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9.04.17 09:12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05.41.144) 조회 수 5196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볼 때 비넷팅이 발생하지 않는 초점면 최대원의 지름을 그 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라고 합니다.
100% 조명범위를 알면 특히 딥스카이 촬영에서 내 카메라 ccd면의 어느 범위까지 비넷팅 없이 촬영이 되는가를 알 수 있겠지요.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100% 조명범위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mm) = {d-(b/F)} / {1- (b/f)}

여기에서,
          d : 사경의 단경 (사경의 짧은 쪽 지름, mm)
          F : 주경의 F수
          f : 주경의 초점거리 (mm)
          b : 사경중심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mm)

b를 구하는 방법은 주경의 초점거리에서 주경부터 사경까지의 거리를 빼거나, 또는 카메라를 직초점 방식으로 접안부에 부착하여 별에 초점을 맞춘 후에 경통중심에서 카메라 ccd 면까지의 거리를 재면 되겠지요.

또, 100% 조명범위를 대상의 각크기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 조명범위 (도) = {100% 조명범위 (mm) / f} * 57.3

예를 들어, 제가 갖고 있는 반사망원경 HP250의 100% 조명범위를 구해보겠습니다.

         d=56mm (차폐율 22%)
         F=6.08
         f=1520
         b=207mm

이므로,

        100% 조명범위 (mm) = {56-(207/6.08)} / {1- (207/1520)}
                             = 25.4 mm

        100% 조명범위 (도) = (25.4/1520)*57.3 = 0.957도

입니다. HP250으로는 약 0.5도의 달을 비넷팅 없이 관측할 수 있지만, 약 1.1도 크기의 오리온 대성운을 촬영한다면 성운 주변부에서는 약간의 비넷팅이 불가피하군요...  
  • 김상욱 2009.04.17 14:20 (*.115.50.175)
    궁금해서 여쭙니다. 100% 조명범위가 혹시 이미지서클과 같은 개념인가요?
    뉴턴식이 아닌 카세그레인 망원경에 적용되는 공식도 있는지요?
  • 황형태 2009.04.17 15:00 (*.205.41.144)
    이미지써클이 원래 100% 조명범위를 의미해야할 것 같은데 제작사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본 메이커들은 60%조명범위를 이미지써클로 스펙에 기재한다고 들었습니다. 카세그레인 망원경의 100%조명범위에 대해서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file 이건호 2003.05.07 3767
64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4 file 황인준 2003.05.06 3925
63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박병우 2003.05.06 3798
62 기기정보 Interferometric Test 1 file 이건호 2003.05.06 3715
61 기기정보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12 박병우 2003.05.04 4139
60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59 기기정보 해상도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준화님에 대한 답변) 9 박병우 2003.05.01 3749
58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0
57 기기정보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원문이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준화 2003.05.01 3467
56 기기정보 람다 공차 보조 설명 file 박병우 2003.05.01 4143
55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54 기기정보 이 그래프에 대해 3 박병우 2003.05.01 3650
53 기기정보 [re]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박병우 2003.04.30 3770
52 기기정보 이준화님의 아래 글에 대한 답변과 마지막 설명 file 박병우 2003.04.30 3615
51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결론에 대하여 이준화 2003.04.30 3433
50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file 이준화 2003.04.30 3668
49 기기정보 [re] CFT 해석 박병우 2003.04.30 3465
48 기기정보 CFT 해석 file 이건호 2003.04.30 3661
47 기기정보 박병우님 감사합니다. 3 이준화 2003.04.29 3329
46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