을 본적이 있는데, 일본 사진작가 중에 곤충을 찍는 분이 계시는데, 대단한 분이신데, 날아오는 풍뎅인가 하여간 곤충을 찍는데, 2년이 걸렸다고 하더군요. 그 분이 직접 만든 적외선 셧터, 즉 3차원 공간에 특정 거리에 곤충이 들어오면 셔터가 동작하는 거죠... 그거 다 개발하고 찍는데, 2년이 걸렸다니...
  • 박병우 2003.08.24 15:25 (*.79.196.139)
    예 그렇습니다. 자연의 현상을 자연스럽게 묘사한다는게 아주 어렵습니다. 전 20년 전부터 이 생각을 죽~죽~ 해왔습니다. 천체사진이나 새사진, 곤충 사진 모두 자연스런 그림을 담아낸다는게 아주 어렵다는 걸 실감합니다.

Free Gallery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을 자유롭게 담아주세요.

  1. 멧비둘기 2

    멧비둘기 2 이것은 니콘 D100 카메라에 300mm 망원렌즈로 찍은 모습입니다. 이렇게 찍을려면 대상물이 3~4m 정도로 아주 가까이 있어야하므로 새를 찍기에는 아주 힘듭니다. 특히 멧비둘기는 사람이 10m 정도만 가도 당장 날아가버립니다. 그러나 가끔씩 가까...
    Date2003.08.22 By박병우 Views849
    Read More
  2. 쿨픽스 4300 아답타 3

    여기 실린사진은 제작 아답타를사용해서 찍은사진입니다. 별을찍은것은 8초 노출사진입니다 흔들림이 전혀없죠... 쿨픽스 4300은 60초가 최고 노출시간이라 이제는 릴리즈 만들시간 만들어보고 올릴게요 가능할려나....
    Date2004.03.03 By황정호 Views850
    Read More
  3. 0040325_m_v_m

    0040325_m_v_m 오행성 프로젝트의 관건인 수성과 달과 금성, 그리고 화성을 한 이미지에 담았습니다. 달은 전체적인 모습을 제 망원경으로는 도저히 찍을 수 없어서 부득이 이런 디카 사진을 이용했습니다.^^ 가장 아래쪽에 있는 것이 수성이네요... 잘 보이...
    Date2004.03.27 By최승용 Views851
    Read More
  4. 서울의 달

    Takahashi FC-100 (F8) + EOS 10D Prime Focus
    Date2004.10.19 By윤홍선 Views852
    Read More
  5. 공중에서 인사드립니다.

    오클랜드 가는중 하염없이 창밖을 바라보다 찍은겁니다. 여기가 어디냐고 물으니.솔로몬제도 상공이라더군요. 구름이 햇빛을 받아 ,하도 아름다와 찍어봤습니다. 넓은 은하수에 걸쳐져있는 전갈자리가 너무도 선명해 벌크로 찍었는데, 역시 무리군요. 니트혜...
    Date2004.05.14 By이경화 Views856
    Read More
  6. 새해 첫번개 보조사진

    아직 Equip./Event 란에 올릴 자격이 없어서 여기에 올립니다.
    Date2004.01.05 By구창환 Views858
    Read More
  7. 멋진 별사진은 여러분들이 찍어주시니 전 땅에있는 멋진 녀석을 찍어 올립니다^^

    천마산에 핀 복수초와 노루귀입니다.
    Date2004.03.26 By강진경 Views859
    Read More
  8. 진달래꽃 핀 대공원 산책길

    진달래꽃 핀 대공원 산책길 오랜만에 가보는 대공원 산책길은 올해도 진달래가 만발해 있었습니다. 개나리 노처녀, 진달래꽃 바람에 봄날은 긴데, 진달래꽃 바람에 봄치마 휘날리며 시집가고 싶어요~~ 진달래 피고 새가 울면은/ 두고 두고 그리운 사람/ 잊지 ...
    Date2004.04.10 By박병우 Views860
    Read More
  9. CCD 풍경사진

    리니어 혜성을 촬영하기위해 CCD를 설치하고 기다리다가 해질무렵에 근처산에 있는 폐가를 찍어 보았습니다. 니콘300ED F4 @F11, ST10xme, EQ1200 노터치가이드 ^^ RGB 1초씩 촬영후 맥심에서 합성 컬러 합성비율은 천체사진과 동일한 RGB = 1.1 : 0.8 : 1.4 ...
    Date2004.06.14 By이건호 Views860
    Read More
  10. 설화산과 달

    너무나도 날이 좋던 6월 12일 토요일은 가계에 일이 있어 출사를 가지 못하고 결국 일요일 아산 인근에 출사를 갔었습니다. 혼자라서 심심하고 약간 무서운 관측이었지만 역시 별빛아래에서는 무서움 보다는 잔잔한 즐거움이 있었습니다. 또 혼자만의 관측은 ...
    Date2004.06.19 By황인준 Views860
    Read More
  11. 꽃사진

    화초에서 나온 작은 꽃입니다. 처음에는 흰색의 꽃망울이 피더니 얼마지나지 않아서 빨간 꽃이 속에서 나오고 곧이어 기다란 대롱이 나왔다고 합니다. 3단변신꽃이라 이름지어 봅니다. ^^ CP4500
    Date2004.09.07 By이건호 Views860
    Read More
  12. 베란다에서..(성남(모란)을 바라보면서..)

    찍어봤습니다.
    Date2003.07.07 By남명도 Views8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