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9.04.17 09:12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05.41.144) 조회 수 5197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볼 때 비넷팅이 발생하지 않는 초점면 최대원의 지름을 그 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라고 합니다.
100% 조명범위를 알면 특히 딥스카이 촬영에서 내 카메라 ccd면의 어느 범위까지 비넷팅 없이 촬영이 되는가를 알 수 있겠지요.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mm) = {d-(b/F)} / {1- (b/f)}

여기에서,
          d : 사경의 단경 (사경의 짧은 쪽 지름, mm)
          F : 주경의 F수
          f : 주경의 초점거리 (mm)
          b : 사경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mm)

b를 구하는 방법은 주경의 초점거리에서 주경부터 사경까지의 거리를 빼거나, 또는 카메라를 직초점 방식으로 접안부에 부착하여 별에 초점을 맞춘 후에 경통중심에서 카메라 ccd 면까지의 거리를 재면 되겠지요.

또, 100% 조명범위를 대상의 각크기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도) = {100% 조명범위 (mm) / f} * 57.3

예를 들어, 제가 갖고 있는 반사망원경 HP250의 100% 조명범위를 구해보겠습니다.

         d=56mm (차폐율 22%)
         F=6.08
         f=1520
         b=207mm

이므로,

        100% 조명범위 (mm) = {56-(207/6.08)} / {1- (207/1520)}
                             = 25.4 mm

        100% 조명범위 (도) = (25.4/1520)*57.3 = 0.957도

입니다. HP250으로는 약 0.5도의 달을 비넷팅 없이 관측할 수 있지만, 약 1.1도 크기의 오리온 대성운을 촬영한다면 성운 주변부에서는 약간의 비넷팅이 불가피하군요...  
  • 김상욱 2009.04.17 14:20 (*.115.50.175)
    궁금해서 여쭙니다. 100% 조명범위가 혹시 이미지서클과 같은 개념인가요?
    뉴턴식이 아닌 카세그레인 망원경에 적용되는 공식도 있는지요?
  • 황형태 2009.04.17 15:00 (*.205.41.144)
    이미지써클이 원래 100% 조명범위를 의미해야할 것 같은데 제작사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본 메이커들은 60%조명범위를 이미지써클로 스펙에 기재한다고 들었습니다. 카세그레인 망원경의 100%조명범위에 대해서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5 자작.개조 20인치 제작과정 홈피에 올렸습니다. 3 박진홍 2005.12.15 8852
224 토론방 냉각팬을 달아야 할까요 ? 3 박진홍 2005.11.29 9895
223 자작.개조 20인치 4차 조립... 6 file 박진홍 2005.11.27 8278
222 토론방 천체사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우선순위 6 남기현 2005.11.22 9922
221 토론방 가이드 망원경 후보.... 10 박진홍 2005.11.21 11030
220 사용기.팁 FD렌즈 300mm F2.8L 8 file 이건호 2005.11.13 7938
219 자작.개조 20인치 2차 조립.... 12 file 박진홍 2005.11.07 8101
218 자작.개조 SCT냉각팬 3 file 전영준 2005.11.01 8959
217 자작.개조 벌브제어케이블완성^^ 2 file 전영준 2005.10.26 7848
216 토론방 사진촬영시 방향? 17 이준희 2005.10.25 9164
215 자작.개조 LX200가이드에뮬레이트 연결(문의) 9 file 전영준 2005.10.21 8360
214 자작.개조 050813_Parkjungyong 11 file 최승용 2005.08.13 8025
213 자작.개조 20인치 주요부분 주물... 4 file 박진홍 2005.08.05 7241
212 토론방 EQ6 분해 2 2 file 박진홍 2005.07.26 11166
211 토론방 사진촬영용 망원경의 선택? 9 이준희 2005.07.26 10201
210 토론방 혹시... EQ6 분해해 보신분 계시나요 ? 12 file 박진홍 2005.07.26 9793
209 토론방 F:4에 쓸 코마콜렉터???? 3 최승용 2005.07.04 9505
208 기기정보 신천체? 발견시... 박영식 2005.07.01 6017
207 자작.개조 다카하시용 TRF(접안부 레크피니언 감속기어) 3 file 최승용 2005.06.16 8012
206 자작.개조 LX200 가이드 에뮬레이트 11 file 임정수 2005.06.15 77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