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49.236.145) 조회 수 677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득 다시 생각해보니, 위 내용을 유도할 때 주경의 깊이(중심부와 주변부의 높이차이)를 고려하지 않아서 약간의 오류가 있었습니다. F수가 긴 광학계는 별 차이가 없겠지만 F수가 짧아지면 제법 차이가 나겠군요.
죄송합니다.

공식에서 수정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은 변함없고, a 값만 주경의 깊이만큼 작게 하면 됩니다.  
정리하면,

        옵셋의 크기(mm) = [a - root of {a*a-(D-d)*d}] / 2

여기에서,
        a = f - b - (D*D/16f) (mm) (여기에서 b는 사경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D = 주경 크기 (mm)
        d = 사경의 단경 (mm)

※ 만일 사경에 옵셋 포인트를 표시하시려면 사경의 중심에서 위 방향으로
        (옵셋의 크기) * (root of 2)
만큼 떨어진 곳에 표시하시면 됩니다.

또한, 이 옵셋을 적용했을 때 접안부 초점위치에서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는 다음과 같이 유도되었습니다.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mm) = D -4*f*(옵셋의 크기)/d

여기에서 f는 물론 주경의 초점거리입니다.

제 망원경 HP250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본문과 약간의 결과 차이가 있습니다.)

         d=56mm (차폐율 22%)
         D=250mm
         f=1520mm
         a=1310.43mm

(a 값이 1313mm에서 1310.43mm로 약간 작아졌습니다.)
이므로 이를 공식에 적용해서

         옵셋의 크기 = 2.076mm

(본문의 결과 2.072보다 0.004mm 커졌습니다)
가 나왔으며, 이 옵셋을 적용할 경우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 = 24.6mm

로 계산되었습니다.




>뉴튼식 반사망원경에서 옵셋(이격거리)의 개념은 망원경의 광학적인 광축과는 관계없으며, 옵셋은 그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구하는 공식이 달라지게 됩니다.
>
>옵셋의 목표를 두 가지만 예시해 보겠습니다.
>
>첫 번째 목표는, 아이피스 없이 초점면에 눈을 위치했을 때 보이는 사경과, 사경을 통해 보이는 주경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옵셋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
>두 번째 목표를 설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망원경을 수직으로 세워서 천정에 있는 별을 관측한다고 했을 때, 제가 아래 글에서 제시했던 100% 조명범위는 수평방향의 100% 조명범위를 유도한 것입니다. 엄밀하게 말해서 100% 조명범위는 정확한 원이 아니기 때문에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는 수평범위의 그것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요, 제가 제시하는 옵셋의 두 번째 목표는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의 중심이 접안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옵셋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
>위 두 가지 목표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식도 다르고 옵셋의 양도 아주 작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제 생각에는 두 번째 목표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특히 천체사진을 찍으시는 분들은 두 번째 목표로 옵셋을 설정하게 되면, 그 망원경의 100% 조명범위의 중심이 ccd 면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두 번째 목표를 더 선호하게 될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두 옵셋의 크기는 그 차이가 실제적으로는 아주 작기 때문에 그 차이는 무시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래서 옵셋의 목표를 두 번째로 잡고 필요한 옵셋의 크기를 유도해 봤는데요, 유도과정은 복잡하지만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공식으로 나왔습니다.
>
>        옵셋의 크기(mm) = [a - root of {a*a-(D-d)*d}] / 2
>
>여기에서,
>        a = 주경중심에서 사경까지의 거리 (mm) (즉, 아래 글에서는 a = f-b 입니다)  
>        D = 주경 크기 (mm)
>        d = 사경의 단경 (mm)
>
>※ 만일 사경에 옵셋 포인트를 표시하시려면 사경의 중심에서 위 방향으로
>        (옵셋의 크기) * (root of 2)
>만큼 떨어진 곳에 표시하시면 됩니다.
>
>또한, 이 옵셋을 적용했을 때 접안부 초점위치에서 수직방향의 100% 조명범위는 다음과 같이 유도되었습니다.
>
>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mm) = D -4*f*(옵셋의 크기)/d
>
>여기에서 f는 물론 주경의 초점거리입니다.
>
>제 망원경 HP250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         d=56mm (차폐율 22%)
>         D=250mm
>         f=1520mm
>         a=1313mm
>
>이므로 이를 공식에 적용해서
>
>         옵셋의 크기 = 2.072mm
>
>가 나왔으며, 이 옵셋을 적용할 경우  
>
>         수직방향 100% 조명범위 = 25.04mm
>
>로 계산되었습니다. 아래의 글에서 계산한 수평방향의 100% 조명범위 25.4mm 보다는 약간 작게 나오는군요.
>
>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5 기기정보 니콘 천체사진용 카메라 D810A 2 이준화 2015.02.10 1236
164 사용기.팁 니콘렌즈를 캐논카메라에 사용 5 file 이건호 2004.11.29 7986
163 기기정보 다가오는 혜성을 생각하면서... 박병우 2004.02.20 4555
162 사용기.팁 다카하시 EM 200 북극성 도입하기 2 file 문재곤 2003.11.05 7064
161 사용기.팁 다카하시 TEMMA RS232C 배선도 5 file 김형석 2004.07.29 9169
160 사용기.팁 다카하시 Temma Controller 매뉴얼 1 file 이건호 2003.10.29 4904
159 자작.개조 다카하시용 TRF(접안부 레크피니언 감속기어) 3 file 최승용 2005.06.16 8010
158 기기정보 디지탈 카메라별 노이즈 패턴 비교 7 황인준 2003.04.10 4211
157 기기정보 디지털 카메라의 화소수와 화소 면적에 따른 화질 차이 6 file 박병우 2003.06.21 4952
156 기기정보 디지털카메라의 CCD 선택 5 file 이건호 2003.06.20 3714
155 기기정보 디카 영상의 차이 1 이건호 2003.06.26 4218
154 기기정보 디카의 실초점거리, 환산초점거리, 화소수와 면적 3 (최승용님 질문에 대한 답변) 5 file 박병우 2003.06.26 4957
153 기기정보 람다 공차 보조 설명 file 박병우 2003.05.01 4143
152 사용기.팁 레이져 콜리메이터로 광축 맞추기 이준화 2003.05.13 5263
151 사용기.팁 레이져 콜리메이터의 광축 맞추기 1 file 이준화 2003.04.19 7345
150 사용기.팁 렌즈 변환 어댑터 5 file 박영식 2015.01.23 1113
149 자작.개조 로보포커스 컨트롤 1 file 권기식 2009.11.19 6711
148 기기정보 리치크레티앙 망원경 이야기 박병우 2004.03.12 8669
147 사용기.팁 마스킹과 성상 2 file 전영준 2007.03.21 5978
146 기기정보 망원경 배율 이야기 1 황형태 2009.04.03 1069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