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49.236.145) 조회 수 677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득 다시 생각해보니, 위 내용을 유도할 때 주경의 깊이(중심부와 주변부의 높이차이)를 고려하지 않아서 약간의 오류가 있었습니다. F수가 긴 광학계는 별 차이가 없겠지만 F수가 짧아지면 제법 차이가 나겠군요.
죄송합니다.

공식에서 수정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은 변함없고, a 값만 주경의 깊이만큼 작게 하면 됩니다.  
정리하면,

        옵셋의 크기(mm) = [a - root of {a*a-(D-d)*d}] / 2

여기에서,
        a = f - b - (D*D/16f) (mm) (여기에서 b는 사경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D = 주경 크기 (mm)
        d = 사경의 단경 (mm)

※ 만일 사경에 옵셋 포인트를 표시하시려면 사경의 중심에서 위 방향으로
        (옵셋의 크기) * (root of 2)
만큼 떨어진 곳에 표시하시면 됩니다.

또한, 이 옵셋을 적용했을 때 접안부 초점위치에서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는 다음과 같이 유도되었습니다.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mm) = D -4*f*(옵셋의 크기)/d

여기에서 f는 물론 주경의 초점거리입니다.

제 망원경 HP250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본문과 약간의 결과 차이가 있습니다.)

         d=56mm (차폐율 22%)
         D=250mm
         f=1520mm
         a=1310.43mm

(a 값이 1313mm에서 1310.43mm로 약간 작아졌습니다.)
이므로 이를 공식에 적용해서

         옵셋의 크기 = 2.076mm

(본문의 결과 2.072보다 0.004mm 커졌습니다)
가 나왔으며, 이 옵셋을 적용할 경우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 = 24.6mm

로 계산되었습니다.




>뉴튼식 반사망원경에서 옵셋(이격거리)의 개념은 망원경의 광학적인 광축과는 관계없으며, 옵셋은 그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구하는 공식이 달라지게 됩니다.
>
>옵셋의 목표를 두 가지만 예시해 보겠습니다.
>
>첫 번째 목표는, 아이피스 없이 초점면에 눈을 위치했을 때 보이는 사경과, 사경을 통해 보이는 주경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옵셋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
>두 번째 목표를 설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망원경을 수직으로 세워서 천정에 있는 별을 관측한다고 했을 때, 제가 아래 글에서 제시했던 100% 조명범위는 수평방향의 100% 조명범위를 유도한 것입니다. 엄밀하게 말해서 100% 조명범위는 정확한 원이 아니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는 수평범위의 그것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요, 제가 제시하는 옵셋의 두 번째 목표는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의 중심이 접안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옵셋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
>위 두 가지 목표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식도 다르고 옵셋의 양도 아주 작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제 생각에는 두 번째 목표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특히 천체사진을 찍으시는 분들은 두 번째 목표로 옵셋을 설정하게 되면, 그 망원경의 100% 조명범위의 중심이 ccd 면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두 번째 목표를 더 선호하게 될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두 옵셋의 크기는 그 차이가 실제적으로는 아주 작기 때문에 그 차이는 무시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래서 옵셋의 목표를 두 번째로 잡고 필요한 옵셋의 크기를 유도해 봤는데요, 유도과정은 복잡하지만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공식으로 나왔습니다.
>
>        옵셋의 크기(mm) = [a - root of {a*a-(D-d)*d}] / 2
>
>여기에서,
>        a = 주경중심에서 사경까지의 거리 (mm) (즉, 아래 글에서는 a = f-b 입니다)  
>        D = 주경 크기 (mm)
>        d = 사경의 단경 (mm)
>
>※ 만일 사경에 옵셋 포인트를 표시하시려면 사경의 중심에서 위 방향으로
>        (옵셋의 크기) * (root of 2)
>만큼 떨어진 곳에 표시하시면 됩니다.
>
>또한, 이 옵셋을 적용했을 때 접안부 초점위치에서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는 다음과 같이 유도되었습니다.
>
>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mm) = D -4*f*(옵셋의 크기)/d
>
>여기에서 f는 물론 주경의 초점거리입니다.
>
>제 망원경 HP250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         d=56mm (차폐율 22%)
>         D=250mm
>         f=1520mm
>         a=1313mm
>
>이므로 이를 공식에 적용해서
>
>         옵셋의 크기 = 2.072mm
>
>가 나왔으며, 이 옵셋을 적용할 경우  
>
>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 = 25.04mm
>
>로 계산되었습니다. 아래의 글에서 계산한 수평방향의 100% 조명범위 25.4mm 보다는 약간 작게 나오는군요.
>
>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5 기기정보 망원경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1 (이준화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 2 file 박병우 2003.04.27 4017
304 기기정보 광학계의 정밀도에 따른 목성 이건호 2003.04.28 3692
303 기기정보 A Better Method of Measuring Optical Performance 이건호 2003.04.28 4541
302 기기정보 구면수차에 따른 MTF 곡선 file 이건호 2003.04.28 4551
301 기기정보 망원경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2 file 박병우 2003.04.29 4214
300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299 기기정보 박병우님 감사합니다. 3 이준화 2003.04.29 3329
298 기기정보 CFT 해석 file 이건호 2003.04.30 3661
297 기기정보 [re] CFT 해석 박병우 2003.04.30 3465
296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file 이준화 2003.04.30 3668
295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결론에 대하여 이준화 2003.04.30 3433
294 기기정보 이준화님의 아래 글에 대한 답변과 마지막 설명 file 박병우 2003.04.30 3615
293 기기정보 [re]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박병우 2003.04.30 3770
292 기기정보 이 그래프에 대해 3 박병우 2003.05.01 3650
291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290 기기정보 람다 공차 보조 설명 file 박병우 2003.05.01 4143
289 기기정보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원문이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준화 2003.05.01 3467
288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0
287 기기정보 해상도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준화님에 대한 답변) 9 박병우 2003.05.01 3749
286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